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5G SA"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싱가포르항만공사(PSA)에 따르면 투아스 메가 포트(Tuas Mega Port)에서 2022년 9월부터 공식적으로 연 이래 누적 1000만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가 처리됐다[출처=PSA 홈페이지]2025년 2월25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 싱가포르의 투아스 메가 포트는 총 4단계의 절차로 개발해 2040년 완전자동화 항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말레이시아 YTL 커뮤니케이션즈는 불리쉬 에임 그룹과의 합작투자사업을 통해 광섬유 인프라를 개발하며 국내 디지털 혁신을 이끈다.◇ 싱가포르항만공사(PSA), 투아스 메가 포트(Tuas Mega Port)에서 누적 1000만TEU가 처리돼싱가포르항만공사(PSA)에 따르면 투아스 메가 포트(Tuas Mega Port)에서 2022년 9월부터 공식적으로 연 이래 누적 1000만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가 처리됐다.현재는 11개의 침상이 운영되고 있다. 총 4단계의 절차로 개발되고 있으며 2027년 1단계가 완료됐을 때 21개의 침상과 연간 2000만TEU를 처리할 수 있다. 2040년까지 완전자동화 항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2024년 싱가포르 내 항구에서의 선박 수송량은 31억1000만 톤(t)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 30억9000만t과 비교해 0.65% 증가해 상하이 다음으로 가장 활발한 컨테이너항으로 거듭났다.◇ 말레이시아 YTL 커뮤니케이션즈, 불리쉬 에임 그룹과 광섬유 인프라 개발 합작 투자 사업 실시말레이시아 YTL Power International Bhd의 자회사 YTL 커뮤니케이션즈(YTL Communications Sdn Bhd)는 불리쉬 에임 그룹(Bullish Aim Group)과 조호르 주에서 광섬유 인프라를 개발하고자 합작 투자 사업을 실시한다.2025년 1분기부터 조호르 주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해 인프라 중복 투자를 줄인다. 저렴하지만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 기승으로 하여금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5G 서비스 등 다양한 기술을 이바지한다.참고로 YTL 커뮤니케이션즈는 모바일 및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 '예스(Yes)'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5G 서비스의 선두주자다.
-
2024-01-29▲ 일본 통신사업자인 KDDI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통신사업자인 KDDI에 따르면 국내 최초로 5G SA 통신망을 사용한 드론 실증 비행에 성공했다. 4G LTE 통신망보다 향상된 고품질의 영상을 전송할 수 있었다.이번 실증 실험은 KDDI 스마트 드론이 공중에서 촬영한 영상을 드론 운항관리시스템에 전송하는 방식이 적용됐다. 혼잡한 통신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다.4G LTE 통신 기술에서는 5G에서 가능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능을 사용한 서비스가 어려웠다. 실제 4G LTE 망에서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면 끊김 현상이나 블록 노이즈가 발생했다.하지만 핵심 장치나 기지국을 포함해 모두 5G 기술을 적용해 드론에서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면 주변 통신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드론을 시설물 점검, 경비와 순찰, 감시 등에 활용하려면 촬영한 고품질의 영상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에 높은 부하를 걸어 네트워크 환경이 혼잡하게 만들어 테스트를 진행했다.향후 모바일 통신에 대한 수요가 확대돼 네트워크에 혼잡이 발생하면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충분하게 제공하기 어렵게 된다.KDDI는 2023년 4월 드론이 5G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도록 법이 정비된 이후 무선국 면허를 취득했다. 더불어 5G를 공중에서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도 구축했다.
-
프랑스 글로벌 통신기업인 오렌지(Orange)에 따르면 유럽에서 최초의 종단(End-to-End)간 가상화 5G SA(Standard Alone)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완전히 가상화된 네트워크가 가져올 수 있는 고객 경험을 더 잘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험 네트워크는 7월에 라니옹(Lannion)에서 시작된다. 해당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네트워크 인프라가 프로토콜 및 아키텍처에서 구조적으로 변경돼야 한다. 5G SA 기술은 전송 속도 또는 지연 시간과 관련하여 보다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하고 5G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특히 오픈랜(Open RAN) 및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해 '주문형 연결 서비스와 사람의 개입 없이 운영자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이와 같은 5G SA 기술의 개발 및 확장을 위해 더욱 많은 금전적 및 작업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침고로 프랑스 정부는 5G 기술의 구현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독려하고 있다.▲오렌지(Orange)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1-01-07남아프리카공화국 이동통신사인 텔콤(Telkom)에 따르면 통신청(ICASA)의 4G와 5G 네트워크에 귀중한 무선 주파수를 제공하는 경매에 반대하는 법적인 도전을 시작했다.텔콤은 디지털 배당 주파수가 현재 상업적으로 가능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한 통신청(ICASA)의 계획은 국내 휴대폰 시장의 경쟁 부족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주파수 라이선스 경매 프로세스가 그대로 계속된다면 통신청(ICASA)이 향후 20년 동안 통신업계를 망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텔콤은 궁지에 몰린 상황에서 경쟁을 막기 위해 지난 25년 동안 규제 및 법적 문제를 거론했다.이와는 별도로 텔콤은 2021년 3월 31일 열릴 예정인 통신청(ICASA)의 국내 주파수 경매에 5개 이동통신사들과 더불어 참여한다.▲텔콤(Telkom) 홈페이지
-
글로벌모바일공급자협회(Global mobile Suppliers Association, GSA)에 따르면 2025년말까지 전세계 5G가입자수는 30억30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글로벌 모바일 전체 시장의 약 30%를 점유하는 것이다. 2020년 2분기 5G 가입자수는 1억3770만명으로 2배로 증가했으며 전체 글로벌 모바일 시장의 약 1.5%를 차지했다.또한 2025년말 까지 글로벌 글로벌 모바일 가입자의 약 53.5%가 LTE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2개월 동안 LTE 가입자수는 8억명이 증가해 글로벌 전체 모바일 가입자의 약 60.4%를 차지했다.2023년 이후 LTE가입자들이 5G로 갈아 타면서 LTE 시장 점유율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5G 보급률은 4G 보급 때보다 더 빠를 것으로 전망된다.이미 44개국 101개 이동통신사가 완전히 상용화된 3GPP 호환 5G 서비스 중 하나를 시작했다. 이중 94개 업체는 3GPP 호환 5G 모바일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37개 업체는 3GPP 호환 5G FWA 또는 홈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시작했다. 129개국 397개의 이동통신기업이 시험, 면허 획득, 계획, 네트워크 배포 및 출시를 포함한 5G에 투자를 발표했다.5G기기의 종류는 400개 이상이 출시됐으며 20개의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5G 모바일 프로세스 및 플랫폼이 있다. 5개의 다른 반도체 기업의 별개의 5G 모뎀 8개가 출시된 상태이다.▲ GSA♦ 글로벌모바일공급자협회(Global mobile Suppliers Association, GSA) 홈페이지
-
2020-09-15캐나다 정부에 따르면 중국 화웨이(Huawei Technologies)에서 제작된 5G 장비의 사용이 금지되면 통신 서비스 업체들에 보상하지 않을 계획이다.약 $10억 달러에 달할 수 있는 지원 법안에 대한 잠재적인 싸움이 준비되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보안상의 이유로 화웨이 장비의 사용을 금지하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통신서비스 업체들은 화웨이의 5G 장비 사용이 금지된다면 이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4G 네트워크에서 화웨이의 장비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벨캐나다(Bell Canada)와 텔러스(Telus)는 5G네트워크에서 에릭슨(Ericsson) 및 노키아(Nokia Oyj)와 파트너 관계를 맺을 예정이다.벨캐나다의 경우에 화웨이의 4G 장비를 제거하는 데 3~5 년에 걸쳐 총 $3억 달러에서 3억5000만 달러의 비용이 드는 것으로 예측된다. 텔러스의 경우에는 벨캐나다보다 약 두 배의 비용이 요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참고로 미국의 경우에는 지난 3월 소규모 통신 서비스 업체가 화웨이와 중국 기업 ZTE의 장비를 교체할 수 있도록 10억 달러를 제공하는 법안에 서명한 바 있다.향후 한국에서도 미국의 압력과 화웨이 장비의 사용금지에 따른 보상에 대해 논쟁이 발생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에서도 LG 유플러스가 화웨이의 장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 Canada-Telus-5G▲ 텔러스(Telu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12-02프랑스 통신규제청(Arcep)에 따르면 5G 주파수대역의 경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4곳의 통신사업자와 새로운 모바일 기술을 가장 잘 배포하는 방법에 대한 수개월 동안 진행된 토론을 종료했다.세부절차는 2020년 봄 5G 주파수대역의 일부에 대한 경매로 종료된다. 오렌지(Orange), 알티스유럽(Altice Europe), 부이그텔레콤(Bouygues Telecom), 일리어드(Iliad) 등이 경매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5G 주파수 블록의 최저 가격과 경매 대상 주파수대역에 대한 재무부(France's finance ministry)와 통신 당국간의 불일치 때문에 세부절차의 마련이 지연됐다.프랑스 정부의 주요 이슈는 판매에서 현금을 조달하는 것과 통신사업자에게 과도한 재정적 부담을 가하지 않는 것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찾아서 5G 기술을 빠르게 배치하는 것이다.독일과 이탈리아는 5G 주파수대역 경매를 통해 각각 약 €65억유로를 모금했다. 이는 업계에 충격을 줬고 4곳의 프랑스 통신사업자은 우려를 표명했다.현재 계획에 따르면, 경매될 5G 주파수대역은 3.4-3.8GHz 범위의 총 310MHz 대역폭이 대상이다. 통신규제청이 제시한 경매절차는 두 단계에 걸쳐서 진행될 예정이다.첫 번째 단계에서, 50MHz의 4개 블록은 4개 통신사업자 각각이 영역 적용 범위에 대한 약속에 동의하는 경우 각 통신 사업자에 대해 고정 가격으로 판매된다.두 번째 단계에서 나머지 110MHz가 10MHz블록 단위로 경매될 방침이다. 통신규제청은 310MHz 판매의 최저 가격이 15 억 유로를 넘지 않아야 한다고 밝혔다.프랑스 경제부는 5G 주파수대역 판매의 최저 가격에 대한 최종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참고로 세계 각국은 5G주파수 경매의 열기가 지나쳐 가격이 급상하는 현상을 우려하고 있다.▲ France-Arcep-5G▲ 통신규제청(Arcep)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9-09한국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업체인 삼성전자(Samsung)에 따르면 'IFA(Internationale Funkausstellung) 2019'에서 '갤럭시 폴드 5G 스마트폰'을 공개했다.IFA는 유럽 최대의 가전/전자제품 박람회이다. IFA 2019는 독일 베를린에서 2019년 9월 6일부터 11일까지 개최된다.삼성전자는 유럽시장에 적합한 새로운 가전 제품인 노트 라인업, 웨어러블 및 기타 대형 장치를 소개했다. 특히, 최초의 접이식 스마트폰인 갤럭시 폴드의 화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개월 지연된 후 공개됐다.또한 11월에 유럽에서 판매될 또 다른 5G폰인 갤럭시 A90 5G를 한국에서 9월4일에 출시했다. 가격을 자세히 밝히지 않았지만 유럽에서의 휴대폰 가격은 $1300 달러인 갤럭시 S10 5G 및 갤럭시 노트 10 플러스 5G보다 저렴할 것으로 전망된다.이와같은 삼성전자의 IFA 2019의 참여에도 불구하고 IFA는 삼성전자 제품 출시에 있어 중요도가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 이미 8월 초 뉴욕에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노트 10, 10 플러스 및 10 플러스 5G를 소개했기 때문이다.▲ Germany-Samsung-IFA-5G▲ IFA(Internationale Funkausstellung) 2019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1-15일본 전기통신업체 케이디디아이(KDDI)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공동으로 5G용 28GHz대역을 사용해 4K 초고화질(UHD) 감시영상을 전송하는 테스트를 완료했다.와세다대(Waseda University), 게이힌(Keihin Corporation) 및 일본전기통신기초기술연구소(Advance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이하 ATR)도 이 테스트에 참여했다. 삼성전자는 5G 솔루션을 제공했고, KDDI는 5G 테스트 환경을 평가 및 설계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와세다대는 모니터링 시스템, VR고글 및 비디오 평가를 제공했다.테스트는 도쿄 오타에 위치한 하네다 공항 국제선 터미널 지하철역에서 2018년 11월21일에서 12월21일까지 진행됐다. 5G를 사용해 열차의 승객 안전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지하철역에서 의심스러운 사람이나 물체가 감지되면 서버에 표시된 수신된 4K 파일이 수집되고 분석된다. 사전에 위험을 감지하고 전반적인 안전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간으로 4K UHD 비디오가 수집되고 분석되면 끊임없이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담당 직원의 부담을 일부 없앨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Japan-KDDI-5G-4K-Video▲ 케이디디아이(KDDI)와 삼성전자의 테스트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Samsung Electronics and KDDI are wasting no time adapting 5G to trains in Japan. The two have completed a test using 28 GHz to transmit 4K ultrahigh-definition (UHD) surveillance video on a train platform in Tokyo.The demonstration was conducted between Nov. 21 and Dec. 21 at the Haneda Airport International Terminal in Ota, Tokyo. Along with Waseda University, Keihin Corporation and Advance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ATR), Samsung said it was able to demonstrate effective communications through 4K UHD video using a 5G base station.It’s certainly not the first time these two have conducted 5G demos on trains. Last year, KDDI and Samsung showed how they were able to download an 8K video via the CPE installed onboard a moving train.This latest feat demonstrates how 5G can be used to increase train passenger safety. The companies say that collecting and analyzing 4K UHD videos in real time will remove some of the burdens from the staff in charge of constantly monitoring footage. It also helps them in detecting dangers in advance and improving overall safety.During the demonstration, the video files collected from both 4K security cameras and security robots patrolling the station were sent via tablets using 5G, according to a press release. The files were then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to be displayed on the monitor and virtual reality (VR) goggles in the monitoring room. Detecting any suspicious people or objects at the station was made possible through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ceived 4K files shown on the server.The demo used Samsung’s 5G solution, and KDDI was responsible for assessing and designing the 5G test environment at the train station, which was provided by Keikyu. Waseda University provided the monitoring system, VR goggles and video evaluation.Separately, another 5G demo involving KDDI and Samsung was conducted at an elementary school, where they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5G tablets and Wi-Fi tablets in their ability to download and play back videos.A gym at Maehara Elementary School in Tokyo was set up with Samsung’s 5G network at 28 GHz to enable UHD videos. They also worked with the ATR.The students were given a chance to create their own videos and experience high-speed and large capacity transmission of large video files. At the same time, they verified the capabilities of 5G for this type of use case. KDDI was responsible for assessing and designing the 5G areas used in the trial, and ATR provided the testing infrastructure.
-
중국 통신설비기업 ZTE(中兴通讯)에 따르면 인도 국영통신기업 BSNL(Bharat Sanchar Nigam Limited)과 5G, IoT 관련 제휴를 체결했다. IoT는 'Internet of Things'로 사물인터넷을 말한다.제휴 분야는 인도 차세대 모바일 통신 5G, 5G무선 시스템 및 가상 네트워크 아키텍쳐 등이다. 중점 기술의 사전 연구 및 상용화를 통해 5G 생태계 구축, 관련 기술의 평가, 실증 실험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합의했다.ZTE는 지난 2017년 9월 인도 국영통신기업 BSNL이 추진하는 5G 기지국 건설을 위해 통신 대기업 노키아와 공동으로 6억루피 규모의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China_ZTE_Logo▲ZTE(中兴通讯)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