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목초"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07▲ 농협경제지주, 동계작물 목초 등 사료작물 종자 추가 공급 [출처=농협경제지주]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 농협경제지주(축산경제대표이사 안병우)에 따르면 평년대비 강우일수 증가로 인한 쌀 수확 지연으로 동계 조사료 작물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이탈리안라이그라스와 호밀 종자를 추가 공급한다.원활한 조사료 생산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번 추가 공급물량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400톤(t), 호밀 300t으로 신청을 원하는 농가는 2025년 11월14일(금)까지 관내 농·축협에 접수하면 된다.농협은 동계작물 파종 지연과 다가오는 추운 날씨로 인한 조사료 생산량 감소를 대비해 볏짚 생산 직후 곧바로 동계작물을 파종하고 평년보다 파종량을 늘리는데 지도를 강화하고 있다.한편 동계작물 재배면적은 전체 조사료 재배면적의 68퍼센트(%)인 13만5000헥타르(ha) 를 차지할 정도로 절대적이다.2023년 기준으로 국내산 목초·사료작물 수확량 147만t 중 동계작물에서만 98만4000t을 생산했다. 농협에서는 2024년해에만 동계작물 종자 6617t을 공급했다.농협경제지주 안병우 축산경제대표이사는 “겨울철 조사료 생산은 축산농가 생산비 절감에 있어 중요한 부분으로 농가에서 볏짚 생산을 마치자마자 동계작물 파종이 조치될 수 있도록 종자 공급에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 아일랜드 중앙통계청(CSO) 빌딩 [출처=홈페이지]2024년 7월 3주차 아일랜드 경제동향은 수출액의 증가, 도축한 소의 숫자에 대한 보고, 가스 수요의 변화, 사무실 임대 현황, 소셜 미디어 광고에 대한 시민의 불만 사항, 부가가치세(VAT) 인상에 대한 펍 운영자의 부담 등이 대표적인 현상이다.○ 아일랜드 중앙통계청(CSO)은 2024년 1~5월 수출액은 €55억 유로로 전년 동기 44억 유로 대비 10%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동기간 수입액은 10% 줄어들었다. 5월 수출액은 전월 대비 1714만6000유로, 11% 하락했다.전체 수출액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식품 & 가축으로 3억7000만 유로이었으며 다음으로 기계 및 운송장비가 2억9700만 유로로 조사됐다. 유로지역과 미국으로 수출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아일랜드 농업식품해양부(DAFM)은 2024년 1월부터 7월까지 도축한 소의 숫자는 22만6000두로 전년 동기 대비 2만 두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7월7일 마감하는 1주일 동안 거세한 수소와 어린 암소의 공급은 1000두, 600두 각각 줄어들었다.4월 초 이후 도축하는 소의 숮자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6월과 7월 목초지의 환경이 예상보다 악화돼 농부들이 소의 사육을 점점 포기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소의 도축수가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아일랜드 가스회사인 가스 네트워크 아일랜드(Gas Networks Ireland)는 2024년 상반기 총 가스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3% 하락했다고 밝혔다. 동기간 가스는 국내 전기생산량의 43%에 기여했다. 풍력이 36%를 점유한 것에 비해 높은 수치다.6월 가스 소비는 전월 대비 17%, 전년 동월 대비 8% 각각 줄어들었다. 6월 동안 국내에서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는데 가스가 83%를 차지했다.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는 기후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가스가 발전소의 핵심 연료로 자리매김했다.○ 아일랜드 부동산 정보회사인 BNP
-
뉴질랜드 유제품제조사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2020년부터 프로젝트그린(Project Green)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프로젝트그린은 폰테라 1000곳의 협동조합 낙농농장들이 우유생산과 더불어 식물성우유 생산을 위한 콩작물재배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우선적으로 강, 개울 등 물가 주변의 낙농 목초지를 콩재배를 위한 토지로 전환시킬 계획이다. 물가 주변의 낙농목초지는 수질오염 문제로 늘 논란의 대상이었으며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젖소 사육비율은 하향조정돼 우유생산량은 줄어들지만 콩우유 제품 판매로 수익성을 유지시킬 방침이다. 기회 비용에 따른 손실은 콩작물의 수익과 협동조합의 소득 평준화 등으로 충당하려는 것이다.제품 다양화 전략은 폰테라가 글로벌 우유시장을 계속해서 이끌면서 경쟁사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만들 것으로 판단된다.▲폰테라(Fonterra) 로고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