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ISO27001"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10-16▲ 효성 로고[출처=효성]효성그룹(대표이사 회장 조현준, 대표이사 사장 김규영)의 금융전문 IT계열사 효성티앤에스(대표 최방섭)은 국제 정보보안관리 표준인 ‘ISO27001’ 인증을 획득했다.효성티앤에스는 금융정보를 다루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고객신뢰 확보를 위해 선제적으로 국제정보보호 인증을 취득했다. 정보 자산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인정받아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보안 관리 체계를 갖췄음을 입증 받았다.국제 전문 심사기관인 DNV로부터 엄격한 심사를 거쳐 ISO 27001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ISO 인증 획득으로 금융 자동화 시스템 분야에서 오랜 기간 축적해 온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정보보안 분야에서도 한층 더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ISO 27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제정한 정보보호 관리체계 국제표준으로 정보보호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인증이다.최방섭 효성티앤에스 대표는 “이번 인증을 통해 효성티앤에스는 고객 정보보호와 리스크 관리에 대한 신뢰성을 한층 높였다. 고객의 소중한 정보와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은 물론 앞으로도 체계적인 보안 관리와 혁신적인 솔루션 제공을 통해 고객의 신뢰를 지켜나가겠다”고 밝혔다.
-
중국 소셜 플랫폼 기업인 쿠아이쇼우(Kuaishou)에 따르면 2022년 8월 1일 중남미, 동남아시아, 중동뿐 아니라 중국에서 ISO/IEC 27701 및 ISO/IEC 27001 인증을 획득했다. ISO/IEC 27701 및 ISO/IEC 27001 표준은 정보 보안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국제 표준이다.ISO/IEC 27701은 개인 정보 관리 시스템(Privac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IMS)을 수립, 구현, 유지 및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추가 요구 사항이 있는 ISO/IEC 27001의 개인 정보 보호가 확장된 것이다.이번 인증을 통해 쿠아이쇼우는 업계에서 인증된 세계 표준으로 개인 데이터를 취급하고 있음을 확인받게 됐다. 또한 인증은 사용자의 정보 보안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노력이 국제적인 선진 수준에 도달했음을 나타낸다.독립된 제3자 감사관은 쿠아이쇼우의 통제, 글로벌 보안, 위험 운영이 최고 구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했다. 플랫폼이 자체 개발, 인프라, 운영 및 서비스를 어떻게 보호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일련의 엄격한 점검도 수행했다.위협과 취약성 및 영향을 고려해 조직의 정보 보안 위험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있는지 점검했다. 수용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일관적이고 포괄적인 정보 보안 통제, 기타 형태의 위험 처리(위험회피나 위험 이전)를 설계 및 구현했는지 감사했다.정보보안 통제가 조직의 정보 보호 요구를 지속적으로 충족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관리 프로세스를 채택하고 있는지 평가했다.참고로 쿠아이쇼우는 엔터테인먼트, 온라인 마케팅 서비스, 전자 상거래, 온라인 게임, 온라인 지식 공유 등을 포함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쿠아이쇼우(Kuaishou) 홈페이지
-
인도 통합 엔드포인트 관리(Unified Endpoint Management, UEM) 솔루션 개발업체인 헥스노드(Hexnode)에 따르면 2022년 6월 29일 정보보안관리시스템(ISMS) 관련 ISO27001 인증을 획득했다.국제보안 관련 표준 중에서 가장 유명한 ISO/IEC 27001는 비지니스가 자사의 ISMS를 구축, 이행, 유지, 개선하는데 큰 도움을 제공한다.정보보안 위협으로부터 회복력 있고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ISO/IEC 27001 인증을 받았다는 것은 정보보안에 대해 확고하고 시스템적인 접근이 가능하다는 의미다.헥스노드는 기업이 처리하고 있는 데이터의 보안, 프라이버시, 컴플라이언스를 보호하는 구조도를 구축하고 있다. 고객도 자신의 데이터가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프라이버시와 컴플라이언스는 고객의 데이터를 제3자에게 제공하기 전에 이해관계자가 확인해야 하는 사전 요구조건에 속한다.참고로 UEM은 '중앙 집중된 명령 지점에서 컴퓨터, 스마트폰 및 사물인터넷(IoT) 장치와 같은 여러 유형의 장치를 제어하는 구성 및 방식'을 말한다.▲ 헥스노드(Hexnode)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