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요격"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04▲ LIG넥스원 본사 전경 [출처=LIG넥스원]LIG넥스원(대표이사 신익현)에 따르면 KAIST(총장 이광형)와 ‘국방 자율 시스템 연구센터’ 운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향후 △국방 분야 자율 시스템 및 인공지능(AI)·체계 기술 공동 연구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ITRC(대학ICT연구센터) 사업과 연계한 연구센터 운영 △전문 인력 양성·교류 프로그램 등을 긴밀히 추진한다.LIG넥스원은 IITP에서 지원하고 KAIST에서 운영하는 ‘국방 지능형군집체계 연구센터’에 참여한다. 또한 △중심 집중형 군집 체계 SW 플랫폼 △유무인 협동 교전 연구 △분산형 Embodied-AI 연구 △감시·정찰·요격 적용 연구에 대해 협력하고 있다.기존 센터의 자율 시스템 영역을 더욱 구체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LIG넥스원과 KAIST는 ‘국방 자율 시스템 연구센터’로 협력을 구체화하는 MOU를 체결했다.아울러 멘토링 기반 ‘학생 창의 자율 과제’, 방산기업-연계 인턴십, 40시간 단기강좌(파이썬·AI 프로그래밍 등)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현장형 석·박사급 인재를 매년 배출한다.2025년 11월 예정된 데모데이에서는 기업 전시와 취업 연계 행사도 함께 열려 연구 결과의 사업화 및 창업 기회를 확대한다.양 기관은 앞으로 실환경 실증, 공동 과제 등 파트너십을 지속 확대해 대한민국 국방 R&D 생태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신익현 대표는 “LIG넥스원의 무인·미사일 체계 개발 역량과 KAIST의 첨단 AI 연구력이 결합해 미래 전장을 혁신할 것이다. 고도화된 국방 솔루션을 조기에 실증하겠다”고 말했다.이광형 총장은 “지능형 군집 체계는 전투 효율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달성할 핵심 기술이다. 산학·방산
-
2025-06-24▲ 한화시스템, 노스롭그루먼과 ‘통합 대공방어체계 기술 협력 MOU’ 체결(한화시스템과 노스롭그루먼이 ‘통합 대공방어체계 기술 협력 MOU’를 체결) [출처=한화시스템]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에 따르면 미국 대표 방산기업 노스롭그루먼(Northrop Grumman)과 ‘통합 대공방어체계 기술 협력 MOU’를 체결했다.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통합 대공방어체계의 핵심 기술 협력 및 국내외 사업 기회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격화되고 있는 중동 분쟁 등 최근 전쟁 양상에서 탄도탄·포·드론 등 공중 위협의 치명성이 부각되고 있다.이런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선진국은 고성능의 효과적인 방공시스템을 통해 강력한 방어 태세를 갖추기 위해 나서고 있다.미국 대표 대공방어솔루션 업체 노스롭그루먼은 다양한 센서와 무기를 통합해 공중 및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통합 방공지휘통제 시스템(IBCS, Integrated Air and Missile Defense Battle Command System)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미국 및 유럽 지역에 배치를 추진 중이며, 배치 지역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IBCS는 육·해·공의 다양한 레이다와 요격체계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해 공중 위협체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막아낸다.무기체계의 종류와 관계없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고 최적의 요격 수단을 선택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 운용 효율을 극대화시킨다.한화시스템과 노스롭그루먼은 각 사가 보유하고 있는 레이다 및 통합 방공지휘통제 기술을 접목해 보다 강력한 방공시스템 기술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한화시스템은 C4I 기반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 작전센터(KAMDOC), 중앙방공통제소(MCRC), 방공C2A체계 등 상위 지휘통제체계와 무기체계 간 실시간 연동 가능한 지휘통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이러한 최상위체계 지휘교전통제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차세대 방공체계 개발에 도전
-
2025-05-01▲ 한화시스템의 장사정포요격체계 다기능레이다(LAMD MFR) [출처=한화시스템]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에 따르면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장사정포요격체계(LAMD) 체계개발 레이다 시제 사업자로 선정됐다. 사업 규모는 1315억 원으로 개발 기간은 2028년 11월까지다.한화시스템이 ‘한국형 아이언돔’으로 불리는 국산 장사정포요격체계(LAMD·Low Altitude Missile Defense)의 핵심 장비인 레이다 체계개발을 도맡는다.단거리·저고도에서 활약할 대공무기체계인 장사정포요격체계는 동시다발로 무리 지어 날아오는 북한의 장사정포를 전문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한국형 미사일방어(KAMD·Korea Air and Missile Defense) 체계에 있어 수도권을 겨냥해 휴전선 일대에 대거 배치한 북한 장사정포와 미사일 위협을 저지하는 ‘최후의 방패’ 역할을 맡을 전망이다.장사정포요격체계의 ‘눈’에 해당하는 레이다는 좁은 상공 영역에 군집해 진입하는 수백 개 이상의 장사정포 다발을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실시간으로 탐지·추적하는 역량이 필요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레이다 중 하나로 꼽힌다.국방과학연구소와 한화시스템이 개발하게 될 레이다는 이스라엘의 대표 방공체계인 원조 ‘아이언돔(Iron Dome)’보다 더 많은 표적과 교전 가능하도록 요격 능력을 높일 예정이다.중동 시장에서 연이은 수출 성과를 내고 있는 수출형 천궁-II(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 M-SAM-II)에 이어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L-SAM)까지 대한민국 대공방어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장사정포요격체계가 전력화되면 또 하나의 K-방산 주요 수출 품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한화시스템은 국내 최고의 레이다 기술을 보유한 K-방산 대표기업으로, 지대공(地對空) 유도무기체계뿐만 아니라 한국형 차기
-
2024-09-20▲ LIG넥스원 판교하우스[출처=LIG넥스원]국내 대표 방산업체인 LIG넥스원(대표이사 신익현)은 2024년 9월20일 공시를 통해 이라크와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천궁II’ 수출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계약 규모는 약 3.7조 원이며 국내 개발된 중거리·중고도 요격체계 ‘천궁II’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9월19일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이라크 국방부와 ‘천궁II’ 공급계약이 체결된 바 있다.해외 선진국이 점유하고 있던 중동 방산시장에 국내 기술로 개발된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체계의 대규모 수출이 연이어 성사되며 K-방산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게 됐다.‘천궁II’는 탄도탄과 항공기 등 공중위협에 동시 대응하기 위해 국내 기술로 개발된 중거리·중고도 지대공 요격체계다.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개발에 착수, 시험평가 등 다수 요격시험에서 100% 명중률을 기록했으며 2018년부터 양산을 진행 중이다.이러한 요격체계는 전 세계적으로 일부 국가에서만 개발에 성공한 최첨단 기술이 적용된 유도무기 체계다. 천궁II에는 항공기/탄도탄 요격을 위한 교전통제 기술과 다기능 레이더의 추적기술, 다표적 동시교전을 위한 정밀 탐색기를 비롯해 유도탄의 빠른 반응시간 확보를 위한 전방 날개 조종형 형상 설계 및 제어 기술, 연속 추력형 측추력 등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들이 적용됐다.이러한 첨단 기술을 활용한 중동 3개국의 K-중거리 방공망 배치로 향후 해당 국가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장거리·고고도 요격체계에 대한 추가수출 가능성도 높일 수 있게 됐다.최첨단 유도무기 수출은 후발주자가 진입하기 어려운 난공불락의 시장으로 일컬어진다. 극소수의 선진국이 관련 시장을 선점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좌우하는 무기체계로서의 ‘성능’은 물론 수출 대상 국가와의 폭넓은 ‘신뢰 관계’를 확보해야
-
2021-07-12프랑스 국방부에 따르면 2021년 7월 7일 시행한 안티 드론(anti-drone) 레이저 무기 실험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 현재 프랑스는 대드론 방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이 한창이다.이번 실험은 프랑스 남서부에 위치한 한 육군 훈련소에서 진행됐다. 장비는 2020년부터 개발 중인 ‘다중 응용형 고에너지 레이저 전력장치(이하 HELMA-P)’로써 레이저 빔으로 드론을 요격할 수 있다.HELMA-P은 프랑스 레이저기술업체 CILAS에서 개발했다. 최근까지의 성능은 3km 거리의 비행 중인 드론을 탐지 및 식별하며, 1km 거리의 드론을 요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처럼 드론 방어체계로써 첨단 무기를 직접 개발하고 있는 사례는 유럽국 중 프랑스가 유일하다. 미래의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인 동시에 국제행사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2023년 프랑스 럭비 월드컵과 2024년 파리 하계 올림픽은 국방부는 물론 정부에서도 주시하고 있는 국제행사다. 과거와는 달리 드론에 의한 다양한 공중전 위협에 대응해야 하기 때문에 보안이 중요하다.정부 관계자들은 럭비 월드컵 시즌부터 안티 드론 시스템이 현장에 배치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방부도 향후 2년 이내로 드론 방어 시스템을 전국에 구축한다는 계획이다.최근 프랑스 국방부는 안티 드론용 ‘자기파(magnetic-wave)’ 무기 개발에 대한 공공 입찰을 시작했다. 자기파는 군집 드론의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전자파 기술로 극초단파(Microwave)와 유사하게 간주되고 있다.▲HELMA-P(출처 : 프랑스 국방혁신국 공식 유튜브 채널)
-
인도 국방부에 따르면 현재 이스라엘군이 사용하는 안티 드론 장비 ‘SMASH 2000 Plus’로 자국군이 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최근 잠무 공군기지에서 드론 공격으로 추정되는 폭발 사고가 발생한 이후 드론 방어체계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커지고 있다.인도군은 기존부터 SMASH 2000 Plus를 조달하기 위해 국방부 차원에서 테스트를 시행한 바 있다. 소총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휴대성이 좋고 즉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먼저 SMASH 2000 Plus는 작은 모듈 방식으로 AK-47과 같은 소총에 장착할 수 있다. 목표물을 감지하면 표적 주위에 빨간 불빛으로 사각형의 핀 포인트를 조준기에 생성한다.이후 소총으로 사격 시 정확한 핀 포인트를 자동으로 계산해 소총수의 조준 사격을 지원한다. 레이더나 극초단파와 같이 원거리 요격 방식은 아니지만 근접전에서는 유용하다는 평가다.현재 인도군의 자체 기술력으로 드론에 대응할 무기체계는 없다. 군 관계자들은 빠른 시일 내 SMASH 2000 Plus과 같은 안티 드론 장비를 수입해 전국 군사기지에 배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글로벌 드론산업을 연구하는 국가정보전략연구소는 “드론처럼 작은 비행물체가 저고도로 접근할 경우 감지하는 것조차 어렵다”면서 “드론 요격도 중요하지만 탐지 기능도 고려해 드론 방어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이스라엘 스마트 슈터가 제작한 SMASH 2000 Plus(출처 : 홈페이지)
-
2021-06-29미국 공군(U.S. Air Force)에 따르면 드론을 고출력 극초단파로 요격할 수 있는 ‘THOR' 장비에 대한 본 테스트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THOR라고 불리는 이 장비는 군집 드론을 포함해 위협이 되는 무인기를 극초단파 빔(microwave beam)을 사용해 격파할 수 있는 카운터 드론 시스템이다.THOR는 공군 기지는 물론 전초 기지를 방어할 수 있는 이동식 방어 장비다. 폭발물을 싣거나 감시하는 상대편 드론을 사정거리에서 차단할 수 있다.공군연구소(Air Force Research Laboratory)는 THOR 장비에 대한 최근 테스트 결과가 긍정적이었다고 밝혔다. 이미 THOR 프로토타입은 지난해 12월 아프리카에서 시행한 바 있다.THOR 장비의 특징은 기동이 용이해 재설치부터 운영까지 3시간이면 충분하다는 점이다. 전용 컨테이너에 쉽게 선적돼 장거리 이동도 가능하다.미공군은 THOR가 안정적으로 운용될 경우 전 세계 미군 기지에 모두 배치하겠다는 계획이다. 시기는 미정이지만 2021년 연말까지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THOR 장비(출처 : 미공군연구소)
-
2021-06-22이스라엘 국방부에 따르면 최근 드론을 격추할 수 있는 고출력 레이저 기술을 개발 및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지상형이 아닌 공중형 레이저라는 점이다.연구개발팀은 소형 민간 항공기 뒤축에 고출력 레이저 장비를 장착한 뒤 표적 드론을 요격했다고 밝혔다. 공개된 실험 영상은 없지만 관련 내용에 대해 몇 가지 언급했다.공중 레이저 시스템은 약 1킬로미터 범위에서 드론을 탐지할 수 있으며, 20킬로미터 범위에서 드론을 요격할 수 있다. 목표물 격추 시 레이저는 100킬로와트의 전력을 방출한다.이번 테스트에서는 고도 900미터에서 비행하는 드론을 공중 레이저 빔으로 요격하는 데 성공했다. 레이저로 인해 기체에 구멍이 뚫린 드론이 지상으로 추락했고 이후 실험이 종료됐다.국방부가 드론 요격 시스템에 대해 말을 아끼는 것은 군사분쟁 중인 하마스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하마스의 계속된 드론 공격에 대응하는 이스라엘의 입장에서는 본 실험에 대한 보안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향후 이스라엘은 지상과 공중에서 드론을 탐지하고 요격할 수 있는 무기체계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레이저 빔 시스템은 3~4년 이내로 현장 시연이 가능한 프로토타입으로 개발할 계획이다.▲드론 격추 가능한 레이저 시스템 가상 이미지(출처 : 이스라엘 국방부)
-
2021-06-02아제르바이잔 국방부에 따르면 2021년 5월 31일 칼바자르 국경에서 아르메니아군 정찰용 드론으로 추정된 무인기를 격추시킨 것으로 드러났다.격추된 드론은 Griphon-12으로 아르메니아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 양국간 휴전 이후 감시 장비로써 운용된 드론이 아제르바이잔군에 의해 탐지 및 격추된 것으로 추정된다.2020년 9~11월 양국은 아제르바이잔의 나고르노 카라바흐 자치구에 대한 영유권 문제를 놓고 무력 분쟁을 일으킨 바 있다. 현재는 종전된 상태이지만 사실상 아제르바이잔의 승리로 끝났다.그러나 해당 자치구는 대다수 아르메니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문서상 종전일 뿐 군사적 긴장은 계속되고 있다. 이번 드론 요격 사건도 상황은 다르지만, 2020년 분쟁 당시 전장에 투입된 드론이 격추된 것과 유사하다.일각에서는 양국 주변에 있는 터키와 러시아의 직·간접적인 군사적 지원이 분쟁을 야기시키는 요인이라고 지적한다. 양국에 배치된 드론이 터키와 러시아산인 점을 고려하면 가능한 추론이다.아제르바이잔 국방부는 지난 5월 전투형 드론의 훈련 장면 일부를 언론에 공개하며 드론 공격작전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한 바 있다. 당시 훈련에 투입된 드론은 터키 방산업체 Baykar에서 공급했다.▲전투형 드론의 훈련 장면(출처 : 아제르바이잔 국방부)
-
2020-07-14이스라엘 최대 방위산업체인 이스라엘우주항공산업(Israel Aerospace Industries, IAI)에 따르면 2020년 6월말 Iron Drone 요격용 UAV(unmanned aerial vehicles)를 출시했다.요격용 UAV는 IAI의 드론 가드(Drone Guard) 방어용 UAV 시스템에 요격용 UAV를 통합한 것이다. 요격용 드론은 도킹스테이션(발사대)에서 준비된 몇 대의 드론을 밤, 낮으로 발사해 운용할 수 있다.Iron Drone 요격용 UAV는 여러 대의 요격용 드론을 여러 개의 타겟이나 군집 드론에 동시에 발사돼 와이어 없이 운용이 가능하다.IAI의 ELTA가 개발한 소형 및 상용 UAV 대응용 Drone Guard는 위협을 방어하고 추적하기 위해 레이다 및 EO 시스템(electro-optical systems )을 사용한다.Drone Guard는 통신 및 GPS 신호를 방해하기 위해 라디오 주파수 방해기를 장착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약 100대가 판매됐다.새로 통합된 Iron Drone UAVs는 목표물에 곧장 날아가서 충돌하는 추가 기능도 장착돼 있다. Iron Drone Interceptor UAV는 ELTA 시스템과 연결돼 운용자가 드론을 활성화시키고 버튼을 누르면 목표물로 날아간다.Drone Guard의 레이다, 기타 센스로부터 목표물의 정보를 수집하고 장착된 주야간 EO 센스를 사용해 목표물을 발견해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충돌한다.▲ IAI Homepage♦ 이스라엘 항공우주 산업(Israel Aerospace Industries, IAI)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