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식품첨가물"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필리핀 식품첨가물제조업체 D&L에 따르면 2017년 상반기 순이익은 13.5억 페소로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상반기 총매출액은 127억 페소로 전년 동기 대비 24% 늘어났다. 원자재가격의 상승으로 제품가격을 올린 것이 주요인이다.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64%나 증가했으며 수출은 전체 매출액의 23%를 차지한다. 2016년 연간 매출액에서 수출의 점유율은 18%에 불과했다.▲식품첨가물제조업체 D&L 로고
-
인도 식품안전기준청(FSSAI)은 식품첨가물에 대한 안전기준 강화로 고부가가치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영양강화를 통해 프리미엄 우유도 생산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새로운 규정에 따르면 우유에 770개 종류의 비타민A, 550개 종류의 비타민D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식용유도 15개 종류의 비타민A, 비타민 D 등에도 넣을 수 있게 됐다.
-
현재 재계서열 5위로 급부상한 롯데는 제과, 음료, 호텔, 석유화학 등 26개 업종 78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다. 일본에서 검증된 사업 아이템인 제과와 음료를 기반으로 사업을 펼쳤지만 최근 보수적인 경영을 하는 모회사와는 달리 폭발적으로 업종과 계열사를 늘리고 있다.롯데의 사업(business)을 제품(product)구성과 시장(market) 접근 관점에서 진단해 보자. ◇ 아이들 주전부리에서 의류, 금융으로 사업확장롯데라는 이름하면 떠오르는 것은 껌, 과자, 아이스크림이다. 해태, 크라운, 오리온 등과 같은 제과 및 음료회사였지만, 다른 회사들이 외부환경의 변화와 세대교체를 이기지 못하고 망한 것에 비해 오히려 업종 다각화로 성장하고 있다.해태는 본업과 관계없는 전자사업과 2세의 경영능력 부족으로 몰락했고, 크라운과 오리온도 환경변화에 대처하지 못했다. 하지만 롯데는 1990년대 이후 급격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일본 롯데의 방계사업쯤으로 여기던 한국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