1 / 1
" 국제노동기구"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한 직업군으로 어업을 꼽고 있으며 어선원의 재해율은 다른 직업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편이다.일부 미국 언론은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직업으로 베링해에서 킹크랩을 잡는 어부를 소개하기도 한다. 남극이나 북극과 같은 원양에서 어로작업을 하는 원양어선보다는 연근해어선의 위험은 낮은 편이지만 여전히 위험한 직업에 속한다.미래의 식량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바다를 관리하는 수산업은 한국경제에서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농업과 축산업의 그늘에 가려져 빛을 보지 못했다.연근해 어장의 어족자원의 고갈, 원양어업의 치열한 경쟁, 어민들의 고령화와 영세화 등으로 인해 한국 수산업도 혁명적 변화가 없다면 지속가능성장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양사고의 주원인은 경계소홀, 항행법규 위반, 선내 작업안전수칙 미준수 등 운항과실이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됐다.관계기관의 엄격한 관리와 해양 관계자들의 노력으로 선박 자체고장이나 기상요소와 같은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사고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어선의 안전을 평가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K-Safety 진단모델’을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다.▲ K-Safety 진단 모델로 어선 종합평가 결과 [출처=iNIS]◇ 낡은 소형 어선으로 무리하게 조업하면서 사고가 급증한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어선 조난사고는 1976년 10월 발생했다. 동해에 발생한 폭풍으로 20여척의 어선이 침몰하거나 실종되면서 약 408명에 달하는 인명피해가 발생했다.낡은 소형 어선으로 울릉도 동쪽 대화퇴(大和堆) 어장까지 나갔지만 사고를 보고할 무전기, 방향탐지기, 레이더 등의 장비를 부실하게 갖췄다. 당시 기상청의 일기예보도 정확하지 않았고, 통신장비 부실로 구조작업도 신속하지 진행되지 않아 피해를 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해양수산부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어선사고는 1646건으로 2013년 727건에 비해 2.3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
-
▲ 국제노동기구(ILO) 로고국제노동기구(ILO)의 자료에 따르면 향후 20년 동안 동남아시아 근로자의 56%가 로봇으로 인해 일자리 잃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국가는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등이다.동남아시아 국가에서 6억3000만명의 사람들이 단순 작업으로 로봇이 대체가능한 섬유, 기계 등의 제조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근로자의 86%, 베트남 근로자의 86%, 캄보디아 근로자의 88%가 고위험군에 속한다.
-
세계은행의 산하기구인 국제금융공사(IFC)와 국제노동기구(ILO)는 방글라데시의 3778개 의류공장 리노베이션에 비용 743억2000만루피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특히 안전상 가장 중요한 3가지인 전기설비, 화재예방 설비, 건물 붕괴예방 설비 등이 취약한 실정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