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항공모함"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전기제품 제조업체인 미츠비시전기(三菱電機)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전기제품 제조업체인 미츠비시전기(三菱電機)에 따르면 미국 해군 군함에 탑재하는 레이더의 제조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이다.새로 개발하는 레이더는 해군이 운용하는 항공모함과 미사일 구축함에 적용된다. 레디어 가동에 필수적인 전원장치를 생산하는 임무를 맡을 방침이다.세계 최고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는 미군은 높은 품질의 레이더를 요구하기 때문에 납품이 결정되면 해외에 수출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전망된다.미츠비시전기는 해외 정부 및 기관과 협업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전에 필리핀 정부에 방공 레이더를 수출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참고로 레이더는 항공기나 함정 등 목표를 향해 오는 적의 항공기, 미사일을 탐지하는 장비이다. 적의 공격을 파악하고 대처하는데 필수적인 장비로 최고 기술력이 요구된다.
-
2021-05-11터키 드론개발업체 BAYKAR에 따르면 함대 갑판에서 고정익 드론을 발사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함대 갑판의 경사로와 도르래 원리로써 중량물을 끌어 올리거나 당기는 윈치 앤 풀리(winch-and-pulley) 시스템을 결합 중이다.예를 들면, 윈치 앤 풀리 시스템의 물리적 케이블선이 경사로를 따라 발사가 준비된 드론에 연결되면 1차 준비가 완료된다. 투입된 드론은 100마력의 엔진을 장착한 TB-2/3 모델이다.2차는 케이블선의 당기는 힘과 엔진의 추진력을 결합해 드론을 발사시킨다. 다만 윈치 앤 풀리 시스템으로 고중량 드론을 발사하는 데는 아직 한계가 있다. TB-2/3 중량 이상의 모델은 발사하기 어렵다는 의미다.군사용 드론을 연구한 국가정보전략연구소 관게자는 “이번 연구는 터키 해군의 돌격형 함대 아나돌루(Anadolu)를 드론 항공모함으로 발전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터키 해군의 돌격형 함대 아나돌루(출처 : wikipedia)
-
2021-04-27미국 해군(US NAVY)에 따르면 항공모함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소형 드론의 배치가 필요하다. ScanEagle, Blackjack 같은 소형 드론이 해상감시 및 정찰 업무를 기존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소형 드론을 전함에 배치할 경우 작전의 수행과 복귀가 기존 유인기보다 훨씬 용이하고 감시 업무에 소요되는 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단, 최대한 기체가 작은 드론을 해군 함대에 배치해야 최소 유지가 필요한 유인 헬리콥터와의 전술 공간을 공유하며 상호 작전이 가능하다.반면 해군 감시정찰용으로 개발된 MQ-4C Triton과 같은 대형 무인기는 항공모함이나 대형 전함 갑판에만 제한적으로 배치돼 비효율적이다.이처럼 갑판 공간의 한계성을 극복하려는 해군용 드론은 이제 장시간 정찰비행이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소형 선박에 설치한 발사대에서 이륙 중인 ScanEagle(출처 : wikipedia)
-
2018-11-12중국 선박중공업집단공사(China Shipbuilding Industry Corporation)에 따르면 접이식 날개를 장착한 항공모함용 드론(UAV)를 개발했다.HK-5000G로 명명된 드론은 항공모함이나 구축함 등 선박을 기반으로 하는 정찰용 드론이다. 전투용 미사일 또는 정찰 임무용 페이로드를 장착할 수 있다. 12시간 비행하고, 무게는 약 5톤에 달한다. 중국 해군이 3번째 항공모함에 배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드론의 날개가 접이식이기 때문에 갑판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드론의 크기, 무게와 엔진을 감안할 때 항공모함에서 스키 점프 이륙보다는 캐터필터를 이용해야 할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의 3번째 항공모함은 전기식 캐터필터를 사용할 예정이다.광둥성 주하이(Zhuhai)에서 개최된 '2018년 에어쇼차이나(Airshow China)'에서 선박중공업집단공사 자회사인 Aeromarine Intelligent Equipment Company의 부스에 전시됐다. ▲ China-Drone-HK-5000G▲ 2018년 에어쇼 차이나에 전시된 HK-5000G(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