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플라스틱 봉투"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싱가포르 셈코프(Sembcorp), 세노코 에너지(Senoko Energy) 지분 30% 인수해[출처=셈코프 홈페이지]2024년 9월19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일본 소매업 체인점 돈돈돈키(Don Don Donki)는 2024년 10월1일 시작으로 싱가포르 지점에서의 비닐 봉투 판매를 완전히 중단한다.말레이시아 오일테크 인터네셔날은 현지와 아프리카, 중앙아메리카에 공장을 설립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싱가포르 셈코프(Sembcorp), 세노코 에너지(Senoko Energy) 지분 30% 인수해일본 소매업 체인점 돈돈돈키(Don Don Donki)는 2024년 10월1일부터 싱가포르 아웃렛 16개 지점에서 비닐봉투 판매를 중지한다. 2021년 국립환경청(NEA)이 발표한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캠페인의 연장선이다.소비자에게 재사용 가능한 가방을 권하며 지속 가능성을 추구한다. 향후 홍콩, 대만, 마카오, 말레이시아 등 타지역에서도 비닐봉투 판매를 중단할 계획이다.셈코프 인더스트리즈(Sembcorp Industries)와 그 자회사 셈코프 유틸리티즈(Sembcorp Utilities)는 프랑스 엔지 글로벌 디벨롭먼츠(ENGIE Global Developments B.V.)의 세노코 에너지(Senoko Energy) 지분 30%를 인수했다.셈코프는 싱가포르의 주요 전기 공급업체의 지분을 인수함으로써 자사의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보완했다. 셈포크는 복합기업으로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오일테크 인터네셔날(Oiltek International Ltd), 글로벌 공장 설립 등 약 1950만 링깃 상당의 계약 맺어말레이시아 오일테크 인터네셔날(Oiltek International Ltd)은 현지를 포함해 아프리카, 중앙 아메리카에서 약 1950만 링깃에 달하는 계약을 확보했다고 밝혔다.물리적 정제 공장, 건식 분류 공장, 중화 공장 등의 설계·제작부터 시험 작업을 거쳐 새로 설립하며 텍스터라이징(Texturizing) 공장의 냉매 제어 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이다.오일테크는 싱가포르 코 브라더스 에코 엔지니어링(Koh Brothers Eco Engineering Limited)의 자회사다.
-
▲ 싱가포르 환경위원회(SEC) 홍보 자료 [출처=홈페이지]싱가포르 환경위원회(Singapore Environment Council, SEC)에 따르면 슈퍼마켓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봉투'가 매년 8억2000만개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1인당 연평균 146개씩 소비하는 꼴이다.이 정도 봉투량이면 원재료로 사용된 석유로 섬 전체 길이에 약 190만대의 자동차를 운행시킬 수 있다. 해안선을 따라 펼쳐진 126개의 정원과 공원도 전부 덮을 수 있다.플라스틱 봉투의 남용도 문제지만 처분된 폐기물로 발생하는 환경오염은 더욱 심각하다. 넘쳐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이미 토양 및 해양오염의 주범으로 자리잡고 있다.위원회 측은 플라스틱 봉투의 사용량을 감축시키기 위해 요금제와 공교육, 2가지를 제시했다. 요금제는 봉투값을 부과, 공교육은 생활폐기물의 순환과정을 인식시키는 것이다.요금제의 경우 영국의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2013년 영국 내 슈퍼마켓용 비닐봉투의 사용량은 74억개였으나 2015년 봉투에 요금을 부과한 이후 약 2년만에 21억개로 급감됐다.문제는 요금제를 도입해도 봉투 사용량이 줄어드는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는 점이다. 대만의 경우 요금을 청구한 이후 일시적으로 소비량이 줄었지만 장기적으로는 늘어났다.결국 요금제보다는 공교육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이 위원회의 입장이다. 플라스틱의 생성과정부터 폐기처분, 재활용 단계까지 학교 및 사회 전영역에 관련 교육을 시행할 계획이다.특히 현 교육세대에 플라스틱의 절약적인 소비와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주입시키는 것이 주목표다. 환경문제는 일시적인 사안이 아닌 미래의 지속적인 과제이기 때문이다.
-
2018-07-12▲ 말레이시아 정부 로고말레이시아 정부에 따르면 2018년 플라스틱 봉투에 이어 '플라스틱 빨대' 사용도 줄여나갈 계획이다. 환경정책의 대상이 점점 확대되는 셈이다.지난 2017년 셀렝고르주와 쿠알라룸푸르주는 플라스틱 봉투의 사용을 금지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한 봉투당 20센을 지불하려고 해도 마트에서 판매하지 않았다.도입 초기에는 소비자들이 불편함을 호소했지만 점차 개인용 장바구니나 종이봉투 사용을 늘려가기 시작했다. 지금은 주 전지역에 이같은 형세가 잘 자리잡은 상태다.최근 미국 대형커피체인 스타벅스(Starbucks)에서 해양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플라스틱 빨대의 사용을 감축시키겠다고 발표했다. 어류의 생장저해도 주요인으로 꼽았다.말레이시아 정부도 플라스틱 빨대가 주요 소매점마다 남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했다. 플라스틱 컵과 더불어 빨대의 부적절한 처리방식과 오염실태도 지적했다.현재 정부 측은 플라스틱 빨대의 사용 금지 및 감축안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대체안인 친환경소재 빨대는 가게와 소비자의 비용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
▲ 필리핀 정부 로고필리핀 의회의 자료에 따르면 전직 대통령인 아로요 의원이 환경오염을 가중시키는 비닐봉투 판매를 금지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비닐봉투는 해양생물에도 치명적인데 비밀봉투에 쌓인 물고기, 플라스틱이 코에 박힌 바다거북, 플라스틱을 먹고 죽은 바다새 등이 발견되면서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우려가 점증되고 있다.플라시틱이나 비닐봉투를 그냥 매립할 경우 수질오염이 발생하고 태울 경우에는 다이옥신과 같은 화학물질이 배출돼 대기오염도 유발시킨다.
-
▲ 우크라이나 정부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우크라이나 키예프시에 따르면 2016년 11월 '플라스틱 봉투'에 대해 1킬로그램당 1.5그리브나의 판매가격제를 도입했다. 플라스틱 봉투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다.매년 포장재 폐기물만 수백만톤씩 발생하고 있으며 이중 플라스틱 봉투는 주요 쓰레기 중 하나다. 특히 토양 속 오염률이 높고 분해율은 낮다 보니 처리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ngs.
-
인도네시아 유통협회(APRINDO)에 따르면 2016년 10월 소매점에서 플라스틱봉투에 대한 가격지불제를 지속하기로 결정했다.해당 프로그램은 정부의 시범시행으로 이뤄지고 있었지만 유통협회측에서 플라스틱봉투의 남용과 환경오염을 억제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시행하게 됐다.▲플라스틱 봉투 사용줄이기 이미지(출처 : iNIS)
-
▲ 인도네시아 정부 로고인도네시아 정부에 따르면 2016년 '비닐봉투 제조공장 폐쇄 vs. 친환경 비닐봉투 제조'로 논쟁 중이다. 환경오염 및 홍수피해 억제와 소비자 편의를 향상하기 위한 목적이다. 부작용으로는 관련근로자 실업위기와 친환경 원재료 비용부담이 제기됐다.
-
▲ 싱가포르 정부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싱가포르 전국노동조합연맹(NTUC)에 따르면 2015년 플라스틱봉투 재고량이 1010만개로 전년 대비 1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S$ 10달러 이상 제품구매한 고객이 개인 장바구니 사용 시 0.1달러의 리베이트를 제공하는 규정을 도입해 절약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