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국제표준화기구"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한국수자원공사, AI 정수장 국제표준 주도 [출처=한국수자원공사]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에 따르면 2024년 11월27일(수요일) 중국 난징대학교에서 열린 국제표준화기구 상하수도서비스 분야 스마트물관리 워킹그룹(ISO/TC224/WG15) 국제회의에서 우리나라 신규 제안(New work item Proposal)이 승인됐다.한국수자원공사가 보유한 3대 초격차 기술 중 하나인 ‘인공지능(AI) 정수장’ 기술이 신규제안으로 승인되면서 인공지능(AI) 정수장에 대한 국제표준 개발 뿐 아니라 글로벌 물시장 선두주자로서 입지를 강화했다.AI 정수장은 수돗물 생산과 공급 전 과정에 AI를 융합해 자율 운영을 통해 자원과 에너지의 최적화를 가능케 만드는 디지털 물관리 기술이다.2024년 1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글로벌 등대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으로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스마트물관리 워킹그룹(ISO/TC224)은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산하 상하수도서비스 분야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다.2001년 설립 이후 스마트물관리 워킹그룹(Working Group) 등을 운영하며 식수 및 폐수 등의 서비스 지침 제공을 위한 국제표준 개발을 주관하고 있다.한국수자원공사는 2023년부터 AI 정수장의 글로벌 물시장 선도 기반을 마련하고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의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을 통해 국제 표준화를 주도해오고 있다.또한 미국수도협회(AWWA) 등 주요 회원과 긴밀히 협력하며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 호주, 미국, 중국 등 정회원 35개국이 참여하는 ISO/TC224에서 투표 참여국의 3분의 2 이상 표결로 이번 승인이 의결됐다.▲ 한국수자원공사, AI 정수장 국제표준 주도 [출처=한국수자원공사]앞으로 2027년 최종 제정을 목표로 약 3년간 표준화 작업에 매진할 계획이다.&n
-
▲ 삼성전자 디지털 시티에서 삼성전자 디바이스플랫폼센터장 최승범 부사장(왼쪽에서 5번째)과 영국왕립표준협회 해롤드 프라달(Harold Pradal) 인증 서비스 부문장(왼쪽에서 6번째)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출처=삼성전자 뉴스룸]글로벌 전자업체인 삼성전자(회장 이재용)은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스마트싱스(SmartThings)’가 ‘국제표준 ISO/IEC 27001:2022 인증을 영국왕립표준협회(BSI,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로부터 획득했다고 밝혔다.ISO/IEC 27001:2022는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가 제정한 정보보호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표준이다. 정보보호 관리체계(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s)’를 평가한다. 정보자산에 대한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정보보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정보보호를 위한 정책, 정보자산의 접근과 통제, 사고대응과 개선에 이르기까지 총 123개 세부 항목에 대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삼성전자는 이번 인증으로 통합된 연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싱스 클라우드(SmartThings Cloud)’의 정보보호 관리체계가 국제 기준에 맞게 운영되고 있음을 입증했다.서비스 운영 역량과 기술 수준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을 계기로 스마트싱스 사용자 뿐 아니라 파트너사들로부터 더 많은 신뢰를 확보하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삼성전자 디바이스플랫폼센터 최승범 부사장은 “초연결·초지능 환경에서 고객의 개인정보는 최우선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앞으로도 스마트싱스를 통해 개인화된 다양한 서비스가 안전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고 주장했다.
-
▲ ISO INVITATION TO AN INTERNATIONAL WORKSHOP[출처=ISO]2024년 04월05일 표준화기술정책 담당이사 마르코 로시(Marco Rossi)는 ISO 회원국에 국제 워크샵 초대장을 배포했다.이번에 초대한 국제워크샵은'ISO 국제 워크샵(IWA 48)-ESG 원칙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ISO International Workshop Agreement (IWA 48) - Framework for Implementin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Principles)'에 관한 것이다.영국 표준협회(BSI), 브라질 기술표준협회(ABNT)가 공동으로 제안한 IWA에 대해 ISO 기술관리 이사회 승인을 받았다.이후 캐나다 표준위원회(SCC)와 함께 환경, 사회, 거버넌스 원칙 구현을 위한 국제 워크샵 협정(IWA-48) 프레임워크 개발에 ISO 회원국을 초대하는 내용이다.등록한 모든 참가자에게 5월 중 적절한 시기에 날짜를 통보해 온라인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고 IWA 목적에 대해 개괄 및 초안을 소개했다. IWA 프로세스를 확정했으며 IWA-48과 관련한 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24년 5월20일 ~ 6월17일 : 의견 제출 기간 ▶ 등록한 참가자는 온라인 표준 개발 플랫폼에 접속해 초안 문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음. ▶ 워크숍 회의에 앞서 모든 의견이 반영되도록 참가자는 미리 검토하고 의견을 제공하도록 권장.○ 2024년 5월 20일 ~ 6월 : 브리핑 회의 ▶ 이 세션은 관심 있는 당사자가 IWA의 목적을 이해하고 플랫폼에 익숙해지는 데 도움이 됨.○ 2024년 7월~9월 : 워크숍 회의 ▶ 의견과 피드백은 7월부터 9월 사이에 열리는 일련의 워크숍 회의에서 논의 및 처리 예정. ▶ ESG 원칙
-
2024-03-22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 이하 국표원)에 따르면 한국이 주도한 국제표준화기구(ISO)내 도시물류(Urban logistics) 기술위원회 설립이 최종 확정됐다.도시물류 기술위원회는 전 세계적인 도시화와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이 주도해 왔으며 프랑스, 독일 등 주요 국가의 지지를 받아 최종 확정됐다.세계 각국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상거래가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유통·물류산업에서 경제성, 환경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물류산업 주도를 위해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한국이 발 빠르게 기술위원회 설립을 추진한 이유다. 따라서 국표원은 `23년 1월 국제표준화기구(ISO) 중앙사무국에 신규 설립을 제안했다.전체 회원국 대상 의견 수렴과 설득을 거쳐 지난해 10월 표준화 총회 투표에서 통과됐다. 이후 세부 사항 논의를 거친 결과 3월8일 개최된 제89차 ISO TMB(기술관리이사회) 회의에서 설립이 승인됐다.통상 기술위원회 신설 제안국이 해당 위원회의 의장 및 간사 등 국제 임원을 수임하게 되므로 우리나라가 도시물류 국제표준화 활동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도시물류(Urban logistics)란 도시 내에서 교통체계, 창고 시설 등 인프라를 활용하여 상품을 소비자에게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주요 표준화 분야는 △도심형 공동물류센터, 무인매장의 보관, 운송, 유통 분야 △소비자참여 물류(폐기물, 반품 등 역방향 물류) △기술 평가 및 측정, 제품 검사 및 시험방법, 서비스 표준 등이다.다음은 도심물류 기술위원회에 관한 국표원에서 배포한 붙임 내용으로 상세한 내용은 국표원 홈페이지를 참조하면된다.□ 도심물류 기술위원회 개요○ 기술위원회 설립·운영 목표 • 도시 내에서 상품이나 자원 등을 효율적으로 운송, 보관, 분배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서비스. 상품이나 자원을 소비자에게 신
-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에 따르면 2021년 9월 좋은 조직의 거버넌스에 관한 새로운 ISO 37000 표준을 발표했다.이 표준은 좋은 거버넌스의 11가지 핵심 원칙과 전 세계 상위 기업 및 공공 관리 리더들을 위한 목적과 가치, 성과와 사회 책임 등에 관한 표준을 정의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담고 있다.또한 좋은 거버넌스의 정점과 최신 거버넌스를 포함하고 있다. 전 세계 비지니스와 공공 지도자들은 지침을 신중하게 고려하고 수용해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미래 세대를 위한 약속을 보여줘야 한다.기업, 공공 기관 및 NGO의 관리 기관들은 내부통제 및 보증 절차를 통해 효과적인 관리감독뿐만 아니라 윤리적이고 효과적인 리더십을 보장해야 된다.내부통제시스템은 리스크관리시스템, 준법경영시스템, 재무통제시스템 등으로 구성돼 있다. 보증 절차는 이사회의 비공개 세션은 리스크 기능, 규정 준수, 내부 감사 등을 포함하고 있다.이사회는 명확하게 정의된 보증 절차를 통해 관리보고의 정확성과 내부통제시스템의 효과성을 검증해야 된다. ISO 37000 표준은 세계에서 가장 자발적인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 UNGC(United Nations Global Compact)와 거의 일치한다.UNGC는 기업이 인권과 노동, 환경과 반부패에 관한 10가지 원칙을 갖고 운영 및 전략을 조정하고 UN의 17가지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지원할 것으로 요구하고 있다.▲ ISO▲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홈페이지
-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 International)에 따르면 2021년 9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협력해 표준 'ISO/SAE 21434™ Standard: Road Vehicles – Cybersecurity Engineering'을 발표했다.ISO/SAE 21434 표준은 업계가 사이버 보안이 시스템,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외부 장치 또는 네트워크의 연결 등을 포함한다. 도로차량의 설계에 사이버 보안이 통합되도록 구조화된 프로세스를 정의하는데 도움이 된다.표준운 제품 개발, 생산, 운영, 유지관리를 포함한 비지니스 분야 요구사항, 프로세스, 목표 등 사이버 보안의 기본 사항에 중점을 두고 있다.위협 분석과 위험 평가(TARA)는 도로 이용자가 위협 시나리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정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제품 개발은 사이버 보안 요건 및 아키텍처 설계 사양을 제품개발에 설명한다. 업계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시스템 엔지니어링 V 모델 접근 방식에 결합한다.ISO/SAE 21434 표준은 엔지니어링, 제품개발 분야, 사이버 보안 학자 등 14개국 100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개발 그룹에 참여했다.또한 세계 최초 자동차 사이버 보안 표준인 사이버-물리적 차량 시스템을 위한 'SAE J3061™ Standard: Cyber Security Guidebook'의 원리를 기반으로 했다.SAE는 TÜV SÜD Division Mobility와 협력해 ISO/SAE 21434의 통합을 고려하는 사이버보안 전문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Automotive Cybersecurity Certification를 제공했다.▲ SAE▲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 International) 홈페이지
-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 따르면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생태계를 전략적으로 자문하는 그룹에 펜실베니아 주립대 톰 호건(Tom Hogan) 교수를 임명했다.호건은 펜실베니아 주립대 노동 및 고용관계를 위한 DEIB(diversity, equity, inclusion and belonging,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소속감) 담당자 및 인적자원관리 교수이다.호건은 다양성과 포용성과 관련해 ISO 표준을 개발 및 발표했으며 ISO 워킹그룹의 일원으로 일하기도 했다. 자문그룹은 조직, 직원, 공급업체, 정부, 기관투자자, 글로벌 커뮤니티로 부터 ESG에 중점을 두고 있다.특히 거버넌스 관점에서 환경과 사회를 바라보고 잠재적 기회 및 위험을 식별하고 관리하게 된다. 또한 ESG 기준은 광범위한 사회, 환경 문제에 대한 조직의 집단적 성실성을 평가하는 일종의 표준이다.호건이 ISO의 자문그룹에 합류한 것은 DEIB 분야 업무 경력, 대학에서 VTLD(Virtu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evelopment Experience) 수업진행 등으로 경험이 풍부하기 때문이다.VTLD는 가상 환경에서 예술을 활용해 학생의 참여와 학문 탐구, 보다 시민적이고 공평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추구하는 변화의 주체로서 봉사하는 차세대 리더를 개발하는 수업이다.호건은 2020년 8월 인종 평등에 관한 SHRM 블루 리본 위원회 임원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또한 5월 세계경제포럼의 Empowering AI Leadership Initiative에 초대됐다.포럼에서 글로벌 사상가들과 협력해 고위 경영진을 위한 Ethical AI Toolkit을 개발 및 출판했다. 동년 6월 펜실베니아 주립대학 2020-21학년도 교육 및 학습기술학부 펠로우로 선정됐다.호건은 LER 교수진에 합류하기 전 AT&T에서 23년간
-
2020-01-08캐나다 드론 제조업체인 인드로로봇틱스(InDro Robotics)에 따르면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드론 표준을 발표했다.드론 전문가, 학계, 기업 및 일반 대중과 12개월 동안 연구 및 상담을 통해 개발된 이 표준은 현재 안전, 보안, 생산 품질 및 운영 에티켓을 포함한다.인드로로보틱스는 이러한 표준은 캐나다 드론산업에 생산 품질 및 보안에 관한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기업입장에서 보다 국제적인 표준을 갖추게되면 확실히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드론 제조업체 및 유지 관리 표준과 함께 드론 기술의 가용성 및 사용이 크게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유용한 표준이 되려면 혁신과 확립된 품질 사이의 균형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 특히 캐나다는 악천후 및 외진 지역과 같은 고유한 상황에 맞는 자체 캐나다 표준 세트를 채택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캐나다는 혁신을 통해 드론 업계의 최전선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늘날 비현실적이거나 심지어 불가능해 보일수도 있는 일이 1~2년 안에 흔한 일이 될 수 있다. 참고로 캐나다 정부는 드론산업이 국제표준화와 혁신을 통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마찬가지로 글로벌 드론산업의 허브로 자리매김할 방침이다.▲ 인드로로봇틱스(InDro Robotic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일본 공업규격위원회(日本工業規格委員会)에 따르면 국제표준화기구(ISO) 총회 'ISO/TC20/SC16'가 2018년 11월 26일부터 30일까지 도쿄에서 개최 중이다.이번 총회에서는 무인항공기인 드론의 안전성 평가 및 운영규칙, 교육훈련 인증 등에 대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한국, 러시아 등에서 위원을 파견했다.일본 드론산업진흥협의회(JUIDA)는 2014년 설립된 이후 드론산업의 발전을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일본우편이 시계밖 비행을 통해 우체국 사이의 배송을 시작하고 있는 등 드론활용이 본격화하는 중이다.또한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고 자율비행할 수 있는 드론도 등장할 날이 머지 않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일본 정부는 근로자 부족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드론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다.▲드론산업진흥협의회(JUIDA)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