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Egis"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23▲ ‘더블헤드 사이드 프로텍터’ 로이드·한국선급 등 AIP 획득[출처=HD현대중공업]HD현대중공업(대표이사 사장 이상균·노진율)에 따르면 2025년 4월22일(화) 울산 본사에서 영국 로이드선급(Lloyd’s Register), 한국선급 및 라이베리아기국(Liberian International Ship & Corporate Registry)으로부터 컨테이너선의 ‘래싱(Lashing) 보조 화물 안전장치’에 대한 기본승인(Approval In Principle)을 획득했다.이날 기본승인 인증식에는 HD현대중공업 류홍렬 기술본부장, 로이드선급 김영두 기술부문 부사장, 한국선급 기술본부 김연태 부사장, 라이베리아기국 김정식 한국등록처 대표 등이 참석했다.HD현대중공업이 컨테이너선에 적재한 화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신개념 장치를 개발했다. 컨테이너선은 적재한 컨테이너가 선박 운항 중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대 역할을 하는 래싱브리지(Lashing Bridge)라는 철재 구조물에 고정하는 ‘래싱’이라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번에 HD현대중공업이 개발한 ‘더블헤드 사이드 프로텍터(Double Head Side Protector)’는 선박 가장 좌우측에 적재된 상하 한 쌍의 컨테이너 코너 측면에 설치되는 일종의 고정 장치다.이 장치는 기존 래싱과 별도로 래싱브리지와 연결돼 컨테이너가 선박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게 함으로써 기상 악화로 해상 환경이 거친 경우에도 컨테이너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또한 고강도 복합재와 강재의 융합구조로 제작해 다중으로 쌓인 컨테이너의 막대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2022년 컨테이너 유실을 원천 방지할 수 있는 래싱프리 컨테이너선을 세계 최초로 시장에 내놓았다.이번 더블헤드 사이드 프로텍터 개발을 통해 래싱을 사용하는 컨테이너선의 화물 적재 안전성도 강화함으로써 중국과 경쟁이 치열한 컨테이너선 시장에서 기술 우위를 강화한
-
▲ 미국 임대용 부동산 관리회사인 카사고(Casago)가 관리하는 주택 전경 [출처=홈페이지]2024년 12월31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를 포함한다. 미국은 임대용 부동산 관리회사가 플랫폼 운영 기업을 인수한다.2025년 최저 임금이 인상되며 920만 명의 근로자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최저 임금은 인플레이션을 고려해 책정하며 주별로 다르다.캐나다 노바스코티아주에서 신생아에게 지어주는 가장 많은 이름은 시오도르(Theodore)다. 과거에 인기를 끌다가 잠잠했던 이름이 다시 유행하거나 전혀 새로운 이름도 나타나고 있다.아르헨티나는 극심한 인플레이션과 경제 위기를 경험하고 있어 2024년 신규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카사고(Casago), 북아메리카 휴가용 임대 관리 플랫폼을 운영사인 바카사(Vacasa) 인수미국 임대용 부동산 관리회사인 카사고(Casago)에 따르면 북아메리카 휴가용 임대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바카사(Vacasa)를 인수한다.카사고는 바카사의 공개된 주식을 1주당 US$ 5.02달러에 매입할 방침이다. 양사는 각자가 갖고 있는 장점을 활용해 고객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경쟁력도 확보할 계획이다.카사고는 주택 소유자에게 개인적이고 현지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카사고는 미국, 멕시코, 코스타리카, 캐러비안 국가 등에 있는 72개 도시에 5000개의 주택을 관리하고 있다.미국 비영리조직인 경제정책연구소(Economic Policy Institute)는 2025년 최저 임금 인상으로 920만 명의 근로자가 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주별로 최저 임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실리콘밸리를 포함하고 있는 캘리포니아주는 US$ 16.50달러로 오르게 된다. 하지만 마운테인 뷰는 19.20달러, 쿠퍼티노는 18.20달러로 더 높다.뉴욕은 최저임금이 16.50달러이지만 워싱턴주는 16.66달러로 소폭 많은 편이다. 애리조나주는 14.70달러, 몬타
-
미국 비영리 시험인증기관인 PRI(Performance Review Institute) Registrar에 따르면 2022년 6월 ISO 17021와 ISO 27006 인증을 위한 엄중한 요건을 통과했다. 해당 인증은 미국 표준협회(ANAB)로부터 받았다.정보보호경영시스템(ISMS) ISO/IEC 27001:2013 표준은 정보보호경영시스템에 관한 국제적으로 잘 알려진 표준이다. ISO 27001은 조직 내부에서 정보보호경영시스템을 구축, 이행, 유지,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요건을 정의한다. 조직의 필요성에 대한 정보보호의 측정과 처리에 관한 요건을 모두 포함한다.현재 사이버범죄가 기승을 부리면서 데이터 침해는 조직의 연속성에 대한 심각한 위험이다. 기술은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으므로 정보보호시스템의 수용은 안전하고 확신에 찬 방식으로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도록 돕는다.정보보호경영시스템 인증을 받았다는 것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기업이 세계 최고 수준의 위험 기반 데이터보호경영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PRI(Performance Review Institute)는 ISO 27017와 ISO 27018이라는 2가지 관련 인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자는 정보보호위험에 관한 완벽한 통제를 구축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정보를 위한 실행의 국제 코드이다.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로서는 ISO 27001 인증을 이미 받았다. ISO 27017는 고객의 정보 안전을 확신하는데 도움을 주는 보조 표준이다.ISO 27018은 개인적으로 인증가능한 정보(PII)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PII의 심각한 볼륨을 처리하는 클러우스 서비스 제공자는 ISO 27018 인증을 받거나 ISO 27001 및 ISO 27017의 결합에 의해 인증을 받는다.참고로 PRI(Performance Review Institute)는 1990년 설립된 비영리 무역협회이다. 안전과 품질에 목표를 둔 산업에서 활동하는 이해관계자와 협력해 프로
-
프랑스 인프라 그룹 이지스(Egis)에 따르면 유로컴플라이언스(EuroCompliance)로부터 관리 시스템 감사 후 글로벌 운영 전반에 걸친 ISO 37001 뇌물 방지 표준을 준수하는 기업으로 인증을 받았다.프랑스 엔지니어링 그룹 중 최초로 글로벌 수준의 ISO 37001 인증을 받은 것이다. 2016년 표준이 발표된 이후 지금까지 약 1000개의 기업이 인증받은 것으로 조사됐다.이지스는 부패 방지 관행의 지속적인 개선, 기업 윤리 문화의 강화 등 수년간의 노력으로 인증을 획득했다. 수많은 글로벌 기업 및 파트너의 신뢰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또한 프랑스 및 글로벌 성장 전략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ISO 37001 표준 인증은 조직이 정직성과, 투명성, 청렴성 등의 문화를 확립하고 뇌물을 방지 및 감지,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도입하는데 이롭다.유로컨플라이언스(EuroCompliance)는 부패 방지에 전념하고 있는 인증 및 교육기업으로 반부패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국제 규정의 준수 평가를 지원하고 있다.ISO 37001 표준은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가 참여해 2016년에 제정했다. 국제투명성기구는 매년 국가별 부패 관련 지수를 발표하고 있다.전 세계적으로 37개국이 정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부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공유, 영국의 2010년 Bribery Act 발행 등 부패 방지를 위한 노력의 결과다.ISO 37001 표준은 조직에서 반부패경영시스템을 수립, 실행, 유지, 개선을 위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국제규격이다.인증을 받게 되면 ▶개인 및 조직 차원에서 뇌물수수로 인한 법규위반 리스크 감소 ▶조직 및 사업 활동에 대한 고객으로부터의 신뢰 증대 ▶파트너십 관계에 있는 조직 및 기관으로부터의 파트너쉽 향상 등의 효과가 발생된다.또한 ▶직원 및 협력회사에 반부패에 대한 인식
-
2020-12-14나이지리아통신위원회(NCC)에 따르면 영업 중인 모든 네트워크 제공업체들에게 고객이 구매한 새로운 SIM 카드의 등록을 즉시 중단하라고 지시했다.가입자 등록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또 다른 감사를 진행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감사를 통해 SIM 카드 등록의 정해진 품질 기준과 요건을 이통사들에 의해 검증하고 준수할 수 있도록 보장하려는 것이다. 이번 통신위원회의 지시는 2019년 9월부터 정부가 실시해 온 SIM 카드 등록 운동의 성과를 공고히 하려는 방침에서 출발한다. 다만 새로운 SIM 카드를 등록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일 경우 승인을 위해 통신위원회에 요청할 수 있다. 통신위원회는 감사 종료 후 새로운 SIM 카드 등록이 재개되기 때문에 이번 정지는 일시적이다.▲나이지리아통신위원회(NCC) 홈페이지
-
2020-04-07영국 자동차공업협회(SMMT)에 따르면 2020년 연간 신차등록수는 총 173만대로 예상된다. 2020년 1월 예측 결과 대비 23% 감소하는 것이다.2020년 3월 신차등록수는 25만4684대로 전년 동월 대비 20만3370대 적어 44.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로 인한 판매소의 폐쇄와 더불어 고객들 역시 집에 머물면서 자동차 구매심리가 감소했기 때문이다.2020년 3월 휘발유 자동차 수요는 40.4%, 디젤 자동차 수요는 61.9% 각각 감소했다. 반면 전기자동차 등록수는 1만1694대로 300% 증가했다.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등록수는 38% 증가했지만 기존 하이브리드 차량은 7.1% 감소했다. 코로나-19 위기로 자동차생산시설과 판매매장이 언제 정상적인 운영을 다시 시작할지 현재로서는 매우 불확실한 상황이다.▲자동차공업협회(SMMT) 홈페이지
-
2019-07-27일본 국토교통성(国土交通省)에 따르면 웹 사이트에 모든 정부 승인 비행 계획을 일반인에게 공개하도록 드론 운영자에게 요구할 방침이다.드론과 관련된 공중 충돌을 포함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 협정은 2019년 7월말 항공법에 근거해 웹 사이트에서 공개가 시작될 예정이다.정부 승인이 필요한 공역에서 드론을 운항하려는 운영자는 사전에 해당 계획을 전용 사이트에 등록해야 한다. 필요한 정보에는 드론의 시간, 위치 및 고도가 포함되며 데이터는 지도에 표시된다.대중은 드론 운영자가 아니더라도 사이트에 등록하면 해당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최근 드론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드론과 관련된 문제 및 사고가 증가했다.예를 들면 2017 년 Japan Airlines Co. 항공기는 오사카 공항의 택시 노선 근처에서 드론이 보고된 후 다시 착륙하도록 강요당한 바가 있다.특히 드론은 내년 도쿄 올림픽 및 장애인 올림픽 개최지에서 영상을 찍고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수도를 중심으로 더 자주 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이에 따라 웹 사이트에 드론에 관한 새로운 규칙이 대중과 비행정보를 공유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안정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 Japan-Transport-Drone▲ 토교통성(国土交通省)의 드론 관련 규정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1-11캐나다 연방정부에 따르면 드론 비행에 대한 엄격한 새로운 규정을 도입했다. 모든 드론 운영자가 정부에 등록하고, 온라인 시험에 합격해야 드론을 조종할 수 있는 라이센스가 제공된다.드론 운영자는 캐나다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여야 하며 적어도 14 세 이상이어야 한다. 드론 조종사는 알코올 음료를 마신 후 12시간 이내에 비행하지 못하며 알코올이나 약물로 인해 장애가 있는 동안에는 비행이 금지된다.드론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최소 30미터(100 피트)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보다 엄격한 테스트를 통과한 16세 이상의 고급 운영자에게는 덜 엄격한 규칙이 적용된다.밤에 드론을 조종하려면 조종사가 시야에 머물 수 있도록 특수조명을 장착하고 드론을 시각적으로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새 규정은 250g에서 25kg사이의 무게를 갖는 드론에 적용된다. 25kg보다 무거운 다른 원격조종항공기시스템(RPA)은 캐나다 교통국(Transport Canada)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새 규정은 공항, 응급공간 및 기타 지역근처에서 비행하는 드론에 대한 기존의 제한을 유지한다. 즉 공항센터에서 5.6킬로미터(3 해리), 헬리콥터 센터에서 1.9킬로미터(1 해리) 이내의 무인비행은 제한된다.또한 공인된 공역에서의 비행은 특별히 승인된 항공편을 제외하고는 제한된다. 자연재해 또는 재해지역으로부터 9킬로미터(5 해리) 이내에는 비행할 수 없다. 새 규정은 2019년 6월 1일부터 시행될 방침이다.▲ Canada-FederalGovenment-Drone-regulation▲ 캐나다 교통국(Transport Canada)의 드론 새 규정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1-10뉴질랜드 자동차산업협회(MIA)에 따르면 2018년 연간 신차 등록 수는 16만1770대로 전년 대비 1646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2018년 연간 신차 등록수 중 토요타(Toyota) 차량이 20%를 점유하며 3만2360대로 1위를 차지했다. 그중 레인저(Ranger)가 9904대로 나타났다.2위 포드(Ford)는 1만6366대, 3위 홀덴(Holden)은 1만3046대가 각각 등록됐다. 다음 순위를 보면 4위 미츠비시(Mitsubishi)는 1만2320대, 5위 마즈다(Mazda)는 1만2238대 등으로 조사됐다.상위 5위까지 일본 브랜드가 3개나 점유해 일본차의 선호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2018년 연간 신차 등록수는 2011년 8만4640대와 비교하면 2배 증가한 셈이다.▲토요타(Toyota)의 뉴질랜드 홈페이지
-
2018-10-31인도네시아 글로벌 배차서비스업체인 고젝(Go-Jek)에 따르면 싱가포르에서 포탈을 론칭했다. 서비스에 관심을 가진 운전자들이 사전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운전자가 자신의 연락정보를 남겨 두면 회사가 운전자에서 2개월 이내에 연락할 계획이다. 육상교통청(LTA)로부터 허가를 사전에 받아야 하는 절차가 남아 있다.2018년 5월 고젝은 국제적으로 사업을 확정하기 위해 $US 5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을 밝혔다. 현재 타겟시장은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이다.고젝은 선도업체인 그랩 등과 경쟁하기 위해 운전자와 상생모델을 제시할 방침이다. 고젝은 8년전 자카르타에서 서비스를 론칭한 이후 급성장하고 있다.▲고젝(Go-Jek)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