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자율주행 버스"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인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 자동차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자동차 제조업체인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에 따르면 2027년부터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한 이동 서비스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자체적으로 개발한 자율주행자동차를 전국 시정촌에 투입해 유료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해진 지점에서 승하차하도록 장소를 선택할 방침이다.현재 대다수 지방은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버스, 택시 등 대중교통 수단의 운전자가 부족해 정상적인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유료 이동 서비스 사업을 준비하기 위해 2024년부터 요코하마시에서 실증 실험을 시작할 예정이다. 2027년까지 특정 조건 하에서 완전 자동으로 운전하는 레벨 4에 상응하는 기술을 개발해 무인 차량 서비스를 제공한다.참고로 혼다자동차는 2026년부터 도쿄에서 미국 제너럴모터스(GM)과 공동으로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는 자율주행 택시 서비슬 시작한다고 밝혔다.
-
▲ 일본 후쿠오카시(福岡市) 전경 [출처=위키피디아]일본 후쿠오카시(福岡市)에 따르면 2023년 11월25일 오후 3시경 실증실험에 투입된 자율주행 버스가 택시와 접촉한 사고가 발생했다.사고 장소는 후쿠오카시 히가시구의 JR하코자키역 동쪽 출구의 로타리다. 자동으로 운전하는 버스가 주행 중에 뒤에 온 택시와 충돌했다.버스는 자동으로 발진이나 정지하는 '자동운전모드'로 로타리 내를 주행했다. 전방에 멈춰 있는 차를 발견해 자동으로 정하했다 다시 출발하면서 뒤에서 오는 택시와 부딪혔다.자율주행 버스는 레벨2에 해당되는 기능을 장착했으며 엑셀레이터, 브레이크 등을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사고 당시 버스에는 운전을 보조하는 오퍼레이터 1명, 승객 6명이 탑승해 있었다.택시에는 운전자 1명과 승객 1명이 탑승했었다. 다행스럽게도 버스와 택시에 탑승한 승객이나 운전자 모두 부상을 당하지는 않았다.후쿠오카시는 사고의 원인이 밝혀지고 대책을 마련할 때까지 실증실험을 중단할 방침이다. 후쿠오카시는 2023년 11월22일부터 JR하코자키역 주변에서 자율주행 버스의 실험을 시작했다.
-
▲ 일본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東広島市)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철도회사인 JR서일본(JR西日本)에 따르면 2023년 11월7일부터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東広島市)에서 자율주행하는 대형 버스가 대열을 짜고 주행하는 실증실험을 시작했다. 전국 최초이다.기간은 7일 오전 11시부터 1개월 간이다. 히가시히로시마시의 사이조역과 히로시마대 히가시히로시마 캠퍼스를 연결하는 약 12킬로미터(km)의 구간에서 진행된다.대열 운행을 하고 있는 버스가 차간 거리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있는지, 안전하게 출차할 수 있는지 등을 기술적으로 검증할 방침이다.실험에는 일반 대형버스가 투입되는데 버스 2대를 연걸한 '연절 버스'도 사용된다. 연절 버스의 길이는 약 18미터(m)이며 승객 100명 정도가 탑승할 수 있다.연절 버스와 대형 버스가 15m 간격을 유지하면서 대열을 형성하며 운행된다. 한 번에 많은 승객을 수송하는 상황을 가정해 연절 버스를 투입하는 것도 처음이다.버스에는 △전방의 차나 장애물의 형태와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차선 등을 식별하는 카메라 △고정밀도의 GPS로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계측하기 위한 안테나 등이 장착돼 있다.일본 운송회사는 고령화, 인구 감소, 청년층의 기피 등으로 열차, 버스, 화물차의 운전자를 구하지 못해 사업을 축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기업들이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발에 주력하는 이유다.
-
2022-05-03영국 엔지니어링 컨설턴트 업체인 퓨전 프로세싱(Fusion Processing)에 따르면 2022년 4월 마지막주 국내 최초로 새로운 자율주행 버스 5대가 스코틀랜드에서 테스트를 위해 도로 주행을 시작했다.정부의 CAV포스(CAVForth) 시범 운행 계획의 일환이다. 다가오는 올 여름부터 승객들은 상기 자율주행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CAV포스 시범 운행 계획에 따라 5대의 단층 자율주행 버스가 스코틀랜드의 여러 지역을 운행한다. 페리톨 파크와 라이드 인 파이프 사이의 포스 로드 브릿지와 에든버러 파크의 기차 교차로, 트램 교차로 등이 포함된다.이번 자율주행 버스는 운전사가 개입하거나 통제하지 않아도 미리 선택된 도로를 달릴 수 있게 해주는 많은 센서들을 장착하고 있다. 주행거리는 최소 14마일이며 최대 36명의 승객을 태운다. 1주일에 1만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 퓨전 프로세싱은 "세계에서 가장 복잡하고 미래 지향적인 자율주행 버스 프로그램을 구현할 것"이라고 밝혔다.▲퓨전 프로세싱(Fusion Processing) 로고
-
일본 국제공항인 나리타국제공항(成田国際空港)에 따르면 2022년 2월 14일부터 로컬 5G 등을 활용한 자율주행 버스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2022년 2월 28일까지 진행된다. 해당 시범 사업은 민간통신회사인 KDDI와 전기통신회사인 동일본전신전화(NTT東日本), 딥데크 스타트업인 Tier IV Inc(ティアフォー)와 협업한다. 노동 인구의 감소에 따라 다양한 이동 및 물류 서비스를 담당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한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해결책의 하나로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할 방침이다. 제한구역 내의 터미널 간의 버스 루트의 일부를 자율주행한다. 실증실험을 통해 인력 부족에도 대응하며 차량 사고 리스크를 경감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나리타국제공항(成田国際空港) 로고
-
2021-05-31영국 자율주행차량 공학기술기업인 오리고(Aurrigo)에 따르면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2년간 지연된 연중 무휴 자율주행 셔틀 버스의 시험 운행을 거리에서 시행할 계획이다.자율주행 셔틀 버스는 다른 차량들과 함께 캠브리지대(University of Cambridge)의 웨스트 캠브리지(West Cambridge) 캠퍼스 주변 도로를 달릴 것이다. 오리고, 그레이트 캠브리지 파트너십(Greater Cambridge Partnership, GCP), 스마트 캠브리지(Smart Cambridge) 등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팀은 상기 시험 운행 장소로 웨스트 캠브리지 캠퍼스를 선택했다. 시험 기간 동안 3대의 자율주행 셔틀 버스가 캠퍼스를 시속 20마일로 주행한다. 각각의 자율주행 셔틀 버스에는 자율주행 환경 지도를 만드는 센서들, 많은 레이저 스캐너, 카메라들이 장착돼 있다.안전 작업자들은 시험 중에 자율주행 셔틀 버스에 탑승하며 필요한 경우 즉시 자율주행 셔틀 버스를 제어할 수 있다.2021년 6월 중에 10인승 자율주행 셔틀 버스에 탑승할 승객을 선발하는 추가 승객 시험이 계획되어 있다. 반면 지역 주민들은 자율주행 셔틀 버스의 시험 운행이 교통사고 위험을 유발할지도 모른다며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정부 산하 교통부는 국내 최초의 자율주행 셔틀 버스의 시험 운행이 국가의 미래 기술 발전에 획기적일 것으로 판단한다.▲자율주행 셔틀 버스(출처 : 오리고 홈페이지)
-
2021-01-18영국 운송파트너십인 하이트랜스(Hitrans)에 따르면 인버네스(Inverness) 캠퍼스 주변에서 자율주행 버스를 운행할 계획이다.프로젝트는 €25만 유로의 PAV(European Planning for Autonomous Vehicles) 자금를 지원받았다. 몇 주 동안 진행되며 6~12명의 승객을 태울 예정이다. 필요한 경우에는 운전 기사가 탑승할 방침이다.2030년대까지 널리 사용되기를 희망하는 프로젝트가 유럽 전역에서 진행됐다. 하이트랜스는 현재 파일럿 프로그램의 규모, 인프라 요구 사항, 법률 검토, 지역 자금 조달 메커니즘, 거버넌스 모델 및 위험 관리를 포함하는 구현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또한 회사는 로버트고든대(Robert Gordon University)와 협력해 오크니(Orkney)에서 마이크로 커넥티드 자율주행 차량(CAV)을 테스트할 2차 파일럿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이와같이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보다 다양한 테스트 운행이 보다 광범위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자율주행차량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아이템이다.▲ UK-Hitrans-AutonomousCar▲ 하이트랜스(Hitran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교통시스템회사 HMI Technologies에 따르면 크라이스트처치에서 자율주행 전기셔틀버스 운행을 시작할 계획이다. 자회사인 Ohmio Automation에서 담당하게 된다.자율주행 전기셔틀버스는 혼잡한 도심지역에서는 적절하지 않지만 은퇴촌, 공항, 대학 캠퍼스 등 주변환경을 통제하기 쉬운 지역부터 운행할 예정이다.장거리보다는 단거리를 운행하는데 맞게 설계됐고 대중교통이 연결되지 않은 일부 교외지역부터 운행하게 된다. 2018년부터 4가지 모델을 생산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Ohmio Automation 전기셔틀버스(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