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날개"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영국 링컨대(University of Lincoln)에 따르면 중국 화중과학기술대(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및 광저우대(Guangzhou University)와 공동으로 메뚜기 날개 특성을 가진 드론 날개를 개발했다.드론이 장거리를 활공할 수 있도록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 연구 결과는 영국 왕립학회 오픈사이언스(Royal Society Open Science) 저널에 게재됐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메뚜기는 기류와 종의 군집 특성을 활용해 먼 거리를 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원들은 메뚜기의 일부 기능을 가진 드론 또는 비행기가 활공에 더 좋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연구를 시작했다.해당 기능은 연료 소비를 줄이고 소음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비행기 제조업체가 관심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원들은 메뚜기 날개의 몇 가지 특징을 바탕으로 드론과 소형 비행기 모두에 대해 고유한 특성을 활용하는 방법을 개발했다.특히 연구진은 메뚜기 날개가 매우 잘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면밀히 연구했다. 메뚜기 날개가 특정 정맥 패턴(혈액림프(haemolymph) 운반용)이 있는 매우 얇고 가벼운 소재로 만들어져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이를 디지털 3D로 재현한 다음 크게 만든 후 주형을 만들었다. 이어서 날개를 레이저로 손질하고 에칭해 메뚜기 날개 패턴을 재현했다. 또한 적절한 정도의 강성을 가진 것을 알아내기 위해 두께와 무게가 다른 여러 프로토 타입을 제작했다. 이를 통해 드론과 소형 항공기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메뚜기 날개 특성을 가진 드론 날개를 쉽게 생산했다. ▲ 영국 링컨대(University of Lincoln)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1-06-02유럽연합(EU)에 따르면 2030년까지 미래형 드론의 청사진 ‘로봇 새(robotic birds)’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 연구는 2018년부터 시작됐으며 GRIFFIN 프로젝트로 불린다.스페인 세비야대(University of Seville)의 Anibal Ollero 교수가 이끄는 EU 드론 개발 연구팀은 새처럼 날개를 상하로 퍼덕거리는 형태의 드론을 개발하고 있다.굴절형 날개를 장착하면 기존 드론에 비해 배터리 수명이 보존되고 더욱 유동적이고 다양한 비행술이 가능해진다. 로터가 없기 때문에 회전익 드론에 비해 소음도 크게 줄어 든다.또한 새처럼 발톱을 장착해 곡선 형태의 물체에 착륙하거나 집을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부리 형태의 집게도 설계해 수동으로 작업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할 계획이다.연구진은 이 기술들이 구현되려면 약 10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 짧은 비행에는 성공했지만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 등 적용해야 할 기술적 과제가 여전히 산적해 있다.로봇 새 드론의 가장 큰 장벽은 실제 새의 해부학적 구조를 기계에 그대로 구현하는 것이다. 새가 비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역동적인 움직임을 분석해야 로봇 새가 개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현재 연구팀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깃털 달린 모든 동물을 분석하고 있다. 향후 로봇 새가 개발되면 기존 드론이 가졌던 비행 능력에 대한 한계성은 다수 극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1월 공개한 로봇 새 실험 장면(출처 : 유럽연합 GRIFFIN 프로젝트 소개 홈페이지)
-
미국 드론 제조업체인 예이츠일렉트로스페이스(Yates Electrospace Corporation,이하'YEC')에 따르면48피트의 날개폭을 갖춘 화물 수송 드론의 설계를 완료했다.해당 드론은GD-2000화물 운송 드론의 확장 버전이다.2020년7월20~24일에 개최되는 판버러 국제에어쇼(Farnborough International Airshow) YEC부스에서 공개될 예정이다.YEC는 미 육군 제160특수작전 항공연대(SOAR)를 포함한 미국 및 동맹국 정부 특수 운영자의 실시간 수요를 기반으로 드론을 개발했다.드론의 새로운 와이드 바디는 표준Silent Arrow GD-2000보다60%더 크다. 140cu/ft화물 베이는5배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소모품,의약품 및 전술화물을 수용할 수 있다.YEC는 2020년 3월말까지 개발 유닛을 제공하고 2020년 2분기 및 3분기에 10개의 비행 테스트 장치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화물 수송 드론의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USA-YEC-drone▲ 예이츠일렉트로스페이스(Yates Electrospace Corporation)의 홍보자료(출처: 홈페이지)
-
미국 드론 제조업체인 예이츠일렉트로스페이스(Yates Electrospace Corporation,이하'YEC')에 따르면48피트의 날개폭을 갖춘 화물 수송 드론의 설계를 완료했다.해당 드론은GD-2000화물 운송 드론의 확장 버전이다.2020년7월20~24일에 개최되는 판버러 국제에어쇼(Farnborough International Airshow) YEC부스에서 공개될 예정이다.YEC는 미 육군 제160특수작전 항공연대(SOAR)를 포함한 미국 및 동맹국 정부 특수 운영자의 실시간 수요를 기반으로 드론을 개발했다.드론의 새로운 와이드 바디는 표준Silent Arrow GD-2000보다60%더 크다. 140cu/ft화물 베이는5배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소모품,의약품 및 전술화물을 수용할 수 있다.YEC는 2020년 3월말까지 개발 유닛을 제공하고 2020년 2분기 및 3분기에 10개의 비행 테스트 장치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화물 수송 드론의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USA-YEC-drone▲ 예이츠일렉트로스페이스(Yates Electrospace Corporation)의 홍보자료(출처: 홈페이지)
-
2018-11-12중국 선박중공업집단공사(China Shipbuilding Industry Corporation)에 따르면 접이식 날개를 장착한 항공모함용 드론(UAV)를 개발했다.HK-5000G로 명명된 드론은 항공모함이나 구축함 등 선박을 기반으로 하는 정찰용 드론이다. 전투용 미사일 또는 정찰 임무용 페이로드를 장착할 수 있다. 12시간 비행하고, 무게는 약 5톤에 달한다. 중국 해군이 3번째 항공모함에 배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드론의 날개가 접이식이기 때문에 갑판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드론의 크기, 무게와 엔진을 감안할 때 항공모함에서 스키 점프 이륙보다는 캐터필터를 이용해야 할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의 3번째 항공모함은 전기식 캐터필터를 사용할 예정이다.광둥성 주하이(Zhuhai)에서 개최된 '2018년 에어쇼차이나(Airshow China)'에서 선박중공업집단공사 자회사인 Aeromarine Intelligent Equipment Company의 부스에 전시됐다. ▲ China-Drone-HK-5000G▲ 2018년 에어쇼 차이나에 전시된 HK-5000G(출처 : 홈페이지)
-
2017-04-11일본 드론개발업체인 테라드론(テラドローン)에 따르면 2017년 4월 레이저를 탑재한 고정날개형 무인기(드론)를 개발했다.기존의 사진 측량은 삼림 지역에서 지표 데이터를 얻기 힘들고 급경사 지역과 재해 현장에서 사람이 들어가 기준점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했기 때문이다.레이저는 사진 측량이 어려운 부분을 정확히 보완하고 짧은 시간 내에 더 광범위한 범위를 정밀하게 측량할 수 있다.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도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또한 비행시간은 레이저 측량기를 싣고 약 2시간을 유지하며 상공 200미터에서 계측이 가능하다. 멀티콥터형 드론의 연속 비행 시간이 10~20분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새로운 드론은 높은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레이저 탑재형 무인기 'terra powerlifter'(출처 : 테라드론 홈페이지)
-
프랑스 항공기제조업체 에어버스(Airbus SAS), 2016년 2월 '항공서비스'부문 협력해 산업단지 조성계획... 항공기의 '승강타·방항탸·보조날개' 등 수리서비스 지원·최근 싱가포르에도 유지보수관리(MRO)센터 구축계획 표명
-
2016-03-15[인도] 에어버스, 민간항공기 제작에 인도 방산업체들과 협력... 힌두스탄항공(HAL)이 A320패밀리 문 제작·Dynamatic Technologies은 A320패밀리 날개와 트랙빔 제작(전 세계서 유일한 공급처)·Mahindra Aerospace 연간 100만개 이상의 항공부품 Premium Aerotec에 공급계약 중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