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
" 허브"으로 검색하여,
9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31▲ 한국항공대 교내 비전홀(Vision Hall)에서 열린 KAU 항공안전센터 개원식 기념촬영(국토교통부 및 산하 공공기관, 공항공사·항공사 등 항공업계, 유관 협회·학회, 공군·경찰 관계자 등 내빈)[출처=한국항공대]한국항공대(총장 허희영)에 따르면 우리나라 항공안전 분야의 산·관·학, 민·관·군 허브 역할을 할 ‘KAU 항공안전센터’(이하 항공안전센터)를 설립했다.2025년 3월28일 한국항공대 교내 비전홀(Vision Hall)에서 열린 개원식에는 국토교통부 및 산하 공공기관, 공항공사·항공사 등 항공업계, 유관 협회·학회 등 26개 후원기관 관계자와 공군·경찰 관계자 등 150여 명의 내·외빈이 참석했다.최근 국내·외에서 항공안전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 가운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전 세계 항공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는 과정에서 항공안전사고가 운항편수와 비례해 증가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해외에서는 팬데믹 기간보다 항공안전사고가 약 25퍼센트(%)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다. ICAO ‘Safety Report 2024’ 기준이다.국내에서도 무안공항 참사와 김해공항 지상화재사고가 잇달아 발생하며 소비자의 불안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한국항공대는 이처럼 항공안전 고도화가 필요한 변혁의 시기에는 국가적 역량을 결집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항공안전에 필요한 기술 및 정책 연구, 교육, 산·관·학 네트워킹을 추진하고자 항공안전센터를 개원하게 됐다.이날 개원식에서는 항공안전센터장을 맡은 한국항공대 항공운항학과 이장룡 교수가 ‘대한민국 항공안전의 아카데믹 리더’라는 센터의 비전을 선포했다.이를 위해 △국가 항공안전 정책에 대한 제언 및 안전기술 개발 △국내·외 항공종사자에 대한 안전·보안 전문교육 △산·관·학 네트워킹을 통한 항공안전문화 공유 및 확산을 추진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한편 이날 개원식에서는 맹성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 한준호 국회의원, 윤수현 한국소비자원 원장,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황호원 항공안전기술원 원장, 유종석 대한항공 부사장이 축사를 맡아 앞으로 항공안전센터가 수행할 역할에 대한 기대감을 전하고 아낌 없는 응원을 보냈다.이어진 특별강연에서는 정용식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사장과 베넷 A. 월쉬(Bennet A. Walsh) 대한항공 항공안전전략실장이 각각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입장에서 바라본 항공안전의 과제에 대해 제언했다.정용식 이사장은 ‘한국교통안전공단의 항공안전 업무 현황과 발전 방안’이라는 제목으로 공단의 주요 사업 영역 중 하나인 드론·항공교통 안전관리 분야를 소개하고, 항공종사자 훈련 및 평가, 일반항공·드론 산업 환경조성,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에 대한 공단의 발전 방향을 설명했다.베넷 A. 월쉬 실장은 ‘현대 안전 시스템의 영향(Impact of Modern Satety Systems)’을 주제로 안전문화, 인적성과 통합위기관리라는 단계적 목표를 추진해 우리나라 항공업계의 안전관리 시스템 전반을 항공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한국항공대 허희영 총장은 환영사에서 “항공업계 최대의 위협이 되는 항공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항공산업 발전의 전제인 항공안전을 고도화하려면, 무결점(Zero Defect)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총체적인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또한 “한국항공대는 지난 70여 년 동안 축적한 항공안전에 대한 교육·연구 경험을 기반으로 국내 항공업계의 현안, 정부의 수요, 안전에 대한 국제적 표준을 모두 연구하고 공유하는 산·관·학, 민·관·군 허브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2025-02-12▲ 에쓰오일 로고[출처=에쓰오일]S-OIL(대표 안와르 알 히즈아지)에 따르면 2025년 2월11일(화) 울산광역시가 주관하는 ‘울산 스타트업 허브’ 개소식에 참석해 창업생태계 활성화 및 오픈 이노베이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울산 스타트업 허브’는 지역 스타트업과 대기업, 투자자 및 창업지원기관간 협력을 촉진하고 혁신 기술을 발굴하는데 중점을 둔 창업 지원 플랫폼이다. 운영은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전담기관인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대표 김헌성)에서 맡는다.S-OIL은 이번 개소식에서 ‘오픈 이노베이션 활성화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울산 스타트업 허브의 오픈 이노베이션 멤버로서 활동을 본격화할 예정이다.이를 통해 수요 업체 발굴, 기투자업체 성장 지원 등의 기회를 확대하며 지속가능한 창업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계획이다.추후 수요 기술을 보유한 업체와 매칭 시 S-OIL은 투자 검토, 시범 구현(Proof of Concept) 진행 등 실질적인 협업을 강화할 예정이다.S-OIL은 2021년부터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UFEZ 대중소 상생 투자 플랫폼 공모전을 통해 유망한 스타트업을 발굴해 왔다.이와 별개로 S-OIL은 서울창업허브와 스타트업·대기업 간 파트너십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해 범준E&C, 글로리엔텍, 이유씨엔씨 3개 기업에 투자를 집행하고 사업 성장을 지원해 우수한 성과를 만들었다.
-
▲ 나이지리아 유리 포장 기업인 베타 유리(Beta Glass Plc)의 유리 제조 과정 모습. [출처=베타 유리 홈페이지]2025년 2월7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이집트와 나이지리아의 기업 경영과 제조업을 포함한다. 이집트 아프리카 벤처 자본기업인 P1 벤처(P1 Ventures LLC)에 따르면 2025년 2월 아프리카 허브의 기술 부문에 US$ 5000만 달러 규모의 기관 기금을 투자할 계획이다.나이지리아 유리 포장 기업인 베타 유리(Beta Glass Plc)에 따르면 2024년 매출은 N 1175억8000만 나이라로 2023년 629억1000만 나이라와 대비해 87% 증가했다. ◇ P1 벤처(P1 Ventures LLC), 2025년 2월 아프리카 허브의 기술 부문에 US$ 5000만달러 규모의 기관 기금 투자 계획이집트 아프리카 벤처 자본기업인 P1 벤처(P1 Ventures LLC)에 따르면 2025년 2월 아프리카 허브의 기술 부문에 US$ 5000만 달러 규모의 기관 기금을 투자할 계획이다.펀드 자금의 약 50%는 북, 서, 중앙아프리카의 프랑스어 국가와 일부 허브 지역에 배정할 계획이다. 나머지 자금은 나이지리아, 이집트, 케냐 등 서아프리카에 투입된다.투자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구축한 데이터 과학 툴과 아프리카 대륙 내 1만개 이상의 기업을 포함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할 방침이다.현재 US$ 6000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영하고 있다. 향후 인공지능(AI)과 기업 소프트웨어, 핀테크 스타트업에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나이지리아 베타 글라스(Beta Glass), 2024년 매출 N 1175억8000만나이라로 2023년 629억1000만나이라 대비 87% 증가나이지리아 유리 포장 기업인 베타 글라스(Beta Glass)에 따르면 2024년 매출은 N 1175억8000만 나이라로 2023년 629억1000만 나이라와 대비해 87% 증가했다.매출이 증가하며 2024년 세수후이익은 139억6000만 나이라로 2023년 64억4000만 나이라와 비교해 117% 급증했다.매출 상승에도 불구하고 2024년 외환 환율 손실은 20억 나이라로 집계됐다. 2023년 외환 환율로 17억9000만 나이라의 이익을 본 것과 상반된다.배당금은 8억3995만 나이라로 결정했다. 2024년 기준 총자산은 1321억8000만 나이라로 전년 1068억5000만 나이라 대비 상승했다.
-
2025-01-09▲ 현대자동차그룹 로고[출처=현대자동차그룹]현대차그룹(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5년 1월9일(목요일) 올해 국내에 역대 연간 최대 규모인 24조3000억 원 투자를 단행한다.2025년 현대차그룹은 이전 국내 최대인 2024년 20조4000억 원 대비 금액으로는 3조9000억 원, 19% 이상 각각 증가한 규모다.현대자동차그룹이 대내외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모빌리티 혁신 허브 한국을 중심으로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국내 투자에 나선다.현대차그룹이 올해 국내에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는 것은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투자가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2024년 현대차그룹은 뛰어난 경영 실적을 비롯해 다양한 부문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와 성장을 거뒀다. 그러나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 돌발적인 경영환경 변수가 산재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해법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다.정의선 회장은 이와 관련 올해 신년 메시지를 통해 위기에 맞서는 관점과 자세, 현대차그룹의 지속적인 체질 개선을 통한 변화와 혁신, 위기 극복 DNA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우리는 항상 위기를 겪어왔고 훌륭하게 그 위기들을 극복해 왔으며, 위기 이후 더 강해졌다”고 임직원들을 독려한 바 있다.현대차그룹의 국내 최대 투자계획 발표는 고객·주주·시장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더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신뢰를 쌓아가려는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다.아울러 현대차그룹은 미래 투자의 종합적인 방향성과 성장 의지 등을 투명하게 전달함으로써 주요 그룹사의 밸류 제고뿐만 아니라 연관 산업 협력사들의 사업 계획 수립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현대차그룹의 이번 연간 최대 규모 국내 투자는 경제 활성화와 연관 산업의 고도화 촉진으로 전후방 산업의 동반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차세대 제품 개발, 핵심 신기술 선점, 전동화·SDV 가속화 등 미래 신사업 분야 집중현대차그룹의 올해 투자는 중장기 투자 방향성에 따라 차세대 제품 개발, 핵심 신기술 선점, 전동화 및 SDV 가속화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집중된다.현대차그룹은 △연구개발(R&D) 투자 11조5000억 원 △경상 투자 12조 원 △전략 투자 8000억 원을 각각 집행한다.연구개발 투자는 제품 경쟁력 향상, 전동화, SDV, 수소 제품 및 원천기술 개발 등 핵심 미래 역량 확보를 위해 사용된다.현대차그룹은 성능과 연비가 뛰어난 하이브리드 모델과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EREV(Extended Range Electrified Vehicle) 등을 앞세워 전기차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한다.전기차 신모델 개발을 꾸준히 확대하며 전동화 전환도 가속화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2030년 경제형에서부터 럭셔리·고성능까지 21개 모델의 전기차 풀라인업을 구축한다. 기아도 2027년까지 다양한 PBV를 포함해 15개 모델의 전기차 풀라인업을 갖출 예정이다.SDV 분야에서는 소프트웨어 내재화를 통해 2026년까지 차량용 고성능 전기·전자 아키텍처를 적용한 SDV 페이스 카(Pace Car) 개발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양산차에 확대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경상 투자는 EV 전환 및 신차 대응 생산시설 확충, 제조기술 혁신, 고객 체험 거점 등 인프라 보완 등에 투입된다. 현대차그룹은 2025년에도 EV 전용공장 건설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한다.지난해에는 기아 광명 EVO Plant를 가동하고 소형 전기차 EV3 생산을 시작했다. 이어 올해 하반기에는 기아 화성 EVO Plant를 완공하고 고객 맞춤형 PBV 전기차를 본격적으로 생산할 예정이다.2026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건설 중인 현대차 울산 EV 전용공장에서는 초대형 SUV 전기차 모델을 시작으로 다양한 차종을 양산할 방침이다.
-
2025-01-09▲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로고[출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그룹 부회장 김동관, 대표이사 손재일)에 따르면 2025년 1월7일(화요일) 서울대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허브’를 설립하고 미래 과제 수행을 위한 산학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이에 따라 회사는 서울대를 포함해 건국대, 부산대, 연세대, 인하대, 충남대, 충북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양대, 항공대 등 모두 10곳과 2023년부터 맺어온 산학협력 네트워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허브’를 구축했다.첨단기술이 빠르게 도입되는 글로벌 방산시장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신규 사업인 항공엔진과 우주산업 분야의 기술도 확보해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를 찾기위한 목적이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선제적인 인력 육성과 기술개발에 나선 것이다.◇ 서울대 ‘항공엔진 소재·우주 발사체’, 인하대 ‘AI 표적탐지’ 기술 등 개발한화에어스페이스 허브는 앞으로 첨단 방산기술 및 항공엔진, 우주항공 기술 등의 미래 연구과제 50건을 중장기에 걸쳐 수행한다.우주항공 분야는 항공엔진 부품 소재 및 우주 발사체 등 과제를 맡은 서울대를 비롯해 건국대, 항공대, 충남대가 관련 과제를 연구한다.방산기술은 부산대(무인 중전투 차량 통합 열관리 제어 등)와 인하대(인공지능 기반 표적 탐지 등), 충북대(유도무기 관련) 등이 연구과제를 수행한다. KAIST는 자율주행과 우주 발사체(설계 및 제어) 분야 연구를 함께 맡는다.이번 협력은 대학들은 글로벌 최전선에서 경쟁하는 산업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반영한 기술개발에 나서고, 회사는 우수한 인력을 선제적으로 육성하고 기술도 확보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됐다.특히 기존 산학협력과 달리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 대해 중장기 연구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해 연구자들도 관련 분야 커리어를 체계적으로 쌓을 수 있다.◇ 한화, 인력의 ‘발굴-육성-채용’ 선순환 강화… 항공엔진 R&D인력 확대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산학협력 네트워크 구축으로 기존에 추진해 온 인재의 ‘발굴-육성-채용’으로 이어지는 중장기적인 인력 선순환 구조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기존 10개 대학 외에도 추가적으로 국내 대학들과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우수 인력의 채용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것이다.이미 2022년부터 한화시스템, 쎄트렉아이 등 계열사와 함께 중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우주 영재 발굴 프로그램인 ‘우주의 조약돌’은 3기 수료를 앞두고 있다.최근 국가첨단전략기술로 지정된 첨단항공엔진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인력도 2024년 250여 명에서 2028년까지 국내에서만 500명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는 인재와 기술 확보가 반드시 필요한 만큼 책임감을 갖고 해당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
▲ 음식배달 플랫폼인 그럽허브(Grubhub)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2024년 12월18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음식배달 플랫포인 그룹허브(Grubhub)가 가입자와 법적 분쟁을 종료한다.미국 데이터브릭스(Databricks)는 데이터 정제 및 분석 소프트웨어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대규모 자금 확보에 성공했다. 일각에서는 데이터 분석 관련 산업에 거품이 형성돼 있다고 주장한다.캐나다는 임대용으로 지어진 아파트의 공실률이 높아지며 부동산 시장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높은 공실률에도 임대료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브라질은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해 국민의 불신이 70%를 넘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재무부와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에 대처하려는 정책도 다른 상황이다.◇ 미국 연방거래위회(FTC), 그럽허브(Grubhub)가 US$ 2500만 달러로 법적 분쟁 종료미국 연방거래위회(FTC)는 음식배달 플랫폼인 그럽허브(Grubhub)가 US$ 2500만 달러로 법적 분쟁을 종료할 것이라고 밝혔다.음식 주문자, 배달 종사자, 영세업체 등과 배달료 분쟁을 벌였다. 그럽허브는 관계자에게 배달료를 속였으며 자신들의 계정에 접근하는 것을 막았다.그럽허브는 자체 플랫폼에 32만5000개의 독립 식당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전체 레스토랑의 절반에 가깝다. 독립 식당이 주문을 받지 못하도록 목록에서 제외해 파트너십을 맺은 식당을 추전했다.미국 데이터 분석기업인 데이터브릭스(Databricks)에 따르면 2024년 12월17일 US$ 100억 달러의 파이낸싱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회사 가치는 2023년 430억 달러에서 620억 달러로 높아졌다.경쟁업체인 스노우플래이크(Snowflake)의 시장 가치가 570억 달러보다 많다. 데이터브릭스는 데이터의 정제 및 분석 소프트웨어를 판매한다. 아마존에서 관련 소프트웨어를 구매할 수 있다.투자자는 Thrive Capital, Andreessen Horowitz, DST Global, GIC, Iconiq Growth, Insight Partners, MGX, Sands Capital, WCM Investment Management, Wellington Management 등이다.◇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Canada Mortgage and Housing Corp.), 2024년 10월 임대용으로 지어진 아파트의 공실률 2.2%캐나다 연방공기업인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Canada Mortgage and Housing Corp.)는 2024년 10월 임대용으로 지어진 아파트의 공실률이 2.2%로 집계됐다. 2023년 가장 낮었던 1.5%에 비해 상승했다.2베드룸 아파트의 평균 렌트비는 C$ 1447달러로 전년 대비 5.4% 상승했다. 2023년 전년 대비 8% 확대된 것과 비교하면 개선됐다.연간 임대료는 15개월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3년 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편이다. 임대용 아파트의 공급은 전년 대비 4.1% 늘어나 30낸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브라질 다타폴라(Datafolha), 국민의 27%만이 재무장관인 페르난도 하닷(Fernando Haddad)의 정책 지지브라질 최대 여론조사기관인 다타폴라(Datafolha)는 국민의 27%만이 재무장관인 페르난도 하닷(Fernando Haddad)의 정책을 지지한다고 밝혔다.국민의 70% 이상이 정부이 경제정책을 신뢰하지 않는 것이다. 중앙은행은 재무부와 통화정책에 관해 이견을 보이며 갈등을 키우고 있다.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룰라 대통령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향상되지 않는다. 외환보유고는 US$ 300억 달러로 안정적이다.
-
2024-09-30▲ 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 빌딩 [출처=홈페이지]2024년 9월 중동 제조업 주요동향은 통계를 포함한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공장 및 산업 시설 수는 1만1549개로 2016년 7206개와 비교해 60% 급증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공장 및 산업 시설 수는 1만1549개로 2016년 7206개와 비교해 60% 급증했다.2023년 행정 지역 중 산업 시설이 가장 많은 곳은 수도인 리야드(Riyadh)로 공장 수는 4502개로 집계됐다. 비전 2030(Vision 2030)에 따라 정부는 2035년까지 글로벌 상위 15위 안에 드는 산업 허브로 전환하고자 한다.2022년 공개된 국가산업전략(National Industrial Strategy)은 2034년까지 국내 공장 시설 수를 3만6000개로 3.5배 늘리는 목표를 포함하고 있다.
-
▲ OCBC 풍골을 소개하고 있는 OCBC 그룹 CEO 헬렌 웡(Helen Wong)의 모습[출처=OCBC 홈페이지]2024년 9월20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싱가포르 OCBC 은행은 풍골 디지털 디스트릭에 혁신 허브 "OCBC 풍골"을 설립하고자 한다. 말레이시아 마이크론 스틸은 일본 JFE 스틸의 JGreeX 녹색 강철을 열간 압연 강판 생산에 활용한다.◇ 싱가포르 OCBC 은행, 혁신허브 "OCBC 풍골" 설립위해 S$ 5억 달러 투자싱가포르 OCBC 은행은 혁신 허브 "OCBC 풍골(OCBC Punggol)"의 구축을 위해 S$ 5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풍골 디지털 디스트릭(PDD)에 설립될 해당 사무실은 2027년 1분기 완공될 예정이다. 직원 4000명이 이곳에서 근무할 예정이며 이들은 기술 분야를 주력으로 한다.OCBC 풍골은 출리아 스트리트에 위치한 은행 본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건물이 된다. 12층 규모의 통합 단지에서 8개층을 사용하며 200개의 객실이 갖춰진 숙박 시설과 소매 공간으로 구성된다.또한 싱가포르 공과대(SIT)과 파트너십을 통해 분석 및 혁신 연구소을 운영하고 핀테크 전문가를 양성한다. 붉은색 다리로 OCBC 풍골과 SIT 추아 티안포 디스커버리 허브(Chua Thian Poh Discovery Hub)를 직접 연결한다.◇ 말레이시아 마이크론 스틸(Mycron Steel Bhd), 2025년까지 자체 친환경 강철 제품 출시말레이시아 철강업체 마이크론 스틸(Mycron Steel Bhd)에 따르면 2025년까지 자체적으로 특허받은 친환경 강철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자동차 생산, 건설 및 인프라 분야, 소비재, 가전제품 등의 분야에서 고품질·저탄소를 실천하고 있다. 마이크론 스틸은 2024년 7월 종합적 모니터링 시스템을 발전시키기 위해 말레이시아 공과대(UTM)와 양해각서(MoU)를 맺은 바 있다.2024년 9월 합의를 통해 일본 철강 제조업체 JFE 스틸(JFE Steel Corp)의 JGreeX 녹색 강철을 생산 라인에 포함시켰다.JGreeX는 물질균형 방법을 통해 특정한 생산품에 탄소 배출의 감소를 할당함으로써 전체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줄인다. 이를 마이크론 스틸의 주력 상품인 열간 압연 강판 생산에 활용한다.
-
2024-09-10▲ 조달청 나라장터 종합 쇼핑몰 페이지[출처=디스플레이허브]디스플레이허브(대표 김동협)는 조달청에 자사 기상전광판 제품을 등록했으며 본격적으로 조달시장에 진출했다고 밝혔다. 기상전광판은 실시간 기상 정보와 다양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혁신적인 제품이다.기상전광판은 디스플레이허브의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작된 제품으로 조달청 등록을 계기로 다양한 공공기관과 더욱 활발한 수주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디스플레이허브는 커머셜 마켓에서 다년간 뛰어난 활동으로 업계 인정받고 있다. 디스플레이허브는 이번 제품 등록을 바탕으로 공공 부문에서의 기상전광판 도입을 확대한다.또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더 많은 기관과 협력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공공과 민간을 아우르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디스플레이허브의 기술력을 선보일 예정이다.김동협 디스플레이허브 대표는 “이번 조달청 등록은 디스플레이허브가 공공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또한 “앞으로 디스플레이허브는 기술 혁신을 지속해 고객에게 최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다양한 수주 기회를 통해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프랑스 항공엔진 및 보안 솔루션 제공업체인 사프란(Safran)이 제조한 항공기 엔진 이미지 [출처=홈페이지]2024년 8월1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독일을 포함한다. 영국은 건물의 화재 안전 보수를 위한 비용이 늘어나고 있다. 정부는 사이버보안 등 5개 연구 허브에 £1억 파운드를 지원할 계획이다.프랑스는 직장인의 급여 인상폭이 인플레이션보다 높아 국민의 가처분소득이 늘어나게 됐다. 항공기 관련 기업의 실적도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영국 정부, 헬스케어, 사이버보안, 교통 분야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5개 연구 허브에 £1억 파운드 지원영국 정부는 2024년 7월31일 헬스케어, 사이버보안, 교통 분야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5개 연구 허브에 £1억 파운드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양자컴퓨팅은 옥스퍼드대가 이끌어나가고 있다.연구 영역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이점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연구를 통해 양자컴퓨팅의 성능 개선, 대규모 시스템에서 양자 기술이 적용되도록 네트워킹 기술의 개발을 통해 궁극적으로 분산 양자컴퓨팅 네트워크의 창조, 개발된 양자 하드웨어를 테스트하기 위한 적정한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과학자와 기술자와 협업 구축 등이다.연구 허브는 영국 전역에서 18개 연구기관이 양자컴퓨팅의 다영한 측면에서 연구한다. 옥스포드대는 엔지니어링 및 물리학 연구위원회(EPSRC)의 주요 과학자를 고용하고 있으며 옥스포드셔는 국가양자컴퓨팅센터가 위치해 있다.영국 주택 건설업체인 테일러 윔피(Taylor Wimpey)는 자체 보유 건물의 화재 안전 보수를 위한 비용이 £3억3300만 파운드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기존에 산정한 2억4500만 파운드에 비해 8800만 파운드가 증가한 수치다.2024년 상반기 동안 전체 건물에 대한 비용을 다시 산정했다. 프로젝트 이행 관리 비용이 늘어났다. 주택산업계와 정분는 화재 안전에 대한 조치가 필요한 건물의 범위를 확장했다. 211개 빌딩이 대상인 것으로 조사됐다.테일러 윔피는 2024년 상반기 세전 이익이 1억 파운드로 전년 동기 대비 58% 급감했다. 빌딩 관리를 위를 청구하는 비용은 낮아졌지만 인건비 등은 올랐기 때문이다. 미래 주택이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고 택지 공급이 중요한 사업 성공 요소로 부상했다.영국 온라인 음식 주문 및 배송업체인 저스트 잇트(Just Eat)는 2024년 상반기 매출액은 €25억7000만 유로로 전년 대비 1% 감소했다고 밝혔다. 상반기 세전이익은 3억6300만 유로의 손실을 기록했다.상반기 Ebitda 는 2억30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했다.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비용을 개선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북미 사업은 2021년 70억 유로에 인수한 그룹허브의 브랜드로 영업 중이다.상반기 동안 주문 건수는 5% 하락했는데 특히 북아메리카에서 9%나 줄어들었다. 주문건당 금액은 1% 축소됐지만 북유럽, 영국, 아일랜드에서는 확대됐다. 상반기 이익이 하락한 것은 매출액 감소, 직원 인건비 증가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프랑스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 2024년 7월 인플레이션은 2.3%로 6월 2.2%에 비해 소폭 상승프랑스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는 2024년 7월 인플레이션은 2.3%로 6월 2.2%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고 밝혔다. 7월 에너지 가격이 8.5% 상승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6월 에너지 가격은 4.8% 인상에 그쳤다.소비자가격지수(CPI)의 절반 이상을 커버하는 서비스 가격은 7월 2.5% 상승으로 6월 2.9%에 비해 위축됐다. 식품 가격은 0.5% 인상에 그쳤지만 다른 식품은 0.1%로 높지 않았다. 담배 가격이 8.7% 오르는 동안 공산품은 0%로 변화가 없었다.글로벌 컨설팅사 윌리스 타워스 왓슨(Willis Towers Watson)에 따르면 2025년 프랑스 직장인의 급여 인상폭은 3.6%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인상폭인 3.8%보다 낮지만 인플레이션보다는 높은 편이라 국민의 구매력은 향상된다.2024년 급여 인상률은 2023년 4.4%보다 낮았지만 물가상승률인 2.3%보다 높았다. 2024년 상반기 동안 국내 기업의 80% 이상이 급여를 인상했다. 에너지, 원자재 등의 가격 인상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2023년 이전에는 인플레이션보다 낮은 수준으로 급여가 인상돼 국민의 구매력은 하락했다. 기업 경영자도 이 부문에 대해 깊이 고민했지만 기업 차원에서 해결해줄 방안이 없었다.프랑스 항공엔진 및 보안 솔루션 제공업체인 사프란(Safran)은 2023년 상반기 매출액은 €130억470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다고 밝혔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19억740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41% 확대됐다.영업이익률은 매출액의 15%를 넘었으며 항공기 인테리어 개선 사업 뿐 아니라 항공기 엔진과 부품 서비스에 대한 사업이 호조를 보였다. 엔진 납품을 적기에 수행하기 위해 공급업체와 유기적인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독일 아고라 베르케스벤데(Agora Verkehrswende)는 2030년까지 700~800만 대의 전기자동차(EV)가 보급될 것으로 전망독일 민간 싱크탱크 아고라 베르케스벤데(Agora Verkehrswende)는 2030년까지 700~800만 대의 전기자동차(EV)가 보급될 것으로 전망했다. 독일 정부가 목표로 하는 1500만 대와 비교하면 600만 대 이상 차이가 난다.2024년 4월 연방정부는 목표치를 달성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지만 민간 전문가들은 크게 신뢰하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EV의 가격을 떨어뜨리고 충전소를 확대해야 EV의 보급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2030년까지 총 420만대의 EV가 추가로 등록돼야 한다. 독일 자체적으로 EV의 생산량을 충족하기 어려워 중국으로부터 수입이 필요하다. 하지만 유럽위원회는 2024년 7월1일부터 중국산 EV에 높은 관세를 부과해 수입을 규제하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