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RPA"으로 검색하여,
1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10-02▲ KADEX 2024에 참가한 현대로템 전시관[출처=현대로템]현대로템(이용배 사장)에 따르면 2024년 10월2일~6일까지 충청남도 계룡대에서 개최되는 ‘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 전시회(Korea Army international Defense industry EXhibition, KADEX)’에 참가한다.국내 방산 전시회에 참가해 ‘사람을 위한 기술(Human in Technology)’을 주제로 인명보호 기술이 반영된 다양한 방산 제품들을 선보일 방침이다.주력 제품군은 최신예 전차 및 장갑차 기술을 비롯해 무인화·전동화 등 사람을 대신해 임무를 수행함으로써 인명을 보호하고 안보에 기여하는 미래전투체계 비전을 제시한다.현대로템은 미래전투체계 핵심 전시품으로 다목적 무인차량 ‘HR-셰르파(HR-SHERPA)’의 4세대 모델을 선보인다.HR-셰르파는 인공지능(AI), 자율주행은 물론 내구성, 안전성, 디자인 등 차량 제조의 근간이 되는 제조 기술까지 현대자동차그룹과 협업을 통해 개발된 다목적 무인차량이다.전동화 기반 무인차량의 특성을 살려 사람을 대신해 감시, 정찰, 전투, 부상병 및 물자 이송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확장성을 지녔다.현대로템은 1세대 최초 개발 시제품부터 4세대 모델까지 6년 이상 연구개발을 거쳐 HR-셰르파의 품질과 성능을 진화시켜 왔다. 또한 방위사업청에 차세대 무인화 장비로 다목적 무인차량 개발 사업을 최초로 제안했다.2020년 다목적 무인차량 신속시범획득사업을 단독 수주한 현대로템은 동 제품으로는 유일하게 우리 군의 실전 피드백을 통해 최적화를 거치며 HR-셰르파의 완성도를 끌어올렸다.아울러 인명 보호 기술이 탑재된 성능개량형 K2 전차도 선보인다. 성능개량형 K2 전차는 기존 국내에서 전력화된 K2 전차를 기반으로 현대 전장의 트렌드에 맞춰 다양한 사양을 강화한 콘셉트 모델이다.성능개량형 K2 전차의 주요 특징은 다양한 외부 위협으로부터의 생
-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에 따르면 최신 기술의 활용도를 확장하는 양자 컴퓨터 프로젝트의 2단계에 총 $920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했다.더 많은 컴퓨팅 장치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양자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추가 실험을 실행하기 위한 목적이다. 최적화 문제를 해결할 때 양자 정보 처리의 양적 이점을 입증할 수 있다.이 프로젝트는 조지아연구소(Georgia Tech Research Institute)의 주도로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양자 컴퓨팅 시스템은 자기 트랩(magnetic trap)을 사용해 이온을 분리한다.페닝 트랩(Penning trap)이라고 하는 트래핑 프로세스는 자기장과 전기장의 조합을 사용하여 양자 작업을 수행하는 2차원 이온 결정을 제한한다. 트랩은 부피가 크고 극저온으로 냉각되는 초전도 자석 대신 희토류 금속을 사용한다. 연구원들은 이미 18개월 동안 시행착오를 격으면서 10큐비트 길이의 이온 체인을 만들었다.이와 같은 체인에 양자 시스템을 수천 개 더 추가하면 컴퓨터가 더 정확한 솔루션을 계산할 수 있다. 프로젝트가 지금까지 유망한 것으로 입증됐지만 연구원들은 어려운 기술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예를 들어, 양자 시스템이 복잡할수록 "노이즈"로 인한 상당한 오류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연구팀은 양자 시스템에서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최선의 경로를 매핑하고 있다. 이를 통해 더욱 더 향상된 양자 컴퓨터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항공규제기관인 민간항공안전청(Civil Aviation Safety Authority, CASA)은 향후 10~15년간 자국 영공에서 첨단항공모빌리티(AAM)과 원격조종항공시스템(RPAS)의 통합을 위한 규제 기반을 구성하기 위한 로드맵을 발표했다.2021년 오스트레일리아 인프라·교통·지역개발·통신부(DITRDC)가 AAM 및 RPAS 규제에 대한 정책 방향을 설정할 안전규제 로드맵을 작성하라는 지시를 받은 후 시작했다.CASA와 업계 전문가들은 2021년 7월~2022년 1월까지 초기 로드맵을 개발해 왔다. 2022년 초 초안에 대한 공개 의견을 수렴해 최종 로드맵을 발표했다.이 로드맵은 퀸즐랜드주 남동부를 기반으로 자율 항공 택시 서비스를 위해 기반을 구축하고 있는 위스크 에어로(Wisk Aero), 버티포트(Vertiport) 네트워크 구축을 모색하고 있는 스카이포트즈(Skyportz), 자체개발한 eVTOL 설계자 및 제조업체인 AMSL Aero가 인증을 위해 노력하면서 수립했다.CASA는 산업계와 협의해 18개월마다 로드맵을 검토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활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또한 AAM과 RPAS의 규제 개발을 알리기 위해 테스트 제품, 서비스, 개념 등 혁신적인 사고와 규제 정비를 촉진하기 위해 규제 센드박스 등 접근 방식을 활용하게 된다.향후 2022년~2023년까지 CASA는 시범 AAM(advanced air mobility)에 대한 허용 가능한 업계 합의 표준 발표, AAM에 대한 적용 가능한 유지보수 정책 검토, RPAS 인증 및 유지보수 정책 검토, RPAS 인증 및 유지 보수 정책에 대한 국제적 프레임워크, 표준, 방법 등을 검토할 방침이다.향후 AAM과 RPAS 통합을 지원하는 공역관리 방법을 개발하고 기존 분리 표준의 AAM 및 RPAS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 지 연구해 나간다.기존 비행 규칙의 검토, DITRDC 및 항공 운항 서비스 제공업체 에어서비스 오스
-
영국 금융감독청(FCA)에 따르면 '지금 구매하고 나중 결제' 라는 BNPL(Buy now, pay later) 업체들에 대한 개입 이후 '불공정하고 불분명한 약관' 을 바꾸기로 합의했다. 금융감독청(FCA)은 이러한 변화를 시행하기 위해 소비자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규제 당국은 다른 소비자 신용회사와 동일한 기준으로 해당 업종을 규제할 수 있는 여건이 아직은 다소 부족하다는 점을 인정했다.해당 업체들에게 취소 및 지속적 지불 권한에 대한 계약 조건을 '더욱 충실하고 이해하기 쉽게' 바꾸도록 요구했다. 해당 사항에 합의한 주요 BNPL업체들은 다음과 같다. ▶클리어페이(Clearpay), ▶클라나(Klarna), ▶레이바이(Laybuy), ▶오픈페이(Openpay) 등이다. ▲금융감독청(Financial Conduct Authority, FCA) 로고
-
인도 디지털 지급결제 핀테크기업 레이저페이(Razorpay)에 따르면 시리즈 F 라운드에서 총 $US 3억7500만달러를 투자받았다.이번 투자라운드는 Lone Pine Capital, Alkeon Capital, TCV 등이 주관했다. Tiger Global, Sequoia Capital India, GIC, Y Combinator 등 미국 기반 성장 투자자와 기존 투자자들이 참여했다.레이저페이는 이번 투자를 통해 인도에서 가장 가치있는 핀테크 기업으로 이름을 올렸다. 공개시장에 상장된 페이티엠(Paytm) 다음 순위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이전 라운드에 투자받은 전체 금액보다 더 많은 자금을 확보했다. 투자금은 향후 네오뱅킹 부문 레이제페이X(RazorpayX)를 확장 및 인수, 글로벌 진출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레이저페이(Razorpay) 홈페이지
-
인도 핀테크 대기업 레이저페이(Razorpay)에 따르면 지난 일요일 시리즈 F 자금 펀딩 라운드에서 $US 3억7500만달러를 투자받았다.Lone Pine Capital, Alkeon Capital, TCV 등이 공동 주관사로 참여했다. 기존 투자사는 Tiger Global, Sequoia Capital India, GIC, Y Combinator 등이다.이번 자금 펀딩으로 회사 가치는 2021년 4월 30억달러 규모에서 75억달러 규모로 성장했다. 레이저페이는 지난 7년동안 7억4000만달러의 자금을 투자받았다.레이저페이는 소기업 및 대기업 대상 송금, 입금, 결제 등을 처리하고 있다. 신용카드 및 기업대상 운영자금 제공 등을 하는 네오뱅킹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또한 90개 이상 통화를 지원하는 국제 결제 게이트웨이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간 600억달러 규모의 거래를 처리하고 있다.Facebook, Swiggy, Cred, National Pension System, Indian Oil 등 800만개 이상의 기업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다.▲ 레이저페이(Razorpay) 홈페이지
-
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는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21)' 전시회가 개최됐다. 옥스드론은 전시회 현장에 기자들을 파견해 참여한 기업들을 취재했다. 국내 드론 산업의 발전과 기술력을 소개하는 것이 글로벌 드론 종합지를 지향하는 목표와 부합하기 때문이다. (주)넥스앤텍, (주)ASOA, 순돌이드론, 성우엔지니어링, (주)만물공작소, 디브레인, (주)씨너렉스, (주)시스테크, (주)코코드론, (주)스카이뷰 등 10개 업체를 소개했다.다음으로 UMAC Air, (주)무지개연구소, 지오소나(주),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이노뎁(주), 유콘시스템(주), (주)이스턴스카이, (주)드론월드, BSTARCOM, (주)올포랜드, 해양드론기술, (주)케이씨에스, (주)엠지아이티에 이어 소개하려는 기업은 (주)유시스(이하, 유시스)이다.유시스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전반 안전 분야에 솔루션 제공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현장의 산업안전과 재난 안전을 위해 IoT 기반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유시스는 지난 2004년 8월 (주)씨에프정보통신으로 출발해 2011년 12월 현재 상호로 변경했다. 2018년에는 LG U+와 공동 드론사업을 위해 MOU를 체결했다.주요 제품에는 지능형 산업안전 솔루션(Safety On-Smart), 지능형 자동항법 드론 솔루션(RPAS On-Smart), 3차원 통합운영 스마트공장 솔루션(Factory On-Smart), 야드 적치장 스마트 인벤토리 관리시스템(Inventory On-Smart), Hexagon PPM 제품군, BricsCAD 등이 있다.♦ ROS(RPAS On-Smart) 솔루션 제품개요(출처 : 홈페이지)지능형 산업안전 솔루션(Safety On-Smart)은 산업재해 예방·감소 및 신속한 재해 대응체계의 필요성, 안전한 작업 환경의 요구, 산업재해 손실 비용 감소 방안의 필요성, 강회되
-
스위스 디지털보안 및 사물인터넷(IoT) 솔루션 기업인 쿠델스키그룹(Kudelski Group)에 따르면 케이블 방송사업자인 나수(naxoo)와 파트너십을 발표했다.LoRaWAN 기반 Sherpa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파트너십을 통해 쿠델스키는 다수의 IoT 네트워크에 대한 시스템 전체 보안 위협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또한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장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반 보안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제네바 호수 지역의 기관 및 개인 플레이어에게 최초의 안전한 종단간 IoT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이다.이를 통해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와같은 두 회사의 파트너십은 쿠델스키의 전문성과 나수의 인프라 및 운영이 결합돼 IoT 분야의 벤치 마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특히 전문가들은 나수가 안전한 IoT 네트워크를 위한 인프라, 기술 및 모범 사례의 선구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wiss-Kudelski-IoT▲ 쿠델스키그룹(Kudelski Group)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미국 FortressIQ에 따르면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개선을 위한 시리즈 B 펀딩(Series B funding)에서 $US 3000만달러 규모 자금을 확보했다.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벤처 펀드 M12와 Tiger Global Manager가 시리즈 B 펀딩 주관사이다. 초기 투자자 Boldstart Ventures, Comcast Ventures, Eniac Ventures, Lightspeed Venture Partners가 참여했다.포터레스IQ의 핵심 업무는 고객의 업무 기록시스템 창출 및 구축을 통해 비지니스 혁신 과정을 성공시키는데 일조하고 있다.또한 지난 2019년 11월 마이크로 소프트사와 파트너 관계를 맺었다. 또한 2020년 4월 Microsoft Power Automate와 통합하기로 결정했다.▲ FortressIQ▲ FortressIQ 홈페이지
-
2019-04-09미국 글로벌 전기자동차 제조업체인 테슬라에 따르면 일본 서부 오사카의 기차역에서 그리드 규모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BESS)을 설치하는 프로젝트를 완료했다.테슬라 시스템의 용량 규모는 4,200kW/7,098kWh이다. 철도 운영자인 킨키일본철도(近畿日本鉄道)는 4월 1일부터 완전한 운영을 개시했다.킨키일본철도의 나라선(奈良線) 서비스에 위치한 히가시하나조노(東花園)의 변전소와 연결돼있다. 배터리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정전 또는 긴급 상황을 대비해여 원격으로 충방전할 수 있다.예를들면 킨키일본철도(近畿日本鉄道)가 잠재적으로 정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이 시스템을 이용해 42개의 연결된 파워팩(Powerpack)이 열차를 계속 움직이게 한다.최대 30분 동안 또는 더 짧은(나뉘는) 기간 동안 여러 줄로 열차를 이동할 수 있다. 시스템은 그리드의 최고 부하를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또한 간접 전력회사인 간사이 전력 (關西電力)의 VPP(Virtual Power Plant) 시범 프로젝트에도 추가될 예정이다. 향후 테슬라는 일본의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Japan-Tesla-Kintets-energystorageBattery▲ 테슬라(Tesla)의 에너지 저장시스템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