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보드"으로 검색하여,
2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LX하우시스 바이오 가구용 필름 보드 출시[출처=LX하우시스]LX하우시스(대표이사 한명호)에 따르면 식물성 원료를 적용해 만든 ‘바이오(Bio) SMR 가구용 필름’을 선보였다.‘바이오 SMR 가구용 필름’은 LX하우시스만의 차별화된 SMR(Supermatt Resist: 무광택 표면) 코팅 기술로 만든 PET 필름에 바이오 탄소 코팅을 추가로 적용한 제품이다. 국내 가구용 필름 업계에서 식물성 원료를 적용한 제품을 출시한 것은 LX하우시스가 처음이다.바이오 탄소는 식물 등 생물학적 원료에서 추출한 탄소를 기반으로 한 소재로 화석연료에서 유래한 탄소와 달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친환경적인 원재료로 점차 활용도가 높아지며 국내외 가구 업계에서 각광받고 있다.특히 ‘바이오 SMR 가구용 필름’은 미국의 바이오 원료 함유량 공인 시험기관인 베타 연구소(BETA analytic)에서 바이오 탄소가 포함된 필름 코팅에 대한 검증을 완료했다.또한 식품에 닿는 재료로 사용 가능한 안전성을 시험하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식품 접촉 안전성 평가도 통과했으며 제품의 친환경성을 글로벌 전문기관들로부터 인정받았다.‘바이오 SMR 가구용 필름’은 LX하우시스만의 SMR 기술로 최근 가구 시장에서 소비자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무광택 표면 질감을 구현함은 물론 스톤·우드 등 자연 소재 느낌의 디자인을 담은 총 66종으로 출시됐다.무광택 제품 특유의 단점인 스크래치와 오염에 약한 문제를 개선하고 손 자국(지문 등)이 묻어나지 않는 점도 특징이다.실제 이탈리아 공인시험기관 카타스(CATAS)의 테스트 결과, 내스크래치성과 내오염성 등 2개 항목에서 까다로운 유럽규격(EN)을 충족하는 성적서를 획득하며 강한 내구성을 입증했다.한편 LX하우시스는 필름 제품은 물론 무광택 표면 질감과 바이오 탄소 코팅이 똑같이 적용된 보드(MDF판에 필름 부착) 형태의 제품 ‘LX Z:IN 가구용 보드(보르떼7)’도 동시에 출시했다.참고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석유화학 합성수지로 필름과 합성섬유 등의 원료로 사용되며 MDF(중밀도섬유판)는 목재 섬유를 고온·고압 압착 성형해 만든 판재로 가구 등의 재료로 사용된다.
-
2025-02-27▲ LX하우시스, 북미 주방욕실 전시회 KBIS 참가[출처=LX하우시스]LX하우시스(대표이사 한명호)에 따르면 2025년 2월25일(현지시간)부터 27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주방·욕실 전시회 ‘KBIS 2025’에 참가했다.북미 최대 규모 주방·욕실 전시회 ‘KBIS(The Kitchen & Bath Industry Show) 2025’에 참가해 북미시장 전용 이스톤(Engineered Stone) 신제품은 물론 바닥재·가구용보드까지 현지 맞춤형 제품군을 대거 선보이고 북미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KBIS는 2025년 기준 61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북미지역 최대 규모의 주방·욕실 전시회다. 올해는 전세계에서 관련 기업 600개 이상이 참가했다.북미시장에서는 최근 주방·욕실 공간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천연석과 디자인은 유사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에 내구성은 뛰어난 이스톤에 대한 수요가 지속 성장하고 있다. LX하우시스는 현지 시장 공략 가속화 차원에서 이번 전시회에 참가했다.LX하우시스는 2011년 미국 조지아주에 이스톤 생산공장 설립 이후 캐나다 판매법인 설립(2017년), 이스톤 3호 생산라인 증설(2020년), 뉴욕 쇼룸 오픈(2023년) 등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펼치며 이스톤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오고 있다.이를 통해 LX하우시스는 북미 이스톤 시장에서 스페인 코센티노, 미국 MSI·캠브리아, 이스라엘 시저스톤 등과 함께 선두권을 형성하며 시장 입지를 계속 확대해 가고 있다.이번 전시회에서 LX하우시스는 ‘주방·욕실 공간을 큐레이션하다(Space Curation)’를 주제로 전시부스를 마련했다.이스톤 ‘비아테라’ 신제품 12종과 비온돌 주거환경에 적합한 LVT(럭셔리비닐타일) 바닥재 및 가구용보드 등 현지 맞춤형 신제품을 선보이고 있다.특히 대표 이스톤 신제품 ‘비아테라-스플렌더(Splendor)’와 ‘비아테라-클라우드 릿지(Cloud Ridge)’는 기존보다 더 크고 섬세한 베인(Vein; 나뭇잎결) 무늬로 천연대리석 패턴을 고급스럽게 구현해 관람객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이와 함께 북미지역 최신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해 LX하우시스 제품들로 꾸민 △ 품격 있는 다이닝 공간 △ 홈파티형 오픈 주방 △ 평온한 욕실 △ 반려동물 친화형 공간 등의 ‘쇼룸 존’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2025-02-21▲ 넷마블, 공식 스토어 ‘넷마블스토어’에 세븐나이츠 키우기 보드게임 정식 출시[출처=넷마블]넷마블(대표 권영식, 김병규)에 따르면 자사의 공식 스토어 ‘넷마블스토어’에 <세븐나이츠 키우기> 보드게임을 정식 출시하고 젬블로컴퍼니의 보드게임 12종 할인 판매 행사를 진행한다.<세븐나이츠 키우기> 보드게임은 영웅을 모아 나의 기사단을 꾸리고 스테이지를 클리어하거나 보스전을 진행하는 흐름으로 구성됐다. 간결한 규칙으로 원작을 모르는 이용자들도 쉽게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2024년 7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와디즈에서 공개된 프로젝트는 목표 대비 2007%를 초과 달성하며 성황리에 종료된 바 있다.넷마블은 <세븐나이츠 키우기> 보드게임 정식 출시 기념, 해당 상품을 포함해 △젬블로(2종) △라온(2종) △파이프워크(1종) △매치매드니스(2종) △거울정원(1종) △워드캡처(2종) △시네마코드(1종) 등 젬블로컴퍼니의 인기 라인업 총 12종에 대한 할인 행사를 실시한다.이번 할인 행사는 3월4일까지 넷마블 본사 지타워 ‘ㅋㅋ다방’에 위치한 넷마블스토어 오프라인 매장에서 열리며, 구매 시 최대 5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세븐나이츠 키우기> 보드게임은 행사 후 넷마블 온라인스토어 및 젬블로컴퍼니에서 상시 판매될 예정이다.한편 넷마블은 ‘ㅋㅋ(크크)’, ‘토리’, ‘밥’, ‘레옹’으로 구성된 공식 브랜드 마스코트 ‘넷마블프렌즈’ 포함 모두의마블, 쿵야, 세븐나이츠 등 자체 IP를 적극 활용해 굿즈, 애니메이션 등으로 콘텐츠를 확장하고 있다.공식 캐릭터 매장 넷마블스토어를 온·오프라인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디자인 전문몰 텐바이텐, 카카오톡 선물하기에 입점하는 등 대중과의 접점을 늘려가고 있다.
-
2025-02-17▲ 쿠팡, 새학기 준비 직수입 상품 최대 55% 할인「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강한승·박대준) 2025년 2월23일(일)까지 ‘쿠팡수입 새학기 준비 세일’을 진행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새학기 필수품부터 디지털 가전, 생활용품까지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 상품을 최대 55% 할인된 가격에 선보인다.먼저 아이들의 학업을 위한 최신형 가구를 대거 마련했다. 빅트랙의 카본 텍스쳐 Z형 프리미엄 책상을 9만 원대, 프리미엄 게이밍 의자는 12만 원대, 베이직 발받침 사무용 의자는 8만 원대에 각각 제공한다.모니터, 마우스, 헤드셋도 할인 판매한다. 뛰어난 가성비로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빅트랙’의 FHD 22형 평면 모니터를 8만 원대에 세일한다.글로벌 시장 점유율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는 ‘TCL’의 34인치 4K MiniLED 모니터는 64만 원대에 구매 가능하다. 혁신적인 디자인과 기술력으로 유명한 ‘베이스어스’의 Bass 35 Max 블루투스 헤드셋은 3만 원대, 블루투스 옵티컬 무선 마우스는 1만 원대에 선보인다.식기와 완구류도 특별가에 준비했다. 1947년 설립된 영국 명품 도자기 브랜드 포트메리온의 어린이 식기 컬레션 ‘미니메리온’에서 토끼와 곰 식판을 8000원대, 토끼 볼을 4000원대에 만나볼 수 있다. 투칸 직소 퍼즐 3종 세트(8000원대), 촉감놀이 2종 세트(2만 원대) 등 인기 완구 상품도 많다.19세기 파리의 예술가와 작가들이 사용하던 수제 노트에서 영감을 받아 시작된 이탈리아 프리미엄 문구 브랜드 ‘몰스킨’의 다양한 노트를 비롯해 라벨기, 복사용지, 클립보드 등 인기 문구용품도 할인한다.와우회원을 위한 특별 혜택도 마련했다. 글로벌 아웃도어 브랜드 스탠리의 인기 텀블러 구매 시 5만 원 이상 구매 시 2000원, 10만 원 이상 구매 시 1만 원의 다운로드 쿠폰을 제공한다.쿠팡은 3000여 개의 해외 인기 브랜드 상품을 로켓배송하는 ‘쿠팡수입관’을 운영 중이다. 모든 상품은 국내 안전성 및 검사 기준을 통과한 정식 수입 상품으로 쿠팡이 직접 수입 및 통관을 진행한다. 행사 페이지는 쿠팡 앱 홈 화면의 ‘쿠팡수입’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쿠팡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새 학기를 맞이하는 학생들과 자녀를 둔 부모님들이 필요한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준비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에게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 상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
2009년 설립된 영원무역의 주요 사업은 의류 등 제품 OEM 생산 및 수출이다. 주요 제품으로는 △아웃도어 의류·용품 △자전거·스포츠 용품 등이 있다. 미국 아웃도어 브랜드인 노스페이스(The North Face Inc)의 국내 유통 기업이기도 하다.2024년 라이선스 계약 변경으로 영원아웃도어의 노스페이스 브랜드 상표권은 2032년까지 연장됐다. 영원아웃도어의 양대 주주는 영원무역홀딩스와 골드윈이다. 한편 2025년 1월1일부터 스키복 및 보드복 브랜드인 골드윈의 라이센스는 해지됐다.영원무역은 한국 본사를 비롯해 글로벌 사업장으로 △일본 △홍콩 △대만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방글라데시 △인도 △우즈베키스탄 △튀르키예 △에티오피아 △스위스 △포르투갈 △미국 △엘살바도르 △뉴질랜드 등을 운영하고 있다.영원무역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영원무역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영원무역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ESG 경영 비전 및 추진방향 수립... 2023년 부채총계 1조7091억 원으로 부채율 33.33%영원무역은 기업의 핵심가치인 H.E.A.R.T에 기반해 ESG 비전 및 철학을 수립했다. 핵심가치(H.E.A.R.T)는 △HONESTY&INTEGRITY(정직함&진실성) △EXCELLENCE(탁월함) △AGILITY(민첩함) △RESPONSIBILITY(책임감) △TOGETHER(함께로) 수립했다.ESG 비전과 철학은 ‘안전한 근무환경, 환경적 지속가능성, 지역사회와의 동반 성장을 통해 지속가능한 변화들을 이끌어 나가겠습니다’로 밝혔다.3대 추진방향은 △ESG 경영체계 구축 △ESG 역량강화 및 지속가능경영시스템 고도화 △ESG 내재화를 통한 글로벌경영 선도로 각 영역에 따른 중점과제를 설정했다.2024년 3월 기준 이사회 구성원 수는 총 7명으로 사내이사 3명, 사외이사 4명으로 구성됐다. 2024년 3월 기준 여성 이사 수는 2명으로 조사됐다.2023년 이사회 구성원 수는 총 10명으로 사내이사 5명, 사외이사 5명으로 구성됐다. 2021년과 비교해 구성원 수는 변동이 없었다. 2023년 여성 이사 수는 2명으로 2021년 2명과 비교해 여성 임원의 비율은 변동이 없었다.2021년 3월 ESG 경영을 위해 이사회 산하에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치했다. ESG 경영과 관련한 이슈 파악과 ESG 경영 추진 방향성 및 과제 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2024년 3월 기준 지속가능경영위원회의 구성원은 총 5명으로 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3명으로 구성됐다.2023년 자본총계는 3조5879억 원으로 2021년 2조4342억 원과 비교해 47.40% 증가했다. 2023년 부채총계는 1조7091억 원으로 2021년 1조1134억 원과 대비해 53.51% 증가했다. 2023년 부채비율은 33.33%로 2021년 50.00%와 비교해 감소했다.2023년 매출액은 3조6043억 원으로 2021년 2조7925억 원과 대비해 29.07% 증가했다. 2023년 당기순이익은 5330억 원으로 2021년 3343억 원과 비교해 59.46% 증가했다. 2023년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부채 상환에 약 3.2년이 소요된다. ◇ 2023년 여성 임직원 평균 급여액 남성의 87.21%... 2023년 첫 번째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최우선 가치로 전 직원의 안전과 보전을 인식하며 안전보건 경영방침을 수립했다. 경영방침에 따른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구축하며 최고안전보건책임자를 임명해 각 사업장별 관리감독자와 안전보건관리자를 지정했다고 밝혔다.안전경영 비전은 ‘능동적인 안전보건 예방문화 정착’으로 경영 목표는 ‘직업성 질환 발생률 & 중대재해 비율 ZERO’로 정했다.2025년 달성 목표는 △임직원 안전보건 인식 개선 및 내재화 △선제적이고 자율적인 안전보건 예방정책 수립 △이해관계자별 취약점 파악과 대응방안 마련으로 설정했다.사회공헌 비전은 ‘지역사회 구성원의 건강과 행복을 만들어나가는 기업’으로 밝혔다. 사회공헌 전략은 △취약계층 지원 △학술 지원 △문화/스포츠 지원으로 수립했다.주요 활동은 △서울대 글로벌사회공헌단 지원 △진출국가 상생 프로그램 △숙명여대 산학협력 △지역사회 후원/기부 활동 등으로 다양하다.2023년 여성 임직원 평균 급여액은 7500만 원으로 2021년 6100만 원과 비교해 22.95% 인상됐다. 2023년 여성 임직원 평균 급여액은 남성 임직원 평균 급여액인 8600만 원의 87.21%로 2021년 95.31%와 비교해 감소했다.최근 3년간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1년 12명 △2022년 13명 △2023년 8명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지난 3년간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전무했다. 여성 임직원의 육아휴직 후 복귀 비율은 △2021년 67% △2022년 85% △2023년 50%로 집계됐다.최근 3년간 기부총액은 △2021년 29억 원 △2022년 46억 원 △2023년 39억 원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은 △2021년 0.2% △2022년 0.2% △2023년 0.3%로 집계됐다. 기부액은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활동에 대한 재무적, 비재무적 가치를 측정한 것으로 사회공헌 투자비용이 포함됐다.영원무역은 2023년 ESG 전략을 수립하며 2023년 첫 번째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영원무역홀딩스의 ESG Milestone Report를 발간해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2022년 6월에는 영원무역의 친환경 공단인 KEPZ의 생물다양성 보고서를 발간했다. ◇ 친환경경영시스템 및 환경경영 구축... 2023년 해외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 8만tCO2eq탄소중립·친환경 경영의 4대 방향성은 △온실가스 감축 △환경영향 최소화 △친환경 제품 확대 △환경인식 내재화로 수립했다. 환경 관련 주요 사안은 이사회 혹은 지속가능경영위원회에서 논의하여 리스크에 대응하고자 한다.해외사업장은 친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해외사업장 내 고위 경영진으로 구성된 환경자문위원회(Environmental Sustainability Council)를 운영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수립 및 과제 이행 현황의 모니터링, 환경경영 관리 및 감독을 진행하고 있다.베트남 사업장인 YNL은 친환경 Recycle 생산시스템을 도입 중이다. 방글라데시 사업장인 KSL은 폐기물을 활용한 패딩용 충전재 생산을 시작했다.친환경 원자재 및 제품 개발 목표는 △구입 원단의 Recycle 소재 비중 확대 △모든 원단 Scrap의 Recycle화 △친환경 신소재 원단 개발로 정했다.지속가능경영 보고서 환경 데이터 보고 범위는 국내 △만리동 △금광동 △명동 사업장과 해외 공장 및 사무소로 밝혔다.최근 3년간 국내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은 △2021년 550tCO2eq △2022년 508tCO2eq △2023년 549tCO2eq으로 근소하게 감소한 후 증가했다.해외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7만7869tCO2eq △2022년 8만4936tCO2eq △2023년 8만1552tCO2eq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2)은 지역 기반과 시장 기반으로 나뉘어 집계됐다. 최근 3년간 해외 지역 기반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5만6892tCO2eq △2022년 6만2116tCO2eq △2023년 5만1430tCO2eq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시장 기반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5만6892tCO2eq △2022년 5만5927tCO2eq △2023년 4만7470tCO2eq으로 감소세를 보였다.최근 3년간 국내 일반 폐기물 발생량은 △2021년 18.6톤(Ton) △2022년 21.6t △2023년 19.5t로 증가 후 감소했다.지난 3년간 해외 일반 폐기물 발생량은 △2021년 1만3610t △2022년 1만3392t △2023년 1만3606t으로 근소하게 감소 후 증가했다.해외 유해 폐기물 발생량은 △2021년 2029t △2022년 1698t △2023년 2091t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최근 3년간 해외 폐기물 처리량은 △2021년 1만2479t △2022년 1만5087t △2023년 1만5615t으로 증가세를 보였다.친환경 원자재로는 △GRS 인증 Recycled Yarn △GRS 인증 Recycled Fiber △GRS 인증 Recycled Chip으로 밝혔다. 지난 3년간 친환경 원자재 조달량은 △2021년 3220t △2022년 4765t △2023년 4454t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최근 3년간 환경 교육을 받은 임직원 수는 △2021년 280명 △2022년 260명 △2023년 300명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환경교육 이수율은 △2021년 90% △2022년 88% △2023년 99%로 집계됐다. ◇ 거버넌스·환경에서 개선사항 적지 않아... 여성육아 휴직자 감소세 및 남성육아 휴직자 전무△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거버넌스는 2021년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치해 ESG경영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두렷한 실적은 없다.경영투명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치표인 사외이사의 구성은 변화가 없다. 양성평등 지료핀 여성임원도 2명으로 차이가 없지만 여성직원의 비율을 고려하면 적은 편이다.2023년 자본총계는 2021년과 비교해 늘렸는데 이는 부채비율을 낯추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증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사회(Social)=사회는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펼치고 있어서 관리가능한 위험으로 평가했다. 육아휴직 사용자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는 전무해 부정적으로 판단했다.여성의 육아휴직 후 복귀비율도 2022년 85%로 가장 높았고 2023년 50%로 하락했다.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은 0.2~0.3%로 낮은 수준이다. △환경(Environment)=환경은 탄소중립과 친환경 경영으로 실천하고 있으며 이사회와 지속가능경영위원회에서 대응하고 있다. 친환경 원자재을 자용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최슨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2년까지 증가하다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유해 폐기물 발생량은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친환경 원자재 조달량은 증가하고 있다.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
[아프리카] 2025년 1월31일 경제동향... 남아프리카공화국 구직 사이트인 커리어정션(CareerJunction), 2024년 4분기 국내 재택근무 일자리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2025-01-31▲ 남아프리카공화국 구직 사이트인 커리어정션(CareerJunction)의 재택근무 구직 이미지. [출처=커리어정션 엑스(X) 계정]2025년 1월31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통계와 유통을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구직 사이트인 커리어정션(CareerJunction)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동안 국내 재택근무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로 조사됐다.남아프리카공화국 소매업 기업인 SPAR 그룹(SPAR Group)에 따르면 2025년 1월 폴란드 운영권 매각 과정을 완료했다. 매각 과정을 완료하며 국내 운영에 집중할 방침이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SPAR 그룹(SPAR Group), 2025년 1월 폴란드 맥주 및 보드카 기업인 슈페셜(Specjal)에 폴란드 운영권 매각남아프리카공화국 구직 사이트인 커리어정션(CareerJunction)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동안 국내 재택근무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로 조사됐다.2019년까지 남아공 국내에서 원격 근무는 거의 없었으며 일자리의 0.2%만이 근무 요건에 유연성이 있었다.코로나19(COVID-19) 대유행의 영향으로 재택근무가 급증했으나 2023년 이후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재택근무 일자리는 2024년 3.7%로 2023년 4.3%와 비교해 하락했다.재택근무 일자리가 감소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정보기술(IT) △비즈니스&매니저먼트 △판매 △금융 등의 직군은 아직까지 재택근무 고용이 강세를 보였다.2024년 IT 부문의 재택근무 일자리는 11.5%로 2019년 2.3%에서 상승했다. IT 부문에서 재택근무 일자리가 증가한 부문은 △기술 및 비즈니스 아키텍처 △소프트웨어 개발 △UX 디자인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개발, 관리로 조사됐다.남아프리카공화국 소매업 기업인 SPAR 그룹(SPAR Group)에 따르면 2025년 1월 폴란드 맥주 및 보드카 기업인 슈페셜(Specjal)에 폴란드 운영권을 매각했다.매각 과정을 완료하며 수익성이 높은 국내 운영에 집중할 방침이다. 폴란드 국내 시장의 운영 및 투자가 어려워지며 SPAR 폴란드(SPAR Poland)의 자산을 정리하기로 결정했다.2024년 9월 기준 SPAR 폴란드의 기업 가치는 R 1억8500만 랜드였다. 슈페셜의 인수 금액 규모는 26억7000만 랜드(PLN 5억9070만 즈워티)로 집계됐다.
-
2025-01-07▲ 넷마블스토어가 준비한 고성능 RAZER 시리즈[출처=넷마블]넷마블(대표 권영식, 김병규)에 따르면 2025년 1월6일~10일(금요일)까지 자사 공식 스토어 ‘넷마블스토어’에서 레이저(RAZER)와 협업해 게이밍 용품 프로모션 행사를 진행한다.이번 행사는 오는 10일까지 넷마블 본사 지타워 3층 ‘ㅋㅋ다방’에 위치한 넷마블스토어 오프라인 매장에서 열린다. 매장에서는 마우스, 키보드, 헤드셋, 게이밍체어 등 37개의 대표 상품을 체험해 볼 수 있다.또한 노트북, 마우스, 키보드, 헤드셋 등 게이밍 용품을 포함해 카메라, 마이크, 게이밍체어 등 스트리밍 용품 및 잡화까지 국내에서 판매하고 있는 레이저의 전 상품을 최대 20% 할인된 가격에 선보인다.넷마블은 협업 프로모션을 기념해 다양한 혜택을 마련했다. 먼저, 구매 고객 전원 대상 레이저 메모지를 증정하며, 구매 후 명함 응모 시 추첨을 통해 △레이저 스네키 인형(2명) △레이저 메탈 키캡(3명) △레이저 케이블타이(10명)를 증정한다. 뿐만 아니라, 노트북 구매 시 139,000원 상당의 레이저 백팩을 선물한다.한편 넷마블은 ‘ㅋㅋ(크크)’, ‘토리’, ‘밥’, ‘레옹’으로 구성된 공식 브랜드 마스코트 ‘넷마블프렌즈’ 포함 모두의마블, 쿵야, 세븐나이츠 등 자체 IP를 적극 활용해 굿즈, 애니메이션 등으로 콘텐츠를 확장하고 있다.공식 캐릭터 매장 넷마블스토어를 온·오프라인으로 운영하고 있다. 디자인 전문 몰 텐바이텐, 카카오톡 선물하기에 입점하는 등 대중과의 접점을 늘려가는 중이다.
-
▲ VR 보드게임 플랫폼 ‘테이블파티(Table Party)’[출처=다이브엑스알]확장현실(XR) 서비스 개발 전문 스타트업 다이브엑스알(박선영 대표)에 따르면 2024년 9월26일~29일 ‘도쿄게임쇼 2024’에 VR 보드게임 플랫폼 ‘테이블파티(Table Party)’를 출품한다.일본 도쿄 마쿠하리 메세에서 열리는 행사다. ‘Table Party’는 가상현실(VR) 보드게임 플랫폼으로 가상의 공간에서 글로벌 유저들과 만나 풍부한 인터렉션으로 다양한 보드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Meta, Pico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며 실시간 음성채팅과 크로스플랫폼 멀티플레이를 지원한다. ‘Table Party’의 특징은 실제 보드게임 고유의 시스템을 VR 속에 그대로 유지하며 VR 환경에서 제약 없이 실감 나는 인터렉션으로 플레이의 재미 요소를 더했다.▲ 보드게임 ‘Yacht Dice’[출처=다이브엑스알]다이브엑스알은 이번 ‘도쿄게임쇼 2024’의 Hall4 C57 구역에 위치한 경기도 공동관에 참여한다. 퍼블릭 데이(9/28~9/29) 기간 방문객을 대상으로 미니게임 이벤트도 별도로 기획하고 있다.향후 DLC 콘텐츠로 IP 기반의 보드게임 출시 준비와 함께 2024년 하반기 스팀(Steam) 플랫폼 출시로 더욱 다양한 VR 기기를 지원할 예정이다.다이브엑스알 박선영 대표는 “도쿄게임쇼를 통해 VR 보드게임 ‘Table Party’를 VR 유저들에게 알리고, 보드게임 IP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과의 파트너십 기회를 기대하며 참가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보드게임 ‘Card game’[출처=다이브엑스알]
-
2024-08-17▲ MSI는 노트북 사업 20주년을 기념해 전 세계적으로 ‘MSIology’ 전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글로벌 하드웨어 브랜드 MSI는 고성능 노트북 시장을 선도하는 MSI의 저력과 미래 전략에 대해 소개했다. 2004년 첫 노트북 ‘M510C’를 출시하며 노트북 사업을 시작한지 20주년을 맞이했다.2009년 가볍고 휴대하기 좋은 노트북의 가능성을 엿보고 가장 얇은 노트북인 ‘X340’ 개발에 성공했다. 하지만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급부상으로 시장 환경이 변화하면서 노트북 시장이 침체되며 어려움을 겪었다.이후 MSI는 게이머의 요구를 반영한 고성능의 게이밍 노트북을 주력으로 삼았다. 결국 2015년 전 세계 게이밍 노트북 시장에서 최고의 점유율을 달성하는 성과를 이뤘다.MSI는 제품 구상,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설계부터 공장에서의 제조까지 모든 과정을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최근 선보인 MSI와 메르세데스-AMG의 파트너십 제품인 스텔스 16 메르세데스-AMG 모터스포츠’는 혁신적인 기술과 극한의 성능을 추구하는 두 브랜드의 비전이 결합돼 탄생했다.또한 MSI는 게이머들 사이에서 증가하는 휴대성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게이밍 UMPC ‘클로’를 출시했다. 최신 기술을 통해 고성능을 소형 폼팩터에 통합한 제품이다.MSI는 게이밍 노트북을 넘어 창작자를 위한 고성능과 정밀성, 멀티태스킹 기능을 갖춘 크리에이터 시리즈와 휴대성 및 데이터 보안 기능으로 기업 환경에 최적화된 프리미엄 비즈니스 노트북 제품군으로 영역을 확장 중이다.MSI는 노트북 사업 20주년을 기념해 전 세계적으로 ‘MSIology’ 전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2024년 5월 한국에서 최초로 진행된 20주년 기념행사는 폴란드, 인도, 이탈리아, 베트남, 일본, 스페인, 프랑스, 미국 등 전 세계의 핫플레이스에서 순차적으로 진행 중이다.1986년 설립된 MSI는 초창기에 마더보드와 그래픽카드 제조사로써 기술력을 인정받아 왔다. 현재는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노트북, 서버/워크스테이션, 베어본, 커뮤니케이션디바이스, CE 계열 제품 등의 설계/제조 전문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MSI 노트북 사업부 에릭 쿠오 부사장은 “MSI의 노력이 노트북 산업에 혁신을 가져오고 한계를 넘어 새로운 기술로 발전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앞으로의 20년 동안에도 게이밍 분야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이러한 경험을 비즈니스 및 크리에이터 제품군으로 확장해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것이다"고 강조했다.
-
▲ 싱가포르 리폼드 그룹(ReFormd Group)의 '리폼드의 연구실(The Laboratory by Reformd)' 매장 모습[출처=리폼드의 연구실 인스타그램]2024년 8월2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을 포함한다. 싱가포르 리폼드 그룹(ReFormd Group)은 쇼핑센터 캐세이 시네레저 오차드 내에 '리폼드의 연구실(The Laboratory by Reformd)'이라는 키보드 커스트마이징 매장을 열었다.회교은행 쿠웨이트 파이낸스 하우스(Kuwait Finance House)는 말레이시아 사업에 뛰어든지 19년 만에 철수한다.필리핀 메트로 퍼시픽 애그로 벤처스(MPAV)는 유제품업체 유니버설 하베스터 낙농장 주식회사(UHDFI)를 7억 페소에 인수했다.◇ 싱가포르 리폼드 그룹(ReFormd Group), 쇼핑센터 캐세이 시네레저 오차드에 키보드 커스트마이징 매장 개점8월2일 리폼드 그룹(ReFormd Group)은 쇼핑센터 캐세이 시네레저 오차드(Cathay Cineleisure Orchard)에 '리폼드의 연구실(The Laboratory by Reformd)'이라는 키보드 커스트마이징 매장을 오픈한다.리폼드 그룹은 신체 단련 센터 리폼드 퍼스널 트레이닝(Reformd Personal Training)과 애니타임 피트니스(Anytime Fitness) 또한 운영하고 있다.매장에서는 3개 스테이션을 이동해가며 자신이 직접 선택한 구성품으로 키보드를 조립해볼 수 있다. 아코(Akko), 게이트론(Gateron), 키트론(Keychron), 몬스긱(Monsgeek), 누피(Nuphy), 우팅(Wooting) 등 다양한 브랜드 상품을 제공한다.◇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Petronas), 브라질에 주유소 3곳 오픈위해 현지 유통업체 SIM과 파트너십 체결쿠웨이트 파이낸스 하우스(Kuwait Finance House)에 따르면 2024년 7월31일 운영한지 19년 만에 말레이시아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당사는 말레이시아의 첫 외국 회교은행이었다.KFH 말레이시아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본부의 역할을 하며 고객들에게 이슬람 법을 토대로 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했다. 향후 걸프협력회의(GCC)와 중동 지역에서 사업을 확장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말레이시아 국영 석유 및 가스회사 페트로나스(Petroliam Nasional Bhd, Petronas)은 브라질 유통업체 SIM(SIM Distribuidora)과 첫 번째 브랜드 라이센싱 이너셔티브를 결정했다. 파트너십을 통해 브라질에서 시범 주유소 3곳을 열기 위함이다.SIM은 브라질 남부 3개 주에서 540개의 소매점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있다. 2022년부터 페트로나스 윤활유를 유통하는 공인된 업체이기도 하다.◇ 필리핀 메트로 퍼시픽 애그로 벤처스(MPAV), 유제품업체 유니버설 하베스터 낙농장 주식회사(UHDFI) 인수필리핀 메트로 퍼시픽 애그로 벤처스(Metro Pacific Agro Ventures, MPAV)는 유제품업체 부키드논 밀크(Bukidnon Milk)의 유니버설 하베스터 낙농장 주식회사(Universal Harvester Dairy Farms Incorporated, UHDFI)의 지분 100%를 7억 페소에 인수했다.당사는 민다나오와 비사야 제도까지 사업을 확장함으로써 루손 섬에 위치한 자사의 낙농장을 보완하고자 한다. 메트로 퍼시픽 인베스트먼트(Metro Pacific Investments Corporation, MPIC)는 2024년 동안 낙농장 최소 2곳을 인수해 유제품 사업을 확대하고자 한다.필리핀 국가낙농청(NDA)에 따르면 필리핀의 전체 우유 수요의 98%가 수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4년 내에 수요의 최소 5%를 공급하기 위해 국내 우유 생산을 늘릴 방침이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