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RFID"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ALANTE 스마트하게 즐기는 프리미엄 다회용기 서비스[출처=써큘러랩스]써큘러랩스(대표이사 최희진)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을 적용해 다회용 컵의 대여, 사용, 반납 과정을 스마트하게 관리하는 프리미엄 다회용기 아란테(ALANTE)를 출시했다.RFID 기술을 적용한 아란테는 다회용 컵을 언제, 어디서, 누가 대여하고 반납했는지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복잡한 절차 없이도 다회용 컵을 편리하게 사용하고 사업자는 효과적으로 다회용 컵을 관리할 수 있다.이 서비스는 사용자 편의성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실현한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며 SK텔레콤 환경 플랫폼 해피해빗과 협업했다. 아란테는 크게 3가지 장점이 있다.첫째, 환경부의 탄소중립포인트와 연동해 다회용 컵 반납 시마다 300원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이 포인트는 연간 최대 7만원까지 현금으로 고객이 등록한 계좌에 입금된다.탄소중립포인트 적립은 SK텔레콤 해피해빗 플랫폼을 통해 고객의 이용 실적을 전송함으로써 가능해졌다. 써큘러랩스는 인센티브 제공이 사용자의 참여를 독려하고, 지속 가능한 소비 문화를 확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둘째,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들은 장애인고용부담금을 감면받을 수 있다. 장애인표준사업장 인증을 받은 써큘러랩스는 장애인연계고용제도를 활용해 환경 보호뿐 아니라 장애인 고용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셋째, RFID 기술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 아란테 다회용 컵 시스템은 모든 사용 데이터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수집해 기업들이 ESG 실천에 필요한 Scope3 데이터를 제공한다.서비스 이용 기업들은 다회용 컵 사용을 통한 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으며, 환경 목표를 체계적으로 달성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도 있다.써큘러랩스는 아란테가 장애인 일자리 창출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실현하는 혁신적인 모델이라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
2018-12-31미국 글로벌 로봇제조업체인 심비로봇틱스(Simbe Robotics Inc.)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 다운타운에 위치한 데카슬론(Decathlon)의 매장에 자율 재고관리 로봇인 탈리(Tally)를 배치했다.데카슬론은 스포츠용품 전문기업으로 샌프란시스코 플래그십 스토어에는 고객, 제품 및 매장 직원 간의 중요한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환경을 구축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샌프란시스코 매장은 신기술을 시험하고 매장 내 경험을 발전시킬 수있는 "실험실 매장"으로 운영될 방침이다. 로봇인 탈리는 무선주파수식별(RFID), 컴퓨터 비전 및 기타 센서를 사용해 매장직원이 고객서비스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쇼핑객을 피하고 24시간 내내 정확한 재고점검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탈리는 재고 점검 및 주기 계산을 수행하고 재고 부족물품에 대한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또한 잘못 배치된 품목을 표시하고 상품에 대한 시각적인 점검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매장의 레이아웃 최적화를 가능하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USA-SimbeRobotics-Tally▲ 심비로봇틱스의 탈리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조선업이 주력인 현대중공업은 단순한 업무로 인해 업무시스템정비를 위한 노력은 많이 하지 않았다. 업무는 단순하지만 업무규모가 크기 때문에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있다. 원가를 절감하고 정보를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많이 했고, 이러한 시스템이 현대중공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를 했다.현대중공업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5번째 DNA인 시스템(System)을 경영도구(methodology)와 운영(operation)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 다양한 업무지원 시스템을 도입해 생산효율성 증대현대중공업의 주요 계열사들이 도입하고 있는 시스템을 보면 현대중공업㈜는 데트크톱 가상화(VDI), 제품수명주기관리(PLM), RFID기반 무인계근시스템, 현대삼호중공업은 HS-POPS생산시스템, 날씨경영시스템 등을 도입해 운용하고 있다.현대중공업㈜의 데트크톱가상화(VDI)시스템은 클라우드컴퓨팅의 도입으로 모든 정보를 개별 데스크톱 PC가 아니라 서버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현재 사업
-
한진은 물류산업이 인프라사업이고, 인프라를 관리하는 것이 시스템이라고 인식했기 때문에 국내 경쟁기업과는 달리 시스템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해 비교적 선진화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본적인 업무수행에 필요한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기업의 정보(intelligence), 지식(knowledge)을 관리(management)하고, 윤리경영의 기반인 내부통제를 위한 시스템도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한진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5번째 DNA인 시스템(System)을 경영도구(methodology)와 운영(operation)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 독자개발과 패키지도입으로 시스템 강화한진은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초창기에는 자체개발을 많이 했지만, 대규모 시스템의 경우에는 검증된 패키지(package)를 도입하고 있다. 자체개발은 현장에서 오랜 기간 축적된 자체 운영 노하우를 녹여 내는 방식이다. 자체 개발은 자사의 업무에 최적화를 할 수 있지만 범용성을 확보하지 못하고,&nb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