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데이터 연계"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26▲ LS일렉트릭, 삼성물산 상사부문과 미국 BESS 사업 위한 합작사 설립[출처=LS일렉트릭]LS일렉트릭(회장 구자균, 사장 김종우)에 따르면 최근 자사 북미 투자법인 ‘LS ELECTRIC Investment(이하 LSE인베스트먼트)’ 출자를 통해 삼성물산 상사 부문의 신재생에너지 개발 미국법인(Samsung C&T Renewables, LLC)이 개발 중인 500메가와트(MW) 규모의 BESS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합작회사(Joint Venture) ‘에너크레스트(EnerCrest, LLC)’를 설립했다.LS ELECTRIC(일렉트릭)은 삼성물산 상사 부문과 함께 미국 현지 에너지저장장치(BESS)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한 합작법인 설립을 마무리하고 현지 에너지 신사업을 본격화한다.LSE인베스트먼트는 2024년 11월 미국 델러웨어(Delaware)에 법인 등록을 마무리한 이후 ‘에너크레스트’에 대한 첫 출자를 시작으로 현지 에너지 신사업을 확대하고 있다.LS일렉트릭은 ‘에너크레스트’를 통해 현재 개발 단계에 있는 삼성물산의 미국 500MW급 BESS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해 사업 가치를 극대화한다.이번 사업을 기반으로 일본과 유럽에 이어 북미로 ESS 전선을 넓히며 글로벌 ESS 종합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전략이다.특히 노후화된 송전·변전·배전 설비 확충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안정적인 계통연계 수요,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신규 전력망 구축 등을 추진한다.북미 전력 인프라 슈퍼사이클을 맞아 토털 솔루션 기업으로서 현지 투자법인을 활용해 미국 사업 현지화, 북미향(向) 솔루션 판매에 박차를 가한다는 구상이다.
-
▲ 한국교육개발원, 회정책 협력지원센터 성과 포럼[출처=한국교육개발원]한국교육개발원(KEDI, 원장 고영선)에 따르면 2025년 2월19일(수) 오전 10시부터 ‘사회정책 협력지원센터 성과 포럼: 데이터 연계를 통해 본 사회정책 성과와 미래 방향’을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방식(유튜브 KEDI TV)으로 개최한다.이번 포럼은 한국교육개발원 고등·평생교육연구본부 평생학습연구실에서 교육부 위탁 사업으로 수행한 ‘사회정책 협력지원센터 운영’의 일환으로 2024년 수행한 연구의 주요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다.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터 연계 및 공유 방안을 논의하고 사회 난제에 대응하기 위한 토대를 고민했다. 중·장기 미래사회 이슈를 예측해 정책 수요를 발굴함으로써 사회정책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오전과 오후로 나눠 진행되는 본 행사에서는 오전에 임소현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이 ‘영유아·아동·청소년 기본통계 개발’, 금종예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이 ‘교육 분야 가명정보 결합 실증연구’, 김기태·김태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취약계층 생활 실태조사를 위한 기초설계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이어지는 토론 세션에서는 장명림 한국교육개발원 석좌연구위원, 이혜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최영준 연세대학교 교수가 토론을 맡을 예정이다.오후 세션에서는 이광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수의 ‘교육·사회 분야 데이터 기반 실증연구 의제 도출’, 이정우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의 ‘청년층 노동시장 이행과 경력형성 궤적 및 유형, 노동이동 연구’, 장효진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의 ‘사회정책 성과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오미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의 ‘사회정책 효과의 사전 예측 모델 개발
-
2024-12-16▲ LS ELECTRIC–한수원, SMR 활용한 ‘스마트 넷제로시티’ 구축 협력[출처=LS ELECTRIC]LS일렉트릭(LS ELECTRIC, 회장 구자균)에 따르면 2024년 12월16일(월요일) 대전광역시 한수원 중앙연구원에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사장 황주호)과 ‘SMR 기반 스마트 넷제로시티(SMR Smart Net-zero City·SSNC) 기술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업무협약식에는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과 황주호 한수원 사장을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사는 SMR(Small Modular Reactor·소형모듈원자로)을 활용한 스마트 배전 기술협력을 통해 글로벌 탄소중립을 함께 추진한다.본 협약에 따라 LS일렉트릭의 전력 계통, 분산 전원 관련 솔루션과 한수원의 SMR, SSNC에 대한 기술을 결합, 향후 SMR 기반의 에너지 분야 연구개발, 프로젝트 협력, 기술 교류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특히 양사는 SSNC 구축은 물론 i-SMR(혁신형 SMR)과 연계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전력망 솔루션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한수원은 2023년 12월 제28차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i-SMR과 이를 활용한 스마트 넷제로시티(SSNC)를 공개하며 전력망 대란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소개한 바 있다.LS일렉트릭은 SMR을 비롯해 다양한 신재생 분산 전원을 활용한 AI 데이터센터, 에너지저장장치(ESS),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관련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국내 상용 데이터센터 전력인프라 시장 점유율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같은 그룹 계열사인 LS전선과 자사 자회사 LS사우타를 통해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한다.최근에는 글로벌 기업인 버티브(Vertiv)와 협력해 ‘AI 데이터센터 One-stop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스마트 넷제로시
-
2017-03-21일본 미쓰비시전기(三菱電機)에 따르면 2017년 3월 철도차량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차량통합관리장치(TCMS)에 차량 데이터를 수립해 지상관리시스템과 연계하는 것이다. 차량에 탑재한 전기제품의 예방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서다.철도차량에는 모터, 브레이크, 에어컨, 안내모니터 등의 다양한 기기가 탑재돼 있다. 해당 기기들의 상태를 파악해 적절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TCMS가 담당한다.당사는 IoT를 활용한 TCMS의 개발을 통해 고부가가치 서비스제공을 목표로 하며 향후 철도회사와 제휴를 강화해 'IoT차량‘을 실현시킬 방침이다.▲미쓰비시전기 홈페이지
-
일본로봇공업회(日本ロボット工業会)는 2016년 가을 NTT데이터 등과 연계해 산업용로봇의 개발사업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산업용로봇의 새로운 구조를 확립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산업로봇의 구조를 재편성해 금속부품의 일부 수지화와 무선전기공급화 등을 추진한다. 로봇, 부품, 재료 관련 기업이 참가할 계획이다.중국 등 해외 로봇관련기업이 힘을 쏟고 있는 가운데 세계의 틀을 넘어선 '올 제펜(ALL Japan)'체제를 구축하고 하드웨어 기술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개발테마는 3가지로 ▲재료혁신에 의한 경량화 ▲무선전기공급화 ▲센서를 이용한 지능화를 설정했다. 2016년 가을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해 2016년 내에도 수지부품 및 무선유닛 등의 시험작을 만들 계획이다.참가기업은 ▲로봇업체 ▲수지재료를 다루는 화학업체 ▲감속기업체 등 10개 정도다. 향후에는 협력업체의 범위를 넓혀 개발을 촉진한다고 설명했다.산업용 로봇은 구조가 어느 정도 고정화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하드 부문의 기술혁신은 감소하고 있다. 동사업에서는 산업의 틀을 넘어선 대처를 통해 일본의 산업로봇의 하드기술을 진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일본로봇공업회 홈페이지
-
▲ 일본로봇공업협회 로고일본로봇공업회(日本ロボット工業会)는 2016년 가을 NTT데이터 등과 연계해 산업용로봇의 개발사업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산업용로봇의 새로운 구조를 확립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산업로봇의 구조를 재편성해 금속부품의 일부 수지화와 무선전기 공급화 등을 촉진한다. 로봇, 부품, 재료 관련 기업이 참가할 방침이다.중국 등 해외 로봇 관련 기업이 기술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의 틀을 넘어선 '올 재팬(ALL Japan)'체제를 구축해 하드웨어 기술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