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자금 확보"으로 검색하여,
3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인프라기업 케펠(Keppel) 아시아개발은행(ADB)과 엔터프라이즈 싱가포르(EnterpriseSG)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자사의 파이프라인 사업을 지속 가능한 형태로 운영한다.[출처=케펠 홈페이지]2024년 8월 동남아시아 건설업 주요동향은 싱가포르 인프라기업의 파이프라인 사업, 필리핀 부동산 개발업체의 재정 정책을 포함한다.○ 싱가포르 인프라기업 케펠(Keppel)은 아시아개발은행(ADB)과 엔터프라이즈 싱가포르(EnterpriseSG)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동남아시아 국가를 시작점으로 2025년에서 2030년까지 해당 프로젝트의 가치를 US$ 8억 달러로 상승시킬 방침이다. 프로젝트는 자사의 사모펀드와 사업 신탁을 위한 파이프라인 사업의 일환이라고 밝혔다.여기에 탈탄소화와 재생 에너지, 전기자동차, 친환경 건설을 포함해 운용할 계획이다. 아시아·태평양 에너지 전환 및 지속 가능성을 위함이다.○ 말레이시아 트로피카나 코퍼레이션(Tropicana Corporation Bhd)의 자회사 트로피카나 퍼스트와이드(Tropicana Firstwide Sdn Bhd)는 조호르바루 겔랑 파타 지역의 자유보유 토지 27.7헥타르를 3억8300만 링깃에 매각한다. 대상은 일본 NTT데이터그룹(NTTグループ) 자회사다.트로피카나는 이번 거래에 대해 데이터 센터 개발과 관련된 자국의 엄격한 토지 요건을 준수하면서도 디지털 경제에 대한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역량을 보여준 것이라고 분석했다.전기와 및 수자원 인프라를 지닌 전략적 토지를 제공하는 기업으로서 데이터 센터 운영자 혹은 다국적 기업(MNC)들과 파트너십을 맺는다. 트로피카나는 조호르에 728에이커스(약 294만6111m²)의 땅을 소유하고 있다.○ 필리핀 아얄라 그룹의 자회사이자 부동산 개발업체 아얄라 랜드(Ayala Land, ALI)는 2024년 하반기 동안 자금 300억 페소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자본 지출을 가속할 방침이다.2024년 대출한 약 500억 페소 중 200억 페소는 재융자에 썼다고 밝혔다. ALI는 올해의 자본지출액에 1000억 페소를 배정했으며 전년 862억 페소와 비교해 16% 증가했다.ALI는 최근 130억 페소 상당의 프로그램을 통해 자사의 쇼핑몰을 재창조한다. 마카티에 위치한 글로리에타와 그린벨트, 케손시티에 자리한 트라이노마, 그리고 세부의 아얄라 센터를 2028년까지 재개발한다.
-
▲ 필리핀 디지플러스(DigiPlus) 로고[출처=디지플러스 홈페이지]2024년 8월 2주차 필리핀 경제는 아얄라 그룹 자회사 아얄라 랜드(ALI)의 2024년 하반기 계획과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업체의 2024년 2분기 실적을 포함한다.○ 필리핀 아얄라 그룹의 자회사이자 부동산 개발업체 아얄라 랜드(Ayala Land, ALI)는 2024년 하반기 동안 자금 300억 페소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자본 지출을 가속할 방침이다.2024년 대출한 약 500억 페소 중 200억 페소는 재융자에 썼다고 밝혔다. ALI는 올해의 자본지출액에 1000억 페소를 배정했으며 전년 862억 페소와 비교해 16% 증가했다.ALI는 최근 130억 페소 상당의 프로그램을 통해 자사의 쇼핑몰을 재창조고자 한다. 마카티에 위치한 글로리에타와 그린벨트, 케손시티에 자리한 트라이노마, 그리고 세부의 아얄라 센터를 2028년까지 재개발한다.○ 필리핀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업체 디지플러스(DigiPlus)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순이익은 32억 페소로 전년 동기 대비 389% 증가했다.이에 대해 디지털 소매 부문에서의 성과와 더불어 국영 사행성산업운영사인 필리핀오락게임공사 파콜(PAGCOR)과의 게임 수익 분배 합리화를 원인으로 분석했다.이용자 트래픽 증가와 새로운 게임 콘텐츠 제공으로 인해 매출은 189억 페소로 전년 대비 295% 증가했다. EBITDA는 2023년보다 351% 증가한 34억 페소였다.디지플러스는 운영자들에게 백 엔드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파콜을 대신해 슬롯 머신을 대여하고 슬롯 아케이드를 운영한다.
-
▲ 인도 복합기업인 아다니 그룹(Adani Group)이 운영하는 아마다바드(Ahmedabad) 공항 사진. (출처: 홈페이지)인도 복합기업인 아다니 그룹(Adani Group)에 따르면 2024년 중반까지 서아시아 기반 국부펀드를 통해 2157억7000만 루피를 유치할 계획이다. US$ 26억 달러에 달하는 금액이다.이번 펀드를 유치하려는 목적은 공항 사업의 확장, 그린 에너지 부문의 성장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펀딩할 일정에 대한 세부사항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투자 자금의 유치를 위해 아다니 그룹의 공항 운영 자회사나 그린수소 사업의 지분을 매각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공항 운영사업은 수익성이 높아 인수하려는 기업이 많은 편이다.아다니 그룹은 향후 10년 동안 국내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주와 텔렝가나(Telangana)주에 6240억 루피를 투자할 계획이다.참고로 아다니 그룹은 2023년 카타르 투자청, 토탈에너지, GQG 파트너스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기업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
나이지리아 라고스 본사의 아프리카 최대 전자결제 및 인프라기업인 인터스위치(Interswitch)에 따르면 2개의 민간투자회사로부터 US$ 1억1000만달러의 공동 투자를 받았다. 상기 민간투자회사는 리프프로그(LeapFrog), 티아나 아프리카 캐피탈(Tiana Africa Capital) 등이다. 이번 투자금은 아프리카 대륙 전체에 걸쳐 디지털 결제 서비스를 확장하는 데 사용할 계획이다. 2002년 설립된 인터스위치는 전자결제와 디지털 전환 서비스를 도입하여 국내의 현금 주도 경제를 혼란시켰다. 인터스위치가 국내의 금융계에 진출했을 때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는 국민은 20만명 미만으로 추정된다.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휴대폰에 적응하고 있다. 인터스위치가 설립되기 6년 전부터 운영 허가를 받은 다른 전자결제 서비스가 존재했음에도 인터스위치는 모든 은행에 연결된 국내 최초의 전자결제 서비스가 됐다. 2022년 5월 현재 나이지리아 온라인 뱅킹 시스템의 결제 채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 대상 서비스 제공업체로 잘 알려져 있다.퀵텔러(Quickteller)는 청구서 지불 및 항공권 구매를 위한 온라인 소비자 서비스 플랫폼이다. 디스커버(Discover)와 제휴를 통해 185개 국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범아프리카 직불 카드 제도인 버브(Verve)를 제공한다.퀵텔러와 버브는 이미 아프리카 23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다. 감비아, 우간다, 케냐 등에는 실제 진출해 있다. 2022년 현재 인터스위치의 기업가치는 10억달러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집계에 따르면 아프리카는 은행 계좌가 없는 성인 3억5000만명을 보유하고 있다. 세계 모바일 통신시스템(GSMA)은 세계 1조달러 모바일 머니 시장의 70%가 아프리카에 있다고 파악했다. 은행 및 금융업의 미래가 아프리카에 있다고 보는 이유다. 아프리카의 스타트업은 대부분 핀테크 스타트업이기도 하다. ▲인터스위치(Interswitch) 홈페이지
-
영국 핀테크 스타트업인 레더백(Leatherback)에 따르면 범아프리카 투자회사인 제드크레스트 캐피탈(ZedCrest Capital)이 주도한 사전 시드 라운드로 US$ 1000만달러를 모금했다. 이민자 및 일시적인 이주자, 유학생 등은 모두 국제 결제 및 지불과 외환을 필요로 한다. 레더백은 국경을 넘나드는 국제 결제 또는 외환을 위해 여러 통화를 제공한다. 모금된 자금은 핀테크 분야에서 레더백의 인지도를 높이고 금융 라이선스가 있는 많은 국가에서 사업 확장을 위해 사용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우간다, 인도, 아랍에미레이트 등이 포함된다. 제드크레스트 캐피탈은 기업 및 개인의 글로벌 모빌리티를 위한 운영 체제가 될 수 있도록 금융 기술 및 금융 인프라를 구축할 방침이다. 2022년 4월 기준 국내 및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통화를 교환할 수 있는 옵션과 함께 여러 통화 계좌를 제공한다.서비스 대상 국가는 영국, 캐나다, 인도, 나이지리아, 이집트, 우간다, 탄자니아, 앙골라, 남아프리카공화국, 아랍에미리트, 덴마크, 가나, 코트디부아르 등을 포함한다.▲레더백(Leatherback)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기술 주도 농업기업인 ThriveAgric에 따르면 지역 상업은행과 미국 투자기관으로부터 US$ 5640만달러의 자금을 조달했다.미국 국제개발처(USAID)가 출자한 서아프리카 무역 및 투자기관으로부터 175만달러의 공동 투자금을 받았다. 조달한 자금은 국내뿐만 아니라 가나, 잠비아, 케냐 등을 포함한 아프리카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데 사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만 농가 이상의 고객 기반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900만달러를 투자받은 이후 처음이다. ThriveAgric은 농민들이 급변하는 소비재(FMCG) 및 식품 가공업체들에게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농산물 생산성 향상 및 매출 개선에도 지원해 식량안보를 촉진하고 있다. 또한 자체 기술을 활용해 농민들이 금융에도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2022년 3월 현재 ThriveAgric은 Bauchi, Jigawa, Kaduna, Kano, Katsina 등의 주(states)에 있는 450곳 이상의 창고에 옥수수, 쌀, 콩 등을 포함한 다양한 농산물을 비축하고 있다. 향후 현지 및 글로벌 무역시장에 프리미엄 가격으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3월 중순 기준 지난 12개월 동안 ThriveAgric의 매출은 5배 증가했다. 동기간 농부의 수는 전년 대비 277% 늘어났다.▲ThriveAgric 홈페이지
-
2022-03-23케냐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 스타트업인 파워드 바이 피플(Powered by People)에 따르면 시드 라운드를 통해 US$ 500만달러의 자금을 확보했다. 국내뿐 아니라 미국, 아시아, 유럽 등에 사업 거점을 두고 있는 파워드 바이 피플은 B2B 온라인 시장을 사용하여 소규모 브랜드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거래량을 확대해왔다.이번 자금 조달을 통해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을 확장할 방침이다. 자금 조달은 Susa Ventures와 Golden Ventures 등이 주도했다. Flexport Ventures, J Ventures, DraftKings, Fabric 등을 비롯한 다수 투자자도 참여했다.2022년 3월 현재까지 조달한 총 자금은 700만달러로 집계됐다. 파워드 바이 피플은 공급망의 투명성과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고 있다. 소규모 생산 중심의 소매업체 및 소규모 브랜드 등과 연계해 사업을 펼쳐나가고 있다.파워드 바이 피플은 북미와 아시아를 포함한 주요 47개 국가에서 West Elm, The Citizenry 등 200개 이상의 브랜드 제품을 판매한다. 제품을 생산하는 장인은 4만5000명 이상이다. 2022년 3월 중순까지 총 150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연말까지 2500만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매출이 상승하고 있다. ▲파워드 바이 피플(Powered by People) 홈페이지
-
사우디 아라비아 광산기업인 아마크(Amak)에 따르면 기업공개(IPO)에서 US$ 10억700만달러, SR 40억리얄의 자금을 확보했다. 공모 가격은 63리얄이었으며 600만주에 달하는 주식이 투자자에게 매각됐다. 3일간 지속된 청약 기간 동안 예정 물량의 10.6배나 초과됐다. 개인 투자자를 유치해 광업 부문을 개혁하는 중이다.아마크는 소매에 앞서 기관투자자로부터 918억리얄 규모의 주문을 받았다. 이전 기업명은 Al Masane Al Kobra Mining Co.이며 구리, 아연, 금 및 기타 다양한 금속을 채굴하는 광산기업이다.사우디 아라비아 증권거래소는 2022년 50여개 기업의 상장을 예상하고 있다. 향후 더 많은 국내 기업들이 투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상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마크(Amak) 홈페이지
-
2022-02-05인도 핀테크 기업인 자(Jar)에 따르면 2022년 2월 시리즈 A 펀딩에서 US$ 3200만달러 투자금을 확보했다. 벵갈루루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설립된지 9개월밖에 되지 않은 신생 기업이다.이번 투자는 미국 뉴욕에 기반을 두고 있는 투자업체인 타이거 글로벌(Tiger Global)이 주도했다. 다른 투자자들은 Rocketship.vc, Stonks, Force Ventures, Arkam Ventures, Klarna founder Victor Jacobsson, Suleman Ali of Ali Capital, Shamir Karkal of Sila Money, Byron Ling of Cannan Partners, Joel John of Ledger Prime 등이다. 시리즈 A에서 기업 가치는 2억달러 이상으로 인정받았다. 현재 10억명 이상의 인도 국민들이 은행계좌를 소유하고 있지만 투자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지난 수십 년 동안 은행들과 뮤추얼 펀드들은 국민들로부터 투자를 유도했지만 약 3000만명 정도의 투자자를 확보하는데 그쳤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자는 국민들이 선호하는 투자처인 금을 매개로 금융상품을 개발했다. 현재 국민들은 1.5조달러 가치 이상의 금을 개인적으로 보유하고 있다.▲자(Jar) 로고
-
아프리카 모빌리티 핀테크 기업인 무브(Moove)에 따르면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대륙에서 자동차 금융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US$ 1000만달러의 자금을 확보했다.무브는 미국의 글로벌 승차공유 서비스기업인 우버(Uber)의 차량 공급 협력업체이기도 하다. 이번 자금 투자는 NBK Capital Partners가 처음으로 아프리카에 투자를 주도하는 것이다.무브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자동차 자금 조달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사업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2022년 2월초 이번 투자를 포함해 무브는 총 7800만달러를 모금했다. 이번 자금은 더 많은 모빌리티 기업가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 운영을 확장해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하는데 사용할 계획이다.무브는 정상적인 금융기관의 신용에 접근할 수 없는 수백만 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프리카 최초의 모빌리티 핀테크를 구축할 방침이다. 우버와 협력함으로서 비전을 공유하고 신뢰 또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무브(Moove) 홈페이지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