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메가와이드"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필리핀 시티코어재생에너지(CREC) 로고[출처=CREC 홈페이지]2025년 4월10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필리핀과 베트남을 포함한다. 필리핀 시티코어재생에너지는 상장기업으로서의 첫 해에 매출액 51억 페소를 기록했다고 밝혔다.덴마크 레고사에 따르면 베트남 빈즈엉 자사 공장을 2026년 초까지 100% 친환경 에너지로 운영하고자 한다.◇ 필리핀 시티코어재생에너지(CREC), 상장된 지 1년 만에 순이익 10억 페소 달성필리핀 시티코어재생에너지(Citicore Renewable Energy Coporation, CREC)에 따르면 상장기업으로서의 첫 해에 순이익 10억 페소를 기록했다.2022년 8억3360만 페소, 2023년 9억1010만 페소와 비교해 꾸준히 늘어났다. 전기 판매량 및 고객수 증가로 인해 매출액은 51억 페소로 전년 37억 페소 대비 40% 확대됐다.참고로 CREC은 메가와이드그룹(Megawide Group) 산하의 세번째 상장기업으로 2024년 6월 기업공개(IPO)에서 53억 페소를 확보한 바 있다. 2025년 초 인도네시아 국영 에너지 회사 페르타미나(Pertamina)와 67억 페소 상당을 투자받았다.5년 안에 재생에너지 5기가와트(GW)를 공급하겠다는 목표 하에 싱가포르 기반 레반타 리뉴어블즈(Levanta Renewables)와 해풍력발전 사업에 진출하기도 했다.◇ 덴마크 레고, 베트남 빈즈엉에서 US$ 10억 달러 규모 친환경 공장 가동 시작해2024년 4월9일 덴마크 레고는 베트남 호치민 시 근처 빈즈엉에 위치한 자사 공장이 가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자동화 시스템을 중국 공장에서 교습받은 수천 명의 전문가를 고용할 전망이다.US$ 10억 달러 규모의 시설로 2026년 초까지 100% 친환경 에너지로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만2400개의 태양광 패널 및 에너지저장시스템을 통해 지속가능한 형태를 추구한다.레고는 2024년 제정된 직접전력구매협약(DPPA)에 따라 재생에너지 생산업체로부터 에너지를 구매하게 된다. 2
-
2022-07-22필리핀 건설회사인 메가와이드(Megawide Construction Corp.)에 따르면 2022년 7월 21일 ISO 9001:2015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ISO 9001:2015은 품질관리시스템(QMS)에 관한 인증이다. 회사가 공급하는 제품과 서비스가 고객의 만족시키고 모든 감독기관의 규제사항을 준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번 인증을 받음으로서 메가와이드는 글로벌 스탠다드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킨다는 것을 증명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인프라 프로젝트의 중심을 잡을 수 있고, 동시에 다른 업체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품질관리시스템은 장기간 전문성을 요구하는 중요하고 큰 인프라 개발프로젝트에서는 핵심 요소다. 엄격한 엔지니어링과 안전 표준에도 적합해야 하기 때문이다.메가와이드는 이미 ISO 14001:2004, OHSAS 18001:2007, ISO 9001, ISO 9001:2008 관련 인증도 받았다. ISO 14001:2004은 환경관리시스템, OHSAS 18001:2007은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ISO 9001은 품질경영시스템에 관련된 표준이다.참고로 메가와이드는 1997년 설립된 중형 건설회사다. 본사는 필리핀 케손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창업자는 토목공학기술자인 Edgar Saavedra와 Michael Cosiquien이다.▲ 메가와이드(Megawide Construction Corp.) 홈페이지
-
필리핀 니노이아키노국제공항(NAIA)에 따르면 메가와이드(Megawide Construction Corp.)으로부터 $US 30억달러 규모 재개발계획을 접수했다.메가와이드는 인도의 벵갈로르에 위치한 GMR Infrastructure Ltd와 공동으로 제안서를 제출했다. 국내 복합대기업인 아보티즈(Aboitiz Equity Ventures Inc.)도 P 3500억페소 규모의 재개발 계획을 추진 중이다.정부가 관광산업을 진흥시키기 위해 공항, 철도, 항만 등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는 것이 주요인이다. 니노이아키노국제공항은 시설개선을 통해 동남아시아의 허브공항으로 부상하려고 노력 중이다.▲교통부 로고
-
필리핀 투자위원회(BOI)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1~4월 4개월동안 투자승인액은 1173억페소로 전년 동기 대비 64% 급증했다.167억페소 규모의 메가와이드세부공항프로젝트가 가장 규모가 크며 연간 5%정도 투자를 늘리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