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로고"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쿠팡, ‘티셔츠 페어’ 개최 [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강한승, 박대준)에 따르면 2025년 5월25일(일)까지 1000여 개 인기 티셔츠를 최대 60% 특가에 선보이는 1년에 단 한 번 열리는 ‘티셔츠 페어’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여름 시즌을 앞두고 단 한 차례만 열리는 티셔츠 기획전이다. 나이키·푸마·언더아머·폴햄 등 인기 브랜드가 참여한다.대표적으로 △나이키 드라이 스우시 긴팔 티셔츠 △푸마 바디웨어 클린 프레쉬 티셔츠 △커버낫 쿨 코튼 C로고 티셔츠 △쥬시쥬디 스트라이프 반팔티셔츠 등 다양한 상품을 1~2만 원대에 구매할 수 있다.쿠팡은 행사 기간을 전·후반으로 나눠 할인전을 진행한다. 오는 5월18일(일)까지 글로벌 브랜드 언더아머와 폴햄 등의 티셔츠를 선보인다.언더아머는 기능성과 스타일을 갖춘 32개 상품, 폴햄은 20수 면 티셔츠, 크롭 피케 반팔 등 16개 아이템을 준비했다. 헤지스, 마인드브릿지, 데일리앤 등 브랜드도 같은 기간에 특가로 만나볼 수 있다.5월19일(월)~25일(일)에는 나이키, 뉴발란스, 베이직하우스 등 브랜드를 특가에 준비했다. 2025년 1월 로켓배송에 입점한 캐주얼 브랜드 ‘세터(SATUR)’도 기간 한정 특가에 판매한다. ‘토요일을 선물하세요’ 슬로건으로 삼는 세터는 여유롭고 감성적인 무드를 담은 디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쿠팡 관계자는 “티셔츠 하나로 스타일을 완성할 수 있는 계절을 맞아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 다양한 브랜드와 스타일의 티셔츠를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 만나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오뚜기, 2025 윈터 팬시 푸드쇼[출처=오뚜기]㈜오뚜기(대표이사 황성만)에 따르면 2025년 1월19일부터 21일까지(현지 시각 기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 최대 식품박람회 '2025 윈터 팬시 푸드쇼(2025 Winter Fancy Food Show)’ 에 참가해 K- 대표라면 진라면 등 주력 제품 홍보에 나섰다.매년 여름과 겨울 개최되는 세계적인 식품박람회 '팬시 푸드쇼'는 시장 분석가, 식품 연구원, 유명 셰프 등 회원으로 구성된 미국 스페셜티 푸드 협회(SFA)가 주최한다.올해 약 1000 개 이상의 업체가 참여한다. 올해 식품업계 트렌드로 꼽히는 신선한 조합의 스낵킹, 칠리를 활용한 다양한 소스 등 새로운 맛을 구현해 차별화된 가치를 지닌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오뚜기는 이번 팬시 푸드쇼에서 ‘진라면’ 의 수출용 패키지를 새롭게 선보였다. K- 대표 라면으로서 선도적 입지를 확고히 하고 디자인을 심플하게 변경해 시각적 인지도를 제고한다는 전략이다.특히 2024년 변경한 ‘OTOKI’ 영문 로고를 적용하고 시그니처 컬러를 강화하는 등 브랜드 정체성은 유지하면서 신선함을 더해 해외 소비자에게 더욱 새롭게 다가간다.우선 외국인도 쉽게 기억할 수 있게 영문 ‘JIN’을 크게 강조하여 전면 적용했다. 순한맛과 진한맛 등 맛 종류를 각 국가별 언어로 표기했으며, 마스코트를 활용해 친근함을 더했다.또한 진라면만의 독보적인 면 식감을 생동감있게 표현한 시즐(조리예) 로 강점을 부각했다. 미국을 비롯한 각 국가별 수출용 패키지에 적용된다.2024년 말 베트남에서 무이(MUI) 할랄 인증을 받은 데 이어 2025년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할랄 시장에서 신규 패키지로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갈 예정이다.진라면과 더불어 글로벌 스테디셀러인 보들보들 치즈라면도 리뉴얼 패키지로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보들보들 치즈라면은 오뚜기가 미국, 중국, 대만, 홍콩 등 약 39개국에 판매
-
▲ 영국 당밀시럽 제조사인 라일스 골든 시럽(Lyle’s Golden Syrup)의 클래식 통조림 제품. (출처: 홈페이지)영국 당밀시럽 제조사인 라일스 골든 시럽(Lyle’s Golden Syrup)에 따르면 최근 131년 동안 유지했던 브랜드 로고를 변경했다. 로고의 디자인이 21세기 감성에 부합하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원래 로고는 성경 판관기(Book of Judges)의 구절에서 영감을 얻어 사자의 사체와 꿀벌 떼로 구성됐다. 젊은 세대에게 호감을 주면서도 역사를 잇기 위해 사자의 얼굴과 꿀벌 한 마리로 교체됐다.브랜드 로고 교체는 클래식 통조림 제품을 제외한 모든 제품에 적용할 방침이다. 1881년 출시된 라일스 골든 시럽 통조림은 1883년부터 2024년까지 제품의 포장 디자인과 로고를 유지해왔다.2006년 기네스 세계기록(Guinness World Record)에 세상에서 가장 오랫동안 유지된 브랜드 포장으로 등재됐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브랜드임에 틀림없다.식품 및 음료 제조사인 테일앤라일(Tate & Lyle PLC)은 라일스 골든 시럽을 비롯해 설탕 정제사업을 운영했으나 2010년 미국 사탕수수 정제회사인 ASR(American Sugar Refining Inc)에 매각됐다.
-
2022-01-06일본 IT기업인 주식회사 믹시(株式会社ミクシィ)에 따르면 기업 브랜드의 리뉴얼 일환으로 로고를 개정했다. 21세기 경영환경에 적응하기 위함이다. 기존의 경영방침인 친한 사람 간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서 엔터테인먼트와 테크놀로지를 접목해 글로벌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및 스포츠 사업 성장에 주력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효율적인 IT 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사람과 사람간의 따뜻한 교류와 공유를 중요한 포인트로 강조했다. 새로운 기업 브랜드는 2022년 4월부터 운용 개시를 순차적으로 시작한다. ▲주식회사 믹시(株式会社ミクシィ) 로고
-
2021-02-23일본 행정기관인 소비자청(消費者庁)에 따르면 2021년 2월 19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로고를 악용한 사기 행위를 주의할 것을 요청했다.사기 수법은 보안 지원 요청 등의 명목으로 금전을 요구한 것이다. 가짜 바이러스 감염 경고 화면에 마이크로소프트 로고를 악용해 진짜로 믿게끔 유도했다.일본마이크로소프트(日本マイクロソフト)는 에러 혹은 경고 메시지에 지원용 전화번호는 기재되지 않았으며 선물 카드 형식으로 요금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소비자청(消費者庁) 직원들(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의료용 대마제품제조사인 힐리어스(Helius)에 따르면 뉴질랜드산 의료용대마제품에 대한 인증제를 위해 뉴질랜드재배(New Zealand Grown) 로고를 사용하자고 제안했다.바이어들에게 뉴질랜드산 의료용 대마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믿을 수 있는 제품을 확보하는 좋은 조건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 힐리어스는 뉴질랜드에서 재배된 것을 인증하는 인증제는 강력한 판매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뉴질랜드산 의료용 대마제품의 원산지에 대한 신뢰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2025년까지 글로벌 의료용 대마제품 시장은 $NZ 2000억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캐나다도 의료용 대마제품의 상업적 생산을 허용해 글로벌 시장규모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힐리어스(Helius)의 의료용 대마제품(출처 : 홈페이지)
-
2017-03-30독일 할인점 알디(Aldi)에 따르면 200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사업을 시작한 이후 20년만에 처음으로 로고(logo)를 새롭게 단장할 계획이다.알디의 새로고는 기존 원칙인 단순함은 그대로 반영했고 전형적인 알디의 색상을 포함하면서 업그레이드시켰다. 1940년대 말부터 Albrecht형제가 식료품 체인점을 시작한 이후 알디의 로고는 여러번 수정됐다.알디는 전세계적으로는 25년만에 새로운 브랜딩을 선보이는 것이다. 새로운 로고는 이미 중국에서는 사용되고 있으며 2017년 중반부터 미국, 영국 등으로 확산될 예정이다. ▲알디(Aldi)의 새로운 로고(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건강옹호단체 FIZZ의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청량음료 제조사 코카콜라의 불만이 제기된 이후 'No Sugary Drinks' 라는 로고를 FIZZ의 웹사이트에서 삭제했다.설탕이 포함된 탄산음료가 아동과 청소년 비만의 주범으로 꼽히면서 추방운동이 거세게 일어나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2025년까지 설탕음료를 뉴질랜드에서 완전히 추방할 계획이다.▲'No Sugary Drinks' 로고(출처 : FIZZ의 홈페이지)▲FIZZ의 홈페이지
-
인도 전자상거래업체인 스냅딜(Snapdeal)은 20억루피 투자해 새로운 로고개발했으며 이를 공개했다. 현재 인도는 5000~6000만명의 온라인 소비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전자상거래업체들은 새로운 고객을 확보해 1억명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할인, 빠른 배송, 할부판매 등은 이미 모든 업체가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브랜드가 경쟁력을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시장조사업체의 자료에 따르면 인도의 전자상거래시장은 2019년까지 $US 280억달러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즉 연간 시장성장률은 45%가 상회하며 전자상거래 이용고객은 1억1000만명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스냅딜(Snapdeal)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