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충전 설비"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도요타자동차의 하이브리드차(HV)인 프리우스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정부에 따르면 2024년도부터 전기자동차(EV)의 구입에 지급하는 보조금 산출 기준을 재검토할 계획이다. 충전 설비나 고장 대응 등 자동차제조업체의 환경정비도 평가에 포함하려는 것이다.현재 보조금은 최대 65만엔으로 책정돼 있다. 하지만 항속 거리, 엔진차의 연비에 해당하는 전비, 외부 급전 기능의 유무 등에 따라 최대 85만엔으로 증가된다.2024년부터 제조업체의 판매상이 보유하고 있는 충전 설비의 숫자, 수리·정비 대응력, 재해시에 현지 지방자치단체에 전기차를 파견하는 협정을 맺고 있는지, 사용이 끝난 EV용 배터리의 회수 노력 등도 평가한다.2022년 기준 EV의 판매량은 7.7만대로 전체 판매된 승용차의 2% 수준에 머물렸다. EV의 가격이 높은데 반해 충전 설비가 부족하고 고장시 대응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정부는 저렴하고 고품질의 EV를 보급하기 위해서는 제조업체 전체가 소비자에게 신뢰를 심어줘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새로운 기준을 수립하려는 것도 EV 시장 전체에 대한 환경을 정비하려는 목적이다.2050년까지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을 실질적으로 제로(0)로 만들 방침이다. 2035년까지 국내 신차 판매의 100%를 EV나 하이브리드차(HV) 등 전기차가 되도록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청정에너지자동차도입촉진보조금'은 친환경차의 종류, 서능, 기능에 따라 보조금이 결정된다. 새로운 규정은 제조업체마다 보조금이 달라져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
2023-03-22▲ 일본 에너지기업인 이데미츠코산(出光興産)이 운영 중인 주유소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글로벌 에너지기업인 이데미츠코산(出光興産)에 따르면 전기차(EV) 충전설비 관련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전국에 포진한 6200개에 달하는 서비스점을 활용할 방침이다.특약점 및 판매점 등 오랜 기간 사업을 영위하며 형성한 유대관계가 시장을 공략하는 주요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전기차도 충전뿐 아니라 유지관리, 부품교체 등 정비에 대한 수요를 대응하는 것이 사업의 성패를 좌우한다. 모빌리티 산업 전반에 대한 최적의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현재 에너체인지(ENECHANGE)와 같은 스타트업이 EV 충전설비 시장을 공략하고 있어 대비책을 세우고 있다. 에너체인지는 2015년 설립된 기업으로 전력 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업 다각화에 성공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