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제제"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12-11▲ GC녹십자 로고[출처=GC녹십자]GC녹십자(회장 허일섭)에 따르면 2024년 12월11일(수요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ABO 홀딩스의 지분 전량을 인수한다고 공시했다.GC녹십자는 이번 혈액원 인수를 통해 혈장분획제제의 원료 확보에서부터 생산, 판매에 이르기까지 수직계열화가 완성됐다. 혈액원 인수를 퀀텀점프의 발판으로 삼아 글로벌 탑티어 혈액제제 회사로 도약할 계획이다.GC녹십자는 2024년 7월부터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는 혈액제제 알리글로의 사업 확대를 위한 안정적 원료 공급처 확보 목적으로 혈액원 인수를 추진했다.ABO 홀딩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회사로 뉴저지, 유타, 캘리포니아 등 3개 지역에 6곳의 혈액원을 운영하고 있다.텍사스주에 2곳의 혈액원이 추가로 건설 중이며 완공이 되는 오는 2026년부터 총 8곳의 혈액원이 가동될 예정이다.한편 알리글로는 2023년 1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한 면역글로불린 혈액제제로 선천성 면역 결핍증으로도 불리는 일차 면역결핍증(Primary Humoral Immunodeficiency)에 사용되는 정맥투여용 면역글로불린 10% 제제다.이 제품은 회사의 독자적인 ‘CEX 크로마토그래피(Cation Exchange Chromatography)’ 공법을 통해 제조, 혈액응고인자(FXIa) 등 불순물 검출을 최소화하는 등 기존 약물 대비 뛰어난 안전성을 강점으로 갖고 있다.
-
[영국] 광산기업 앵글로 아메리칸(Anglo American),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사업체 드비어스(De Beers) 매각 약속… BHP 그룹에서 앵글로아메리칸 인수 철회 후 구조조정 일환으로 대안 제시[영국] 유나이티드 노조, 6월 석유‧(항공유) 수송 운전사 6월 2차례 파업 예고… 스코틀랜드‧북서부 전역 배송에 차질 예상[영국] “주유는 잠시 미루세요” 정부, 디지털시장‧경쟁및소비자법 발효로 기름값 인하 기대… 유류비 유럽서 제일 높아 리터당 휘발유 1.49파운드, 경유 1.55파운드[러시아] 서구 경제제재에도 러시아 기업들이 엔비디아(Nvidia) 컴퓨팅 가속기 및 AI 부품들 지속 구매… 단 구매 비용은 계속 상승해 부담 가중[스페인] 산탄데르은행(Banco Santander), 3000만 고객 및 직원 정보 유출… 해커 그룹 샤이니헌터스(ShinyHunters) 배후 자처 “해킹한 데이터 200만 달러에 판매한다” 광고▲ 장은영 기자[출처=iNIS]
-
2023-04-13▲ 러시아 알루미늄 제련기업인 루살(Rusal)의 공장 전경 [출처=홈페이지]러시아 경제신문인 코메르 산트(Kommersant)에 따르면 2022년 9월 서방 경제제재 조치로 광물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42.7% 급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루블화 가치가 상승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운송비가 최종 가격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오른 것도 부정적인 요인이다. 특정 광물은 수출을 위해 동부 지역으로 운송해야 하는 거리만 9000킬로미터에 달할 정도로 긴 편이다.알루미늄 제련기업인 루살(Rusal)은 수출을 위해 동부 지역 운송한 물량이 전년 대비 47% 확대했다. 철광기업인 에브라즈(Evraz)에 비해 50%나 많은 수치다. 에브라즈는 과거에도 동부 지역으로 운송해 수출을 많이 하던 기업으로 올해 수출량은 470만 톤을 넘어섰다.국영철도공사(Russian Railways)는 운송비를 할인할 계획이지만 물량을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국영철도공사와 협상하고 있는 광산기업은 5개가 넘는다.9월 기준 중국으로 운송비는 톤당 US$ 619달러로 8월의 598달러 대비 소폭 상승했다. 대부분의 광물에서 운송비는 최종 수출가격의 15~20%에 달한다. 일반적인 비율은 10% 내외이기 때문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
미국 바이든 행정부에 따르면 중국 드론 대기업 DJI 등 42개 기업 및 단체에 대해 인권침해와 군사개발에 관여했다는 혐의로 제재를 가하기로 결정했다.재무부에서는 드론 제조업체인 DJI, 슈퍼컴퓨터 제조업체인 중커수광(中科曙光·Sugon), 인공지능(AI) 개발업체인 메그비(Megvii, 旷视科技) 등 8개사를 투자 금지 대상에 추가했다. 이들 기업들의 기술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위구르족 탄압에 활용되고 있다. 상무부 역시 안보에 문제가 있는 기업에 관한 Entity List 항목에 34개의 법인을 추가했다.중국의 연구소 군사 의료 과학 아카데미 및 산하기관이 대상으로 바이오테크놀로지를 사용해 뇌를 제어하는 무기 등 군사 개발에 관여한 혐의다. 또한 군사개발이나 이란과의 거래에 관련된 전자기기 제조사 등에도 금수조치를 부과했다.▲ 백악관 홈페이지
-
독일 자동차제조업체 다임러(Daimler AG)에 따르면 미국의 경제제재에도 불구하고 이란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2010년 이후 이란에서 자동차를 판매하지 않았지만 재개하려는 것이다.2016년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조치 강화 이후에도 이란시장에 돌아가겠다고 밝혔다. 2015년 미국과 서방국가가 이란에 대한 고립을 시도한 이후 보잉(Boeing), 에어버스(Airbus), 토탈(Total), 지멘스(Siemens) 등이 재진출했다.2018년 5월 다임러(Daimler AG)는 미국 정부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이란에 재진출할 것이라고 표명했다. 유럽연합(EU)은 지역내 기업들이 이란에 진출할 수 있도록 미국 정부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이란에 대해 경제제재 조치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란이 호르무즈해협을 봉쇄하면서 국제원유시장을 교란하는 것도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다임러(Daimler AG) 로고
-
러시아 농업부 자료에 의하면 2015년 벨라루스산 농산품 수입총액은 37억달러로 전년 대비 24% 감소했다. 또한 러시아 농산품의 대벨라루스 수출도 24% 감소해 양국간 농업무역이 모두 축소하고 있다.벨라루스는 러시아·카자흐스탄과 함께 유라시아경제연합(Eurasian Economic Union, EEU) 가입국이다. 2012년 위 3국의 관세동맹 출범을 시작으로 창설된 EEU는 러시아가 주도적으로 만든 경제공동체다. 최근 CIS 소속국가에서 친서방, 친유럽 지향의 사회 분위기가 태통하자 러시아가 이들의 유럽으로의 이탈을 막기 위해 유럽연합(EU)과 흡사한 기능을 하는 EEU를 설립한 것이다.2015년 1월 러시아·벨라루스·카자스흐탄·아르메니아가 EEU에 가입했다. 2015년 8월 키르기스스탄까지 가입해 2016년 4월 현재 EEU가입국은 총 5개국이다. 블록경제 구분상 벨라루스는 EEU소속으로 러시아와의 무역 및 경제교류가 더 활발해야하는데 2015년 양국의 농업부문 수출입은 모두 감소했다.미국 EU 등 서방이 러시아에 경제제재를 가하고 러시아는 대러 제재국들에 대한 금수조치로 맞대응하면서 강대국 틈바구니에 낀 벨라루스도 피해를 입고 있는 것이다.2015년 한 해 동안 러시아는 벨라루스 국경을 통한 EU 및 북미산 농식품 수입을 막기위해 벨라루스산 제품에 대한 통관절차를 강화하고 감시·감독을 엄격히 통제했다.▲유라시아경제연합(EEU) 로고와 2016년 4월 현재 가입국 현황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