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옥스팜"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오스트레일리아 국기[출처=CIA]6월 3주차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ANZ은행이 2025년 2월 경 중앙은행 금리인하를 전망했으며 알바니스 정부는 7월1일 부터 3단계 세금 감면 정책이 발효된다.국세청은 외과의사 평균 급여가 AU$ 46만356달러로 평균 임금의 8배 이상이며 텔스트라는 3G네트워크 서비스 종료에 따라 4G용 휴대폰 1만2000대를 무료로 제공하기로 했다. ○ 알바니스 정부(Albanese government), 7월1일 3단계 세금 감면 정책 발효로 소득 계층에 따라 AU$ 350~4500달러까지 세금감면 혜택… 소득 1만8201~4만5000달러=19%→16%, 4만5000~13만5000달러=32.5%→30%, 13만5000(기존 12만 달러)~19만 달러=37%, 19만 달러 이상(기존 18만 달러)=45%○ ANZ은행, 2025년 2월 경 중앙은행이 금리인하 전망 예측... 1980년대 후반 이후 가장 공격적인 통화 긴축정책에도 인플레이션 재상승, 2024년11월→ 2025년2월 금리 인하 전망, 중앙은행 기준금리 4.35% 동결 예상○ 국세청(ATO), 외과의사 평균 급여 AU$ 46만356달러로 평균 임금의 8배 이상… 전체 상위 10개 직업을 부면 2위 마취과 의사 43만1193달러, 3위 금융딜러 37만3733달러, 4위 내과 전문의 34만729달러, 5위 정신과 의사 27만6545달러, 6위 기타 의료 종사자 25만5754달러, 7위 광산 엔지니어 21만4365달러, 8위 법률 전문가 20만4934달러, 9위 최고 경영자(CEO) 19만7720달러, 10위 금융투자자문가 18만5834달러○ 텔스트라(Telstra), 8월31일 3G 네트워크 서비스 종료에 따라 취약한 고객 대상 4G용 휴대폰 1만2000대 무료 제공… 노인, 농촌 거주자, 어려운 상황에 처한 고객(재정적 문제, 자연재해로 인한 미 해복자,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으로 인해 업무용 전화
-
2018-09-18뉴질랜드 비정부단체 옥스팜(Oxfam)에 따르면 제약회사들이 연간 $NZ 2100만달러의 세금을 속이고 있다고 주장했다.제약회사의 글로벌 이익률과 뉴질랜드 매출액에 대한 이익률을 계산할 경우에 이익을 낯춰 신고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는 의미이다.하지만 국세청은 옥스팜(Oxfam)의 계산방식이 잘못된 것이라고 반박한다. 주요 4대 제약기업인 애보트(Abbott), 존슨&존슨(Johnson & Johnson), 머크(Merck), 화이자(Pfizer) 등이 공격의 대상이다.제약회사들은 세금이 낮거나 조세회피 국가로 이익을 이전하는 방식으로 58억달러에 달하는 세금을 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미국이 제약회사의 조세회피 전략으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으며 연간 세금손실액은 23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7년 기준 개발도상국가들도 $US 1억1200만달러의 세금손실을 입을 것으로 판단된다.▲시중에 판매되는 다양한 제약회사의 약품(출처 : 정부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비영리단체 옥스팜오스트레일리아(Oxfam Australia)에 따르면 국민들은 최저임금 1시간당 $A 39센트를 버는 의류공장 노동자들의 옷을 구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의류공장 노동자들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판매되는 의류 소매가격의 겨우 4%만 받기 때문이다. 특히 오스트레일리아로 의류수출을 2번째로 많이하는 방글라데시의 경우 의류 소매가격의 2%만 받고 있다.방글라데시의 수도 다카(Dhaka)에 위치한 의류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1시간당 35센트를 버는 셈이다. 만드는 옷의 대부분은 오스트레일리아로 수출된다.Target Australia, H&M 등을 비롯한 다양한 글로벌 의류브랜드들의 옷들이다. 다카의 의류공장 근로자의 80%는 18세~25세 여성이며 1주일에 6일씩 일하고 있다.오스트레일리아 소매업체인 Kmart, Big W, Bonds, Cotton On, Just Jeans 등과 더불어 의류공장 노동자들이 6년 이내에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빈곤의 악순환을 끊을 수 있도록 의류 노동자들의 불공정한 임금구조를 조금이나마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옥스팜오스트레일리아(Oxfam Australia)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