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우선협상대상자"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9-27▲ 유큐브 로고[출처=유큐브]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 전문 기업 유큐브(대표 김정범)에 따르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디지털플랫폼정부 통합플랫폼 구현 사업’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이번 사업은 약 100억 원 규모로 유큐브와 KT, 기타 컨소시엄 기업들로 구성돼 8개월(240일) 동안 시스템 구축을 마칠 예정이다.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과 관련해 범정부 차원의 초거대 인공지능(AI) 도입 선언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현재 행정업무 효율화를 위한 첫 번째 대상으로 공무원 약 72만 명이 사용하는 전자문서시스템 ‘온나라’의 문서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사업의 디지털플랫폼 기반의 AI 부분에 첫 연계 적용 사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디지털플랫폼정부 통합플랫폼(이하 DPG허브)'은 분산된 민간·공공의 디지털 자원을 한곳에 모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민간 클라우드 기반 통합 플랫폼이다.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정보 서비스 제공은 물론 국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행정서비스를 통합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의 정부 혁신 프로젝트다.이번 DPG허브는 ‘디지털 자원등록저장소’를 비롯해 디지털 파이프라인 구축·연계, DPG 통합인증 구현 등의 기능을 탑재해 정부가 단순히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 역할을 뛰어넘어 국민·기업·정부가 함께 협력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디지털 자원등록저장소’는 디지털 자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선순환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의 비효율적인 데이터 거래 환경을 넘어 디지털자원 경제 생태계(시장)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누구나 데이터·서비스를 창출해 DPG허브의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하면 다른 사람들이 무상 또는 필요 시 일부 비용을 지불하는 유상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사업 이전 유큐브는 ‘범정부 초거대 AI 공통기반 구현 및 AI 기반 디지털 행정혁신 체계 수립’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사업을 수행해왔다.또한 유큐브는 국내 주요 공공기관의 대형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사업 확대를 가속화하고 있다.최근에는 550억 규모의 공공분야 농업농촌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행정기관 공동활용 통합채용시스템 구축(2-3단계) 사업 및 2024년 재난·안전정보시스템 개편(재난관리24, 안전24 구축) 사업 등 차세대 개발 사업을 다수 수주했다.고품질의 IT 서비스를 제공해 사업 수행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에 따라 유큐브의 매출과 영업이익도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돼 IPO를 준비하는 유큐브의 앞날이 더욱 기대되고 있다.김정범 유큐브 대표는 “유큐브는 다수의 공공분야 인프라, 소프트웨어의 안정적인 구축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눈부신 성장을 거듭해왔다. 앞으로도 정부 부처 서비스가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2024-09-11▲ LIG넥스원의 무인수상정 해검2[출처=LIG넥스원]국내 방산업체인 LIG넥스원(대표이사 신익현)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이 공고한 ‘정찰용 무인수상정 체계개발사업’에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정찰용 무인수상정 체계개발은 해군 전진기지 및 주요 항만에 대한 감시정찰, 신속한 현장대응 능력을 보강하기 위해 12미터(m)급 무인수상정 2척을 2027년까지 업체주관으로 연구개발하는 사업이다.이번 사업은 대한민국 해군이 미래 핵심 전력으로 추진하는 해양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네이비 씨 고스트(Navy Sea GHOST)’를 향한 첫 걸음을 내딛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LIG넥스원은 정찰용 무인수상정 체계개발사업의 우선 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향후 방산수출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세계적으로 무인수상정 관련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LIG넥스원은 2015년부터 무인수상정 ‘해검(Sea Sword)’ 시리즈를 개발해왔다. 축적된 연구개발 경험을 통해 무인수상정 설계·건조 기술과 무인체계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국내 최초로 전력화될 무인수상정의 개발이 완료되면 K방산의 해외시장 공략에 앞장설 대표 무기체계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LIG넥스원은 소형 무인수상정에 탑재 가능한 2.75인치 유도로켓(비궁) 발사대를 자체 개발해 해검 시리즈에서 테스트를 완료하기도 했다.축적된 기술력은 지난 7월 세계 최대 규모 해군 훈련인 림팩(RIMPAC, Rim of the Pacific Exercise)을 계기로 진행한 시험발사에서 비궁 6발 모두 100% 명중시키는 배경이 됐다.이를 통해 대한민국 최초로 유도무기 완제품의 미국시장 진출을 이뤄낼 계기를 마련했다. 무인수상정은 미래전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게임체인저’로 평가받고 있다.무인수상정의 수출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고 다양한 임무장비를 탑재할 수 있도록 무장 및 탐지체계를 모듈화하는 연구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작전반경 확장을 위해 저궤도 상용위성까지 연동이 가능하도록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신익현 LIG넥스원 대표이사는 “이번 정찰용 무인수상정 체계개발을 통해 해군의 ‘네이비 씨 고스트(Navy Sea GHOST)’의 실체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또한 “향후 전투용 무인수상정과 기뢰전 무인수상정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무인체계의 표준화와 탑재무장 및 센서의 임무형 모듈화를 진행하는 등 대한민국 해군의 무인수상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