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인프라 프로젝트"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5-14▲ 기아, 인도공과대와 현지 인재 양성을 위한 MOU 체결(왼쪽부터 이광구 기아 인도권역본부장(전무)과 사티아나라야나(Dr. K.N. Satyanarayana)) [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에 따르면 2025년 5월9일(금, 현지시간) 기아 인도권역본부(이광구 기아 인도권역본부장)가 IIT((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티루파티와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현지 인재 양성과 미래 모빌리티 역량 강화를 위해 IIT 티루파티(Tirupati, 인도공과대 티루파티)와 협력한다. IIT는 인도 전역에 23개 캠퍼스를 보유한 최고 수준의 공학 교육기관이다.기아는 인도 공장이 위치한 안드라프라데시주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 지역 최우수 대학교 IIT 티루파티와 현지 법인 설립 이후 첫 산학협력 MOU를 체결했다.기아 인도권역본부는 IIT 티루파티에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3억5000만 루피(한화 약 58억 원)을 후원한다.교육 인프라 설립 지원,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자동차산업 특화 전공 개설, 장학금 지원, 산학 공동 프로젝트 추진, 지속가능한 미래 모빌리티 연구 후원 등 다양한 산학협력을 뒷받침할 계획이다.특히 ‘메이커스 랩(Makers Laboratory)’으로 불리는 최첨단 연구 공간 설립을 지원한다. 학생들이 연구를 위한 프로토타입 구상 및 설계, 개발 등에 이 공간을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사티아나라야나(Dr. K.N. Satyanarayana) IIT 티루파티 총장은 “기아 인도권역본부와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하게 돼 기쁘다”며 “의미 있는 혁신을 창출하고 학생들이 미래 모빌리티를 구체화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고 밝혔다.이광구 기아 인도권역본부장(전무)은 “IIT 티루파티와 협력해 지속가능한 모빌리티와 산업 제조 분야의 발전을 이끌어 나갈 숙련된 엔지니어와 기술자를 양성하고자 한다&rd
-
▲ Facility E 위치도[출처=삼성물산]삼성물산 건설부문(대표이사 오세철, 이하 삼성물산)에 따르면 카타르 수전력청 카라마(KAHRAMAA)가 발주한 카타르 Facility E 담수복합발전 프로젝트를 수주해 건설 설계, 구매, 시공(EPC)을 수행하게 된다.EPC 금액만 US$ 28억4000만 달러, 기준 환율 (1398.2원) 적용시 3조9709억 원에 이르는 프로젝트로 삼성물산이 단독으로 수행한다.삼성물산이 수주한 카타르 Facility E 담수복합발전 프로젝트는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한국남부발전, 일본 스미토모상사 등이 컨소시엄 사업자로 선정됐다.이번 프로젝트는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남동쪽으로 약 18킬로미터(km) 떨어진 라스 아부 폰타스 지역에 최대 2400메가와트(MW) 규모의 전력을 생산하는 복합화력발전소와 1일 평균 50만 톤(t)의 물을 생산하는 대규모 담수복합발전을 건설하는 사업이다.총 사업비만 37억 달러에 이르며 2029년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카타르 전체 전력량의 약 16%와 담수량의 17%를 담당하게 된다.이번 Facility E를 건설하는 지역 인근에 유사한 규모의 담수복합발전과 담수화 플랜트 확장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발주처와 확고한 파트너십과 신뢰 관계를 구축했다.카타르 최대 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비롯해 2조8000억 원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공사를 수행하면서 카타르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특히 카타르 정부가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 설비 용량을 확대할 계획이어서 향후 추가 수주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다.삼성물산은 현재 아랍에미리트(UAE) 푸자이라 F3 복합화력발전을 비롯해 사우디 아라비아에서도 아미랄과 타나집 복합화력 등 다수의 발전플랜트를 수행하고 있다.최근에도 미국 자치령인 괌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등 글로벌 발전분야 리딩플레이어로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삼성물산 이병수 에너지솔루션사업부장(부사장)은 &ldq
-
▲ BBT-YIA(Building a Better Tomorrow: Youth Initiatives for Agribusiness)는 탄자니아 청년층의 농업 참여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출처=BBT-YIA 홈페이지] 2024년 10월 1주차 탄자니아 경제는 건설과 농업을 포함한다. 범아프리카 다자 개발 금융기관인 아프리카금융공사(AFC)에 따르면 로비토 회랑(Lobito Corridor) 프로젝트에 탄자니아도 참여한다.○ 범아프리카 다자 개발 금융기관인 아프리카금융공사(AFC)에 따르면 로비토 회랑(Lobito Corridor) 프로젝트에 탄자니아도 참여할 계획이다.탄자니아는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서 인도양을 통해 니켈 등 광물 수송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로비토 회랑 프로젝트는 앙골라의 로비토 철도와 잠비아의 칭골라(Chingola) 철도를 연결해 철도 교통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프로젝트를 통해 앙골라, 잠비아, 콩고민주공화국의 인프라시설 투자와 지속가능한 경제 개발 효과가 전망된다. 아프리카 인프라 개발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탄자니아 정부에 따르면 청년 농업 프로젝트에 국제 금융기관인 아프리카 개발은행(AfDB)이 대출 US$ 1억2971만 달러를 승인했다.청년층의 농업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젝트인 BBT-YIA(Building a Better Tomorrow: Youth Initiatives for Agribusiness)의 전체 비용의 53.8%를 부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정부에서 프로젝트 비용의 45.8%인 1억1041만달러를 부담할 예정이다. 젊은 영농업자 6000명을 포함해 약 1만1000명의 농업 진출자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번 프로젝트 양여금에는 한-아프리카 경제협력(KOAFEC)의 115만 달러와 태국 기반의 열대지방 채소 종자 기업인 이스트-웨스트 종자(East-West Seed)의 21만 달러를 포함한다.
-
지난달 30일 강원도는 춘천 중도 레고랜드 사업 주체인 강원도중도개발공사(GJC)가 부담하고 있는 2050억 원 규모의 부채를 상환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더불어 사업을 계속 추진하는 대신에 GJC를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농업과 관광산업이 주력인 강원도는 다양한 관광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하지만 정부 차원에서 지원한 정선 내국인 카지노를 제외하고 좋은 성과를 낸 프로젝트는 드물다. 10년 동안 1조6000억 원을 투자해 2021년 8월 매각한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는 경찰 수사로 이어졌다.전임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재임 기간 동운 추진한 레고랜드조성사업이 부실에 늪에 빠지면서 곤혹스러운 상태다. 정권교체가 이뤄진 강원도의회도 비판의 수위를 높이고 있는 중이다. 6·1 지방선거에서 도지사 후보자들이 제시한 선거공약을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가 개발한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 모델을 적용해 평가해 봤다. ◇ 보수·보수 교체 집권하며 치열하게 경쟁역대 민선 강원도지사는 최각규·김진선·이광재·최문순·김진태다. 민선1기 최각규는 공무원 출신으로 농림수산부·상공부·경제기획원 장관과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2·3·4기 김진선은 행정고시에 합격한 후 제37대 강원도 영월군수·제23대 강릉시장·제14대 경기도 부천시장·강원도 행정부지사 등 다양한 관선 직위를 거쳤다.5기 이광재는 제13대 국회의원인 노무현의 비서관으로 정치에 입문했으며 노무현정부의 국정상황실장을 거쳐 제17·18·21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도지사에 당선된 이광재는 정치자금법 위반 등의 혐의로 직무가 정지됐다가 2011년 1월 대법원 상고심에서 유죄가 확정되면서 도지사직을 잃었다. 8기 더불어민주당 강원도지사 후보로
-
나이지리아 금융 및 자산운용사인 스탠빅 IBTC(Stanbic IBTC Asset Management)에 따르면 2022년 2월 중순 N1000억나이라 규모의 인프라 펀드 2차 분할 발행을 시작할 계획이다.2022년 2월 중순 필요한 규제 승인을 모두 확보한 후 보다 많은 적격의 투자자들이 투자 기회를 활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2021년 9월 30일 인프라 펀드 1차 분할 발행은 투자자들에게 모두 1단위당 3.24나이라로 분배했다. 인프라 펀드는 실행 가능한 인프라 프로젝트의 추진업체들과 기관 투자자들을 연결하기 위해 고안됐다.스탠빅 IBTC는 국가의 기존 인프라 부족을 해소하는 프로젝트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국가 거시경제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스탠빅 IBTC(Stanbic IBTC Asset Management) 홈페이지
-
2017-09-28필리핀 시멘트수입협회(PCIA)에 따르면 향후 4년동안 시멘트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인프라 구축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2017년 시멘트 수입량은 2016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인프라 프로젝트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시멘트, 철강 등에 대한 재고를 확보하고 있는 중이다.현재 관련 기업들은 시설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지만 정상 가동까지는 최소한 3~4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시멘트 등에 대한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품질이 낮은 제품이 수입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시멘트는 중국, 베트남 등에서 수입되고 있다.▲건자재업체 홀심(Holcim Philippines) 로고
-
우크라이나 트랙터 생산업체 KhTZ에 따르면 2017년 2~4월 중반 트랙터 누적 생산량은 302대로 집계됐다. 지난 10개월간 공장가동이 중단됐다 재개된 이후 첫 통계다.해당업체는 국내 트랙터 생산공장을 운영하는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다. 2015년 경기가 둔화되면서 기업 내 자금조달, 임금체납 등 문제로 공장운영이 어려워져 임시로 가동을 중단했다.2016년 하반기 국제기구의 금융지원을 통해 농업현대화 및 건설 인프라 프로젝트가 추진되기 시작했다. 결국 농가나 건설현장에서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는 트랙터 수요가 점점 늘어나게 된 것이다.당사는 1931년 10월에 설립됐으며 본사 및 공장은 하르키프(Kharkiv)에 소재하고 있다. 국내 대표 트랙터 생산공장은 당사를 비롯해 첼랴빈스크(Chelyabinsk) 지역 ChTZ까지 총 2개다.▲KhTZ 로고
-
인도 아부자시멘트(Ambuja Cement)에 따르면 2016년 12월마감 4분기 순이익은 17억588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60%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의 경우 10억9960만 루피를 기록했다.하지만 4분기 영업이익은 223억13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237억9220만 루피 대비 6.64% 감소했다. 4분기 실적이 호조를 보인 것은 비현금결제를 도입했기 때문이다.2017년의 경우 정부의 인프라프로젝트가 잘 진행되고 있으며 주택프로젝트도 많이 추진되고 있어 실적이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지방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것도 실적전망을 밝게 만들고 있다.▲아부자시멘트(Ambuja Cement) 로고
-
▲ 싱가포르 정부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싱가포르 환경청(NEA)에 따르면 2016년 3월 건설기금(QCE)의 인프라 프로젝트 '자금현황'을 재검토 중이다. 2014년 4월 시작된 S$ 130만달러 규모의 41개 프로젝트가 '고비용' 문제로 기업지원에 애로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
[인도네시아] 자동차공업협회, 2016년 자동차 연간 판매량 2015년 대비 10% 이상 증가 전망... 2015년 말부터 인플레이션 축소 및 2015년 대비 2016년 경제성장률 상회 전망·2015년 후반기 이후 대규모인프라프로젝트 투자 증가 등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