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민항"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대한항공-LIG넥스원의 전자전 항공기(전자전기) 예상도 [출처=대한항공]대한항공(회장 조원태 사장 우기홍)에 따르면 LIG넥스원(대표이사 신익현)과 손잡고 대한민국 공군의 전자기 스펙트럼(EMS) 전력 확보를 위한 ‘전자전기(Block-I) 체계개발 사업’ 수주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제안서는 9월 초에 최종 제출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정부가 1조7775억 원을 투자하고 국내 업체가 연구·개발하는 형태로 추진된다.대한항공-LIG넥스원 컨소시엄이 해당 사업의 체계 종합 업체로 최종 선정되면 대한항공이 체계 통합 및 기체 개조·제작을 맡고 LIG넥스원이 체계개발 및 전자전 장비 개발·탑재를 담당할 계획이다.◇ 중형 민항기 개조한 전자전기 개발… 대한항공-LIG넥스원 전략적 기술 협력전자전기(Block-I) 체계개발 사업은 항공기에 임무 장비를 탑재해 주변국의 위협 신호를 수집·분석하고 전시에 전자공격(jamming)을 통해 적의 방공망과 무선지휘 통신체계를 마비·교란하는 대형 특수임무기를 개발하는 사업이다.전자전기는 적 항공기와 지상 레이더 등 전자장비를 무력화시키고 통신체계까지 마비시킬 수 있어 현대 전장에 필수 장비로 꼽힌다.이번 사업은 외국산 중형 민항기를 개조해 전자기전 임무 장비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공군이 요구하는 고도·속도·작전 지속시간 등을 감안하면 신규 기체 개발보다 기존 플랫폼 개조가 더 빠르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이처럼 민항기를 개조해 운용하는 경우는 미국 공군의 차세대 전자전기 EA-37B 외엔 전무한 만큼 세계적으로 희소성을 지닌 고난도 사업으로 평가된다.대한항공과 LIG넥스원은 현재 전자전기 개발이 가능한 국내 유일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LIG넥스원은 KF-21 통합 전자전 장비, 차세대 함정용 전자전 장비, 잠수함용 전자전 장비, 신형 백두정찰기 전자정보 임무 장비 등 다수의 국가
-
중국 택배 대기업 순펀홀딩스(順豐控股, S.F. Holding)에 따르면 자회사 Jiangxi Fengyu Shuntu Technology가 중국민항국 화둥지구 관리국으로부터 드론 항공시험 운항 허가증을 교부받았다.중국 내 최초로 드론 물류배송이 법의 적용을 받아 운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순펀은 최종 소비자에게 드론으로 배달하는 실용화 단계를 추진하고 있다.정부는 드론 물류에 관련된 법을 정비해 스마트 드론시대를 앞당길 수 있는 계기가 만들 에정이다. 중국 내에서 육로교통 등이 불편한 지역에 물류드론을 활용해 서비스 제공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China_SunFun Holding_Logo▲순펀홀딩스(順豐控股, S.F. Holding) 로고
-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에 따르면 2017년 1~9월 도로건설 고정자산투자 완성액은 1조5375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9% 증가했다.지역별로는 동부지구 투자액이 4509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3% 늘어났다. 중부지구 투자액은 2924억위안, 서부지구 투자액은 7942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8%, 28.9% 증가했다.철도건설을 위한 고정자산투자 완성액은 5455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 늘어났다. 민항(民航)건설을 위한 고정자산투자액은 570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3% 증가했지만 수로건설을 위한 고정자산투자액은 882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감소했다.▲ China_NDRC(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_Logo▲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 로고
-
중국민용공항국(中国民用航空局)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20년까지 중국 내 공항을 약 260개로 2015년 210개 대비 50개를 늘리기로 했다.2016~2020년까지 현재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베이징 신공항을 포함해 30개소를 완료하고 청두 신공항 등 44개소를 신설하기로 했다. 또한 광저우 등 기존 공항 139개소를 확장하고 친황다오 등 19개소 공항은 이전한다.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의 공항은 국제허브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청두, 쿤밍, 선전, 충칭, 시안, 우루무치, 하얼빈 등의 공항도 국제선이 취항할 수 있도록 확장한다.▲ China_CAA(Civil Aviation Administration)_Homepage▲중국민용공항국(中国民用航空局)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