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방위산업체"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방위산업체인 미츠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일본 방위산업체인 미츠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에 따르면 2024년부터 3년간 직원을 현재보다 30% 늘릴 계획이다. 현재 직원은 6000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정부가 방위력정비계획(防衛力整備計画), 우주의 안전보장에 관한 기본방침 등을 근거로 함정이나 전투기 등 무기 도입을 늘릴 것이기 때문이다.방위성은 2022년부터 시작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 정부의 대만 침공 위협, 북한의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의 개발로 대외 안보환경이 악화됐다고 판단한다.미츠비시중공업은 인력을 충원하는 것외에도 섭리투자를 현재와 비교해 2배 확대한다. 2024년부터 추진할 사업계획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있다.다른 방위산업체인 미츠비시전기(三菱電機), IHI 등도 인력을 충원하고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미츠비시전기는 방위·우주사업에 필요한 인력 약 1000명을 추가하기로 결정했다.
-
미국 세계 최대 항공기 제작사 및 방위산업체인 보잉(Boeing)에 따르면 2021년에 전 세계 항공사로부터 총 909대의 신규 항공기 주문량을 기록했다. 새로운 화물기와 여객기 주문을 포함했다. 이는 2020년과 2019년 총 수주량 각각 184대, 246대 등을 합친 량의 2배가 넘는 수치다. 총 주문량은 취소나 전환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는 순 주문량은 2021년 535대로 2020년과 2019년에 비해 여전히 상당히 증가했다.2021년 340대를 인도하면서, 보잉은 항공산업이 새로운 항공기 주문을 통해 장기 계획을 재개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2020년에 극저점을 기록한 후 2021년 항공산업은 여행 수요가 돌아오면서 회복됐다.하지만 오미크론으로 인해 회복의 전반적인 형태는 불안정하기 시작했다. 일부 국가에서 여행 규제가 다시 적용됨에 따라 항공사들은 계획을 축소할 수밖에 없었지만 대부분은 일시적일 것으로 판단한다.▲보잉(Boeing) 로고
-
러시아 방위산업체인 TsNIITochMash에 따르면 군사용 외골격인 MEP-05-3R을 양산할 계획이다. 국영기업은 Rostec의 자회사로 클리몹스크(Klimovsk)에 위치해 있다.외골격은 가벼운 탄소섬유로 만들어졌으며 사양에 따라 다르지만 무게는 4~8KG이다. 이 외골격을 입을 경우 군인은 50kg의 짐을 운반할 수 있다.테스트를 진행하면서 15kg의 배낭, 방탄조끼, 공격용 소총 등을 무장한채 이동하도록 했다. 시리아에서 반테러진압작전에서 성공적으로 테스트를 완료했다.현재 러시아 정부의 각종 테스트 기준을 통과해 양산을 준비 중이다. 외골격을 착용할 경우에 군인은 대형 기관총을 든채 쉽게 이동할 수 있다.참고로 미국 국방부도 슈퍼-군인을 만들기 위해 외골격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외골격은 처음에는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용이었지만 군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TsNIITochMash의 외골격 이미지(출처 : 유튜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