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사이버보안"으로 검색하여,
2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21▲ 드론 관련 기업 및 기관ㆍ협회 대상 사이버보안 설명회(3.13~14)[출처=국가정보원]국가정보원(원장 조태용)에 따르면 2025년 3월13~14일 이틀간 인천광역시 항공안전기술원에서 국토교통부와 합동으로 관련기업 및 기관·협회 등을 대상으로 사이버보안 설명회를 개최했다.북한 등 국제·국가배후 해킹조직의 국내 드론 개발업체에 대한 해킹공격 시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했기 때문이다.이에 국정원은 이와 같은 북한 등 국제·국가 배후조직 해킹에 대한 드론 개발업체들의 자체 대응력 제고 및 피해 예방을 위해 사이버보안체계를 구축할 것을 권고했다.해커들은 업무관계자로 위장하여 피싱메일을 발송하거나 드론 개발업체가 주로 사용하는 기업메일·문서중앙화시스템 등 정보기술(IT) 솔루션의 보안취약점을 통해 기업 사내 전산망에 침투하여 드론 개발기술을 절취하려 했다.해킹시도가 핵심기술 유출 등 직접적인 피해로 이어지지는 않았으나 기업별 자체 사이버보안체계 구축 필요성이 부각됐다.2024년 12월 방위사업청·국가보안기술연구소 등과 함께 드론 개발업체 대상 사이버보안 관리 실태를 합동 점검했다. 보안시스템 미비·관리부실 등 다수의 보안취약점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설명회에서 국정원은 실태 점검을 통해 확인한 취약요인을 공유하고 보안대책을 제시하는 한편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보안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사이버보안 관리 매뉴얼’을 제작·배포했다.매뉴얼에는 보안규정 마련·방화벽 도입 방법 등 기본적인 내용부터 취약점 점검·보안 설정 방법 등 실천수칙 및 보안점검 체크리스트 등이 포함돼 있다.김지훈 한국무인기시스템협회장은 “사이버보안 체계 구축에 필수적인 내용들을 매뉴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해킹으로부터 안전한 보안 환경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고 기대감을 표명했다.국정원 관계자는 “드론은 국가 주력 산업인 방산·우주 분야와 깊은 연관이 있어 개발업체가 해킹을 당할 경우 국가적으로 큰 손실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 유관기관과 함께 보안대책을 지속적으로 지원해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
▲ 한화시스템 선박용 사이버보안 솔루션의 미국선급협회(ABS) E27 인증 수여식(왼쪽부터 조명섭 한화시스템 해양사업부장, 대런 레스코스키(Darren Leskoski) 미국선급협회 부사장)[출처=한화시스템]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에 따르면 자사 사이버보안 솔루션 ‘시큐에이더(SecuAider®)’가 미국선급협회(ABS)로부터 ‘E27 TA(선박 기자재 사이버보안 형식승인)’ 인증을 획득했다.한화시스템이 아시아 최초로 미국선급협회(ABS) 인증을 받은 것은 자체 개발한 ‘선박용 사이버보안 솔루션’이다.한화시스템은 1월20일 오후 서울 중구 장교동 한화빌딩에서 열린 인증 수여식을 통해 미국선급협회(ABS)로부터 공식 인증서를 받았다.인증 수여식에는 조명섭 한화시스템 해양사업부과 대런 레스코스키(Darren Leskoski) 미국선급협회 부사장이 참여했다.트럼프 대통령 집권 2기의 미국 조선업 파트너로 한국이 지목된 가운데 한화가 미 해군 함정과 상선이 요구하는 사이버보안 기술과 솔루션을 갖췄다는 의미다.한화시스템은 이번 인증 획득을 통해 미국 선박 보안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조선·해운 보안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한다.미국선급협회 E27 인증은 선박 기자재의 사이버 보안성 확보를 위해 설계·생산·운영 및 유지보수 단계까지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는 엄격한 평가 과정을 거친다.E27 TA(Type Approved)는 선박에 탑재되는 기자재가 사이버보안을 지키기 위한 41가지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해 글로벌 시장 판매가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미국선급(ABS) 등 국내외 주요 선급이 부여하는 인증이다.사실상 글로벌 조선업을 이끌고 있는 한중일 3국 가운데 선박용 사이버보안 솔루션 인증을 획득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시큐에이더(SecuAider®)는 2024년 12월 한국선급(KR) 인증을 먼저 취득한 바 있다.미국선급협회 E27 TA 인증을 받은 선박 기자재는 세계 최대 해운사인 덴마크 머스크(MAERSK)와 스위스 선사 MSC를 포함해 미국선급협회(ABS)가 인증한 다양한 글로벌 조선소 및 해운 선사에 수출·공급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된다.미국선급(ABS), 노르웨이선급(DNV), 로이드선급(LR), 한국선급(KR) 등 세계 주요 선급이 소속된 국제선급협회(IACS)는 2024년 7월부터 건조 계약되는 모든 선박에 사이버보안 인증을 적용하도록 강제화했다.한화시스템의 시큐에이더(SecuAider®)는 해킹·디도스 공격·랜섬웨어 및 악성코드 감염 등 첨단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선박이 사용하는 데이터와 네트워크를 방어하는 보안 솔루션이다.주요 선박 기자재와 네트워크 장비 등에 설치 및 연동된다. 선박 운용 저하 없이 사이버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관제하며, AI 기반 이상 탐지 및 위협차단, 실시간 원격 대응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한화시스템이 보유한 국내 최고 수준의 함정 시스템 개발 역량과 다년간의 정보통신기술(ICT) 보안 솔루션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순수 국내 기술로 자체 개발됐다.현재 운항 중인 국내외 상용 선박 장비에 즉각 연동이 가능해 높은 호환성과 유연함을 자랑한다.한화시스템은 "세계 선도적인 사이버보안 솔루션으로 인증받은 시큐에이더(SecuAider®)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외 다양한 상선 라인업과 방산의 스마트 십(Smart Ship) 보안 강화에 기여하며 미국을 비롯한 해외 주요 시장 수출길을 모색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2025-01-20▲ LG에너지솔루션,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 최고 수준 사이버보안 인증 획득[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국제표준 ISO/SAE 21434 기반 자동차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SMS, Cyber Security Management System) 레벨3 인증을 획득했다.국제 시험 인증 기관 TÜV 라인란드(티유브이 라인란드)로부터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로 사이버 보안 관리체계(CSMS) 레벨3 인증을 획득했다.CSMS 인증은 차량용 소프트웨어 및 전기·전자 부품의 사이버 보안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기업에게 부여된다.LG에너지솔루션은 2024년 4월 CSMS 레벨2 인증을 받은 데 이어 1년도 채 되지 않아 레벨3 인증 달성에 성공했다. 레벨2는 설계에서 생산 과정까지 철저한 보안 체계가 구축돼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인증이다.레벨3은 실제 제품을 대상으로 설계부터 양산 이후 단계까지 전 과정을 거치는 동안 최고 수준의 보안 체계를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증이다. 국내 배터리 업체 중 레벨3 인증을 받은 곳은 LG에너지솔루션이 처음이다.◇ 국내 배터리 업계 보안 1위… 글로벌 시장 신뢰도 및 경쟁력 강화자동차 산업이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시대로 진입하면서 데이터 보안은 핵심 경쟁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 전 세계적으로 사이버 보안과 관련 규제도 강화되고 있다.유럽경제위원회(UNECE)가 제정한 차량 보안 규정(UNR155)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을 포함해 북미와 아시아 등 56개의 UNECE 협약국에서 차량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보안 관리체계 인증이 필수다.전기차 배터리 역시 단순히 에너지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넘어 사용자의 운전 정보, 배터리 성능 및 안전성 등 핵심 데이터를 생산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LG에너지솔루션 BMTS(Battery Management Total Solution·배터리 관리 토탈 솔루션) 사업이 대표적이다. Non-EV 비즈니스와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해가고 있다.LG에너지솔루션은 고객사에 다양한 배터리 관련 데이터와 클라우드와 AI 기술을 결합해 안전진단, 퇴화·수명 예측 등 고도화된 기능을 담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2024년 BMTS 관련 신규 브랜드 ‘B.around (비.어라운드)’를 론칭하며 사업의 본격적 시작을 알렸다.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에 취득한 CSMS 레벨3 인증을 통해 사이버 보안 관리 체계 관련한 역량을 입증함으로써 글로벌 주요 고객사의 신뢰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BMS개발그룹장 이달훈 상무는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이번 CSMS 레벨3 인증을 통해 높은 기술력과 신뢰도를 입증했다”며 “안전한 데이터 기반 사업 확장과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고객가치를 극대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2024-12-20▲ 뉴질랜드 ACC(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 홈페이지오스트레일리아 사이버보안센터(Australian Cyber Security Centre, ACSC)에 따르면 월스트리트저널(WSJ)의 2025년 미국의 TP-Link 라우터 사용 금지 소식과 관련해 입장을 밝혔다.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곡물산업협회(Grain Industry Association of Western Australia, GIAWA) 11월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수확 중인 작물 예측치가 기존 1988만 톤(t)으로 기존 1861만t 대비 늘어났다.오스트레일리아 정부(federal government)는 AU$ 48억 달러 규모 흄링크(HumeLink) 프로젝트를 승인했다. 프로젝트는 뉴사우스웨일즈(New South Wales)주 남부에서 와가와가(Wagga Wagga), 바나비(Bannaby), 마라글(Maragle)을 잇는 365킬로미터(km) 새로운 송전선 건설이다.오스트레일리아 재생 의학 회사 메소블라스트(Mesoblast Ltd)는 미국 식품의약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이 Ryoncil(remestemcel-L) 제품을 미국 최초의 중간엽 간질 세포(MSC) 치료제로 승인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30% 상승했다.뉴질랜드 ACC(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에 따르면 클린카 할인(Clean Car Discount), 도로 이용로 등으로 전기자동차(EV) 판매량이 감소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사이버보안센터(ACSC), 2025년 미국의 TP-Link 라우터 사용 금지 가능성에 대한 입장 밝혀오스트레일리아 사이버보안센터(Australian Cyber Security Centre, ACSC)에 따르면 월스트리트저널(WSJ)의 2025년 미국의 TP-Link 라우터 사용 금지 소식과 관련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외국산 소프트웨어,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소셜미디어(SNS), 메시징 앱 사용 여부를 포함해 공급업체 선택은 특정 제품 사용을 금지하는 특정 규정이 없는 한 개인 및 조직이 위험을 기반으로 하는 결정이다.미국 상무부, 국방부, 법무부가 이 회사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당국은 이르면 2025년 미국 내 TP-Link 라우터 판매를 금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 등 170개국 20억 명이 사용하고 있는 TP-Link는 미국 시장에서 65%를 점유하고 있다.그린피스 대학 아스마 베르노트에 따르면 국가 취약점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을 인용해 TP-Link는 396개의 취약점이 있다.이 중 2개가 이전에 악의적인 행위자에 의해 조종됐다. 경쟁사인 미국 홈 네트워킹 기업 넷기어(NetGear)는 1254개의 취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8개가 악용됐다.사이버 정보기관인 오스트레일리아 신호국(Australian Signals Directorate, ASD)는 2024년 7월 중국 국가안전부(MSS)와 연관된 ATP 40이 국내 네트워크 및 해당 지역 정부, 민간 부문 네트워크를 반복적으로 해킹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곡물산업협회(Grain Industry Association of Western Australia, GIAWA) 11월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수확 중인 작물 예측치가 기존 1988만 톤(t)으로 기존 1861만t 대비 늘어났다.일부 지역 수확까지 1~2주 남은 상황으로 최종 수확량은 1988만t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밀, 보리, 카놀라의 수확량이 추정치 대비 훨씬 높게 나타났다.적은 강수량에도 강우의 시기와 강도, 적은 침수지역, 겨울철 따듯한 날씨, 낮은 질병 발생률, 적은 잡초량 등 식물에 미치는 스트레스가 적어 수확량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오스트레일리아 정부(federal government)는 AU$ 48억 달러 규모 흄링크(HumeLink) 프로젝트를 승인했다. 프로젝트는 뉴사우스웨일즈(New South Wales)주 남부에서 와가와가(Wagga Wagga), 바나비(Bannaby), 마라글(Maragle)을 잇는 365킬로미터(km) 새로운 송전선 건설이다.3기가와트(GW)의 재생 에너지를 전력망에 공급하고 300만 가구에 1주일 동안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한다.오스트레일리아 재생 의학회사 메소블라스트(Mesoblast Ltd)는 미국 식품의약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이 Ryoncil(remestemcel-L) 제품을 미국 최초의 중간엽 간질 세포(MSC) 치료제로 승인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30% 상승했다.Ryoncil은 미국에서 모든 적응증에 대해 승인된 유일한 MSC 요법이다. 2개월 이상 어린이, 청소년 및 10대를 포함한 스테로이드 내성 급성 이식편 대 숙주병(SR-aGvHD)에 승인된 유일한 요법이다.SR-aGvHD는 사망률이 높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1만 명의 환자가 이종 골수 이식을 받고 있다. 이 중 1500명이 어린이로 약 50%가 aGvHD가 발병하고 있다.◇ 뉴질랜드 ACC, 클린카 할인(Clean Car Discount), 도로 이용료 등으로 전기자동차(EV) 판매량 감소뉴질랜드 ACC(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에 따르면 클린카 할인(Clean Car Discount), 도로 이용료 등으로 전기자동차(EV) 판매량이 감소했다.정부는 2024년 1월1일부터 EV 클린카 할인을 종료했으며 4월1일부터 전기자동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도로 사용료를 부과했다.또한 ACC 부과금은 현재 회계연도에 휘발유와 같은 NZ$ 42.09달러다. 다음 회계 연도에는 109.05달러로 인상될 예정이다. 2027/28회계년도 EV 소유주에게 휘발유 가격의 2배인 122.24달러의 세금이 부과된다.
-
▲ 영국 경쟁시장청(Competition and Markets Authority) 빌딩 [출처=홈페이지]2024년 11월05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은 규제기관이 거대 통신회사의 합병을 조건부로 허용한다고 밝혔다. 2024년 10월 자동차 판매가 감소했다.프랑스는 제조업의 부진이 심화되며 최대 타이어 제조업체마저 2곳의 공장을 영구히 폐쇄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일어나며 수요가 부진하기 때문이다.아일랜드는 2023년 721건의 사이버보안 사고가 발생했으며 중소기업이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중소기업의 보안시스템 강화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영국 경쟁시장청(CMA), 보다폰(Vodafone)과 쓰리(Three)의 합병을 조건부로 허락영국 경쟁시장청(Competition and Markets Authority)은 통신사업자인 보다폰(Vodafone)과 쓰리(Three)의 합병이 소비자에게 가격을 약속하고 5G 구축을 이행한다면 허락한다고 밝혔다.이전에 양사의 합병이 가격을 상승시키고 경쟁을 훼손할 것이라며 반대했다. 보다폰은 쓰리와 합병이 사업에도 도움될 뿐 아니라 고객에게도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고 주장했다.CMA는 스카이모바일, 리카, 레바라 등과 같은 모바일 가상네트워크운영자에게도 사전에 협의한 요금제를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영국 자동차산업협회(SMMT)에 따르면 2024년 10월 신규 자동차 등록대수는 14만4288대로 전년 동월 대비 6.0% 하락했다. 2024년 들어 두번째이다.개인의 구매는 11.8%으로 하락하며 소비 감소가 2년째 이어졌다. 자동차 차종별로 구분하면 휘발유 차량은 14.2%, 디젤 차량은 20.5% 각각 감소했다.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1.6%, 플러그드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3.2% 각각 줄어들었다. 전기자동차에 대한 구매력이 떨어졌지만 휘발유나 디젤 차량보다 감소폭이 축소됐다.◇ 프랑스 미쉐린(Michelin), 2026년 초 숄레와 반드에 있는 공장 폐쇄프랑스 타이어 제조업체인 미쉐린(Michelin)은 2026년 초 숄레와 반드에 있는 공장을 폐쇄한다고 밝혔다. 10월16일 이후 가동이 중단된 공장의 처분에 논의한 결과다.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자동차산업 자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재가동에 대한 희망을 포기한 이유다.숄레에 있는 공장은 승합차와 SUV용 타이어를 주로 생산했다. 수출용 타이어를 만들었지만 지난 5년 동안 가격 경쟁력이 크게 하락했다.◇ 아일랜드 국가사이버안보센터(NCSC), 2023년 기준 721건의 사이버보안 사고가 발생아일랜드 국가사이버안보센터(NCSC)는 2023년 기준 721건의 사이버보안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센터가 발간한 '국가사이버안보연간보고서 2023'에 포함된 내용이다.NCSC는 2023년 동안 5276건의 사고를 접수해 분석했다. 대부분의 사고는 보안 침해가 경미했지만 309건은 면밀한 조사를 진행해 원인을 파악했다.정부는 중소기업(SMEs)의 사이버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만 유로를 지원했다. 중소기업에게 사이버보안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예산의 80%를 지원하며 최대 6만 유로까지 가능하다.
-
▲ 싱가포르 식품업체 윌마 인터내셔널(Wilmar International)의 2024년 3분기 순이익은 US$ 2억8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5.7% 감소했다[출처=윌마 인터내셔널]2024년 10월31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 2025년 3분기 싱가포르 식품업체 윌마 인터내셔널(Wilmar International)의 매출은 US$ 177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했다.캐나다 블랙베리는 사이버보안 운영 본부 설립을 통해 말레이시아 정부와의 파트너십을 확장한다.◇ 싱가포르 윌마 인터내셔널(Wilmar International), 2024년 3분기 순이익 US$ 2억8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5.7% 감소싱가포르 식품업체 윌마 인터내셔널(Wilmar International)의 2024년 3분기 순이익은 US$ 2억8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5.7% 감소했다.윌마 인터내셔널은 중국 사업의 부진과 설탕 판매량이 감소를 원인으로 분석했다. 열대성 작물 오일과 올리오케미칼(oleochemical), 운송 및 분쇄 부문의 성과를 상쇄하는 결과다.저렴한 상품 가격에 의해 매출은 US$ 177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했다. 식품은 870만 톤(t), 사료 및 공산품은 1820만t 가량이 판매돼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5%·9.8% 증가했다.◇ 캐나다 블랙베리(BlackBerry), 말레이시아 사이버자야에 아시아·태평양 사이버보안 운영 본부 설립캐나다 소프트웨어 기업 블랙베리(BlackBerry)는 말레이시아의 스마트도시 사이버자야에 아시아·태평양 사이버보안 운영 본부를 설립한다. 이는 2023년 11월 발표된 말레이시아 정부와의 파트너십을 확장한다.블랙베리는 교육을 통해 사이버보안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말레이시아 방송통신멀티미디어위원회(MCMC)와 함께 사이버보안기관(CCoE)을 설립했다.
-
▲ 페스카로가 ‘스케일업팁스’에 선정됐다[출처=페스카로]미래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솔루션 전문기업 페스카로(FESCARO, 대표이사 홍석민)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의 ‘스케일업 팁스(SCALEUP TIPS)’ 프로그램에 최종 선정됐다.스케일업 팁스는 기술집약형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이다. 민간 운영사가 유망 기업에 선행 투자하면 정부가 연계해 지원하는 방식이다.페스카로는 스케일업 팁스 운영사인 유비쿼스인베스트먼트(ubiQuoss Investment)의 투자 및 추천을 통해 선정됐다. 투자형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받는다.페스카로는 이번 선정을 통해 해당 솔루션을 중국 시장에 최적화해 선보일 계획이다. 최근 중국의 자동차 사이버보안 법제화 소식이 전해지며 관련 규제 대응 솔루션에 대한 업계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페스카로는 자동차 전장시스템 전문가와 화이트해커들이 모여 차량 사이버보안 및 IT 인프라,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를 위한 차세대 제어기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전장 제어기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자체 설계 및 개발하며, SDV 시대를 대비한 고부가가치 제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페스카로가 자체 개발한 자동차 사이버보안 솔루션은 글로벌 완성차 제작사 8곳의 전기차 및 내연기관차에 도입되며, 기술성·사업성·사업 수행 역량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홍석민 페스카로 대표이사는 “최근 중국 사이버보안 전시회 ‘오토섹(Autosec)’에서 당사가 발표한 국제 규제 대응 실전 가이드가 큰 호응을 얻었다”며 “페스카로는 유럽 성공사례 기반 실리적인 규제 대응 전략으로 중국 시장을 공략할 것이다"고 말했다.
-
▲ 프랑스 항공엔진 및 보안 솔루션 제공업체인 사프란(Safran)이 제조한 항공기 엔진 이미지 [출처=홈페이지]2024년 8월1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독일을 포함한다. 영국은 건물의 화재 안전 보수를 위한 비용이 늘어나고 있다. 정부는 사이버보안 등 5개 연구 허브에 £1억 파운드를 지원할 계획이다.프랑스는 직장인의 급여 인상폭이 인플레이션보다 높아 국민의 가처분소득이 늘어나게 됐다. 항공기 관련 기업의 실적도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영국 정부, 헬스케어, 사이버보안, 교통 분야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5개 연구 허브에 £1억 파운드 지원영국 정부는 2024년 7월31일 헬스케어, 사이버보안, 교통 분야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5개 연구 허브에 £1억 파운드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양자컴퓨팅은 옥스퍼드대가 이끌어나가고 있다.연구 영역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이점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연구를 통해 양자컴퓨팅의 성능 개선, 대규모 시스템에서 양자 기술이 적용되도록 네트워킹 기술의 개발을 통해 궁극적으로 분산 양자컴퓨팅 네트워크의 창조, 개발된 양자 하드웨어를 테스트하기 위한 적정한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과학자와 기술자와 협업 구축 등이다.연구 허브는 영국 전역에서 18개 연구기관이 양자컴퓨팅의 다영한 측면에서 연구한다. 옥스포드대는 엔지니어링 및 물리학 연구위원회(EPSRC)의 주요 과학자를 고용하고 있으며 옥스포드셔는 국가양자컴퓨팅센터가 위치해 있다.영국 주택 건설업체인 테일러 윔피(Taylor Wimpey)는 자체 보유 건물의 화재 안전 보수를 위한 비용이 £3억3300만 파운드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기존에 산정한 2억4500만 파운드에 비해 8800만 파운드가 증가한 수치다.2024년 상반기 동안 전체 건물에 대한 비용을 다시 산정했다. 프로젝트 이행 관리 비용이 늘어났다. 주택산업계와 정분는 화재 안전에 대한 조치가 필요한 건물의 범위를 확장했다. 211개 빌딩이 대상인 것으로 조사됐다.테일러 윔피는 2024년 상반기 세전 이익이 1억 파운드로 전년 동기 대비 58% 급감했다. 빌딩 관리를 위를 청구하는 비용은 낮아졌지만 인건비 등은 올랐기 때문이다. 미래 주택이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고 택지 공급이 중요한 사업 성공 요소로 부상했다.영국 온라인 음식 주문 및 배송업체인 저스트 잇트(Just Eat)는 2024년 상반기 매출액은 €25억7000만 유로로 전년 대비 1% 감소했다고 밝혔다. 상반기 세전이익은 3억6300만 유로의 손실을 기록했다.상반기 Ebitda 는 2억30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했다.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비용을 개선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북미 사업은 2021년 70억 유로에 인수한 그룹허브의 브랜드로 영업 중이다.상반기 동안 주문 건수는 5% 하락했는데 특히 북아메리카에서 9%나 줄어들었다. 주문건당 금액은 1% 축소됐지만 북유럽, 영국, 아일랜드에서는 확대됐다. 상반기 이익이 하락한 것은 매출액 감소, 직원 인건비 증가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프랑스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 2024년 7월 인플레이션은 2.3%로 6월 2.2%에 비해 소폭 상승프랑스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는 2024년 7월 인플레이션은 2.3%로 6월 2.2%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고 밝혔다. 7월 에너지 가격이 8.5% 상승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6월 에너지 가격은 4.8% 인상에 그쳤다.소비자가격지수(CPI)의 절반 이상을 커버하는 서비스 가격은 7월 2.5% 상승으로 6월 2.9%에 비해 위축됐다. 식품 가격은 0.5% 인상에 그쳤지만 다른 식품은 0.1%로 높지 않았다. 담배 가격이 8.7% 오르는 동안 공산품은 0%로 변화가 없었다.글로벌 컨설팅사 윌리스 타워스 왓슨(Willis Towers Watson)에 따르면 2025년 프랑스 직장인의 급여 인상폭은 3.6%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인상폭인 3.8%보다 낮지만 인플레이션보다는 높은 편이라 국민의 구매력은 향상된다.2024년 급여 인상률은 2023년 4.4%보다 낮았지만 물가상승률인 2.3%보다 높았다. 2024년 상반기 동안 국내 기업의 80% 이상이 급여를 인상했다. 에너지, 원자재 등의 가격 인상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2023년 이전에는 인플레이션보다 낮은 수준으로 급여가 인상돼 국민의 구매력은 하락했다. 기업 경영자도 이 부문에 대해 깊이 고민했지만 기업 차원에서 해결해줄 방안이 없었다.프랑스 항공엔진 및 보안 솔루션 제공업체인 사프란(Safran)은 2023년 상반기 매출액은 €130억470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다고 밝혔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19억740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41% 확대됐다.영업이익률은 매출액의 15%를 넘었으며 항공기 인테리어 개선 사업 뿐 아니라 항공기 엔진과 부품 서비스에 대한 사업이 호조를 보였다. 엔진 납품을 적기에 수행하기 위해 공급업체와 유기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독일 아고라 베르케스벤데(Agora Verkehrswende)는 2030년까지 700~800만 대의 전기자동차(EV)가 보급될 것으로 전망독일 민간 싱크탱크 아고라 베르케스벤데(Agora Verkehrswende)는 2030년까지 700~800만 대의 전기자동차(EV)가 보급될 것으로 전망했다. 독일 정부가 목표로 하는 1500만 대와 비교하면 600만 대 이상 차이가 난다.2024년 4월 연방정부는 목표치를 달성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지만 민간 전문가들은 크게 신뢰하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EV의 가격을 떨어뜨리고 충전소를 확대해야 EV의 보급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2030년까지 총 420만대의 EV가 추가로 등록돼야 한다. 독일 자체적으로 EV의 생산량을 충족하기 어려워 중국으로부터 수입이 필요하다. 하지만 유럽위원회는 2024년 7월1일부터 중국산 EV에 높은 관세를 부과해 수입을 규제하고 있다.
-
▲ 두바이국토부(DLD)에 따르면 부동산 투자자와 개발자들의 거래 과정을 원활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출처=DLD 엑스(X) 계정] 2024년 8월1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관공서인 두바이국토부(DLD)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동안 AED 13억8000만 디르함(US$ 3억7571만 달러) 규모의 부동산 거래 647건을 완료했다.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SAMA)에 따르면 2024년 6월 외환 보유 자산은 SAR 1조7540억 리얄(US$ 4675억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5.5% 증가했다.◇ 아랍에미리트 UAE 사이버보안위원회(UAE CSC), 2024년 말부터 국내 사이버보안 시스템 지원을 위한 정책 3가지 시행 계획아랍에미리트 규제위원회인 UAE 사이버보안위원회(UAE CSC)에 따르면 2024년 말부터 국내 사이버보안 시스템 지원을 위한 정책 3가지를 시행할 계획이다.기술 발전과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보안, 사물인터넷(IoT) 보안, 사이버보안 운영센터 등을 모두 고려해 글로벌 기술 허브로 발전하기 위한 목적이다.UAE CSC는 정보 차단을 위한 암호화 법안의 규제 집행 기준 또한 2024년 말까지 수립할 예정이다.아랍에미리트 두바이국토부(DLD)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동안 AED 13억8000만 디르함(US$ 3억7571만 달러) 규모의 부동산 거래 647건을 완료했다.오쿠디 플랫폼(Oqoodi Platform)을 통해 모든 부동산 거래 승인 및 거래 과정을 마무리지었다. 분쟁 관리 효율성을 높이며 거래자 간의 법적 문서를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창구 역할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두바이 부동산 시장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높아지며 DLD는 부동산 투자자와 개발자들의 거래 과정을 원활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SAMA), 2024년 6월 외환 보유 자산 SAR 1조7540억 리얄(US$ 4675억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5.5% 증가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SAMA)에 따르면 2024년 6월 외환 보유 자산 SAR 1조7540억 리얄(US$ 4675억 달러)로 전년 동월 1조6620억 리얄(4429억8000만달러) 대비 5.5% 증가했다.2024년 5월 1조7530억 리얄과 대비해 0.06% 상승했다. 2022년 11월 이후 외환 보유자산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6월 순외화자산 규모는 1조6700억 리얄이었다. 2024년 6월 국내 통화량(M3)은 전년 동기간 대비 8.95% 성장했다.
-
미국 사이버보안업체인 어택아이큐(AttackIQ)에 따르면 고급 다단계 공격에 대해 인력, 프로세스 및 방어 기술을 더 잘 테스트할 수 있도록 AIDA(AttackIQ Informed Defense Architecture)에 대한 기술 혁신을 발표했다.최첨단 사이버 방어 기능은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지속적으로 테스트하고 검증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실제 위협에 대한 사이버 보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이버 공격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서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적을 모방할 수있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어택아이큐는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ML) 기반 사이버 방어 기술을 테스트하는 동시에 포괄적인 다단계 공격을 에뮬레이션할 수 있다.이와 같이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 지원 방어 기능을 채택함으로써 지능형 지속적 위협에 대한 보안 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평가된다.기업의 CISO(Chief Information Security Office)가 분산된 환경에서 보안 제어 성능을 평가하는 프로세스를 단순화할 수 있다.또한 자동화된 플랫폼을 통해 사후 보안 프로그램에서 전략적 위협 정보 방어 프로그램으로의 이동을 가속화하도록 지원한다.특히 포인트 앤 클릭(point-and-click) 사용 편의성과 함께 킬 체인 전 과정에 걸쳐 전체 규모의 자동화된 플랫폼으로 시스템을 테스트할 수 있다.이와 같은 사이버 보안기술의 향상을 통해 나날이 증가하는 사이버 공격의 위협에 대해 더욱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어택아이큐(AttackIQ)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