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8
"운항"으로 검색하여,
8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08▲ 인천항만공사 CI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4월7일(월) 인천대(총장 박종태)와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 컨소시엄 협약’을 서면으로 체결했다.인천항만공사는 2020년 인천대 동북아물류대학원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양수산부「제4차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사업(2020~2024)」에 참여했다.평가를 거쳐 인천대가 지원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이에 따라 해운항만물류 관련 연구를 지원하는 ‘성과기반 고급인력양성 과정’의 운영비 일부를 공사가 분담했다.이번「제5차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사업(2025~2029)」에서도 인천대 동북아국제물류통상학부가 ‘산학연계 인턴십과정’ 지원기관으로 선정됨에 따라 공사는 청년 취업 지원사업에 협력하기 위해 다시 한번 컨소시엄 협약을 체결했다.‘산학연계 인턴십과정’은 제5차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사업에서 신규 개설된 사업 유형이며 대학교 3학년 이상 재학생을 대상으로 국내외 해운·항만·물류 기업과 연계해 일정 수준의 인턴십 기회 및 임금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공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2029년까지 5년간 인천대의 인턴십 사전 직무교육 등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사업비 일부를 지원할 예정이다.인천항만공사 신재완 이에스지(ESG)경영실장은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사업에 인천지역의 항만물류 관련 교육기관이 연속으로 선정됐다”며 “앞으로도 지역 대학과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 지역인재를 양성하고 청년 취업을 지원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 실제 선박에 설치된 3D프린팅 디지털 워크샵[출처=HD현대중공업]HD현대중공업(대표이사 사장 이상균·노진율)에 따르면 최근 목포에 위치한 HD현대삼호에서 ‘운항 선박 내 유지보수 부품 자체 제조를 위한 3D프린팅 융합 실증기술(제품명 : 3D프린팅 디지털 워크샵)’에 대한 최종 평가 및 시연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HD현대중공업이 세계 최초로 운항 선박 내 긴급 유지·보수·정비(MRO)를 위한 3D프린팅 신기술을 개발하며 조선업의 디지털화를 가속하고 있다. HD현대중공업은 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정기선)의 조선 부문 계열사다.HD현대중공업은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울산광역시 및 산하 기관, 씨에스캠, HD한국조선해양, HMM, 한국선급(KR)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3D프린팅 디지털 워크샵’ 과제에 착수한 바 있다.이 과제는 2025년 12월까지 완료될 예정으로 운항 중인 선박에서 자체적으로 MRO 관련 부품을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3D프린팅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증하는 것이 목표다.장거리를 운항하는 대형 선박들은 예기치 못한 상황을 대비해 여러 종류의 예비 부품을 선적하고 출항한다. 그러나 3D프린팅 기술이 도입되면 선상에서도 필요 부품을 언제든지 제작해 즉시 교체가 가능해진다. 주문, 제작, 배송까지 일련의 과정이 단축되는 만큼 시간 및 비용도 절약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HD현대중공업은 이번 실증을 통해 실제 선상에서 3D프린팅 장비를 운용하는 것은 물론 선박 운동 및 진동 저감 장치에 대한 기술도 함께 검증했다.물 위를 항해하는 선박은 연속적으로 움직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3D프린터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운동 및 진동을 저감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HD현대중공업은 향후 3D프린팅 기술에 대한 상업화를 본격 시작할 예정이다. 다양한 부품에 대한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항구와 선박 간 네트워킹을 구성해 필요한 부품을 원격으로 주문, 인근 항구에서 손쉽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또한 HD한국조선해양과 조선용 탄소강 분말소재 개발 등 소재의 다변화를 위한 기술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3D프린팅이 가능한 부품의 폭을 확대하는 동시에 가격 절감 등의 효과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한편 HD현대중공업은 2024년 5월 미국선급(ABS)으로부터 ‘운항 선박 내 신속 MRO 대응을 위한 3D프린팅 시스템’에 대해 NTQ (New Technology Qualification, 신기술 사용 적합성 인증) 2단계를 세계 최초로 받은 바 있다.
-
▲ 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미레이트(Emirates)의 포클래스(Four-class) 보잉 777(Boeing 777) 기체의 내부 모습. [출처=에미레이트 엑스(X) 계정]2025년 3월10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의 서비스와 금융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미레이트(Emirates)에 따르면 2025년 4월14일부터 두바이(Dubai)에서 대한민국 서울에의 항공편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다.미국 글로벌 금융 연구 및 분석 기업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글로벌 레이팅스(S&P Global Ratings)에 따르면 2025년 걸프만 국가들의 보험 시장 성장율은 5%에서 15% 사이로 전망된다. ◇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글로벌 레이팅스, 2025년 걸프만 국가의 보험 시장 성장율 5%에서 15% 사이로 전망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미레이트(Emirates)에 따르면 2025년 4월14일부터 두바이(Dubai)에서 대한민국 서울에의 항공편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다.항공기 기체는 보잉 777(Boeing 777)로 주중 월/수/금 3회 운항한다. 개조된 보잉 777 기체를 활용한 동아시아 노선으로는 서울이 2번째다.2025년 5월7일부터 영국 런던 스탠스테드 국제공항(London Stansted) 노선의 운영을 시작하며 보잉 777의 운영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미국 글로벌 금융 연구 및 분석 기업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글로벌 레이팅스(S&P Global Ratings)에 따르면 2025년 걸프만 국가의 보험 시장 성장율은 5%에서 15% 사이로 전망된다.국가별 상황에 따라 보험 시장 성장율은 상이했다. 2024년 아랍에미리트의 보험 시장 성장율은 20%로 예측되며 2025년에는 10%에서 20% 사이로 전망된다.걸프만 국가의 보험 시장 디지털화는 고객 서비스를 향상하고 산업 성장율을 주도하는 주요 요소로 판단된다. 아랍에미리트의 주요 보험사는 운영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자동화와 디지털 전환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
2025-02-26▲ 대한항공 드론쇼코리아 2025 부스 전경[출처=대한항공]대한항공(회장 조원태 사장 우기홍)에 따르면 2025년 2월26일(수)부터 28일(금)까지 3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DSK(드론쇼코리아) 2025’에 참가한다.DSK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 국방부, 우주항공청, 부산광역시가 주최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드론 전문 전시회다. 올해는 행사 10주년을 맞아 역대 최대 규모인 15개국 306개사가 전시에 참가한다.대한항공은 DSK 참여업체 및 기관 중 가장 큰 규모로 부스를 운영한다. 현재 주력 생산하고 있는 무인기와 미래형 무인기, 도심항공교통(UAM) 운항통제 및 교통관리 시스템을 전시한다.대한항공은 현재 공군 전력화를 위해 중고도무인기를 생산하고 있다. 소형급 타격형 무인기, 인공지능(AI) 기술이 접목된 유·무인 복합형 무인편대기 및 소형협동형무인전투기 등 무인기 최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UAM 상용화에 대비해 UAM 핵심인 교통관리 시스템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대한항공은 드론과 헬기 등 저고도 운항 항공기를 통합 관제할 수 있는 UAM 교통관리·운항통제 시스템 ‘ACROSS(Air Control And Routing Orchestrated Skyway System)’를 자체 개발하고 2024년 특허청에 상표 등록을 마쳤다.대한항공은 항공기 제작과 정비, 무인기 개발 및 성능개량 사업을 수행하는 유일한 항공사다. 세계 수준의 항공우주 종합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무인항공기, 스텔스 기술, 우주 발사체 등 드론과 미래 성장 기반도 공고히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
▲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국제공항(AUH)의 모습. [출처=아부다비 항공(Abu Dhabi Airports) 홈페이지] 2025년 2월6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부동산과 교통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부동산 기업인 프로퍼티 파인더(Property Finder)에 따르면 2025년 1월 두바이(Dubai)의 부동산 부문 거래 건수는 1만4238건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23% 증가했다.사우디아라비아 민간항공총국(GACA)에 따르면 2025년 2월 국제 항공 운영업체들을 대상으로 국내 운항권 제한을 없앤다고 발표했다.◇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항공(Abu Dhabi Airports), 2024년 공항 5곳의 이용객 수 2940만 명으로 2023년 2290만 명과 비교해 28.1% 증가아랍에미리트 부동산 기업인 프로퍼티 파인더(Property Finder)에 따르면 2025년 1월 두바이(Dubai)의 부동산 부문 거래 건수는 1만4238건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23% 증가했다.2025년 1월 두바이의 부동산 거래 규모는 AED 444억 디르함(US$ 120억9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 24% 증가했다.소비자들이 소유 혹은 투자하려는 두바이의 부동산 자산은 유형별로 △침실 1개 주택, 31% △침실 2개 아파트, 37% △스튜디오, 15%로 각각 집계됐다.아랍에미리트 공항 운영기업인 아부다비 항공(Abu Dhabi Airports)에 따르면 2024년 공항 5곳의 이용객 수는 2940만 명으로 2023년 2290만 명과 비교해 28.1% 증가했다.공항 5곳 중 특히 아부다비 국제공항(AUH)이 이용객 증가의 촉매제 역할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4년 동안 29개 신규 노선을 출시하며 125곳 이상으로 항공 연결성을 높였기 때문이다.운항 네크워크의 확장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향상하며 이용객 수가 능가한 것으로 판단된다.승객 교통량 외에도 화물 수송량도 큰 폭으로 성장했다. 2024년 화물 수송량은 67만8990톤(t)으로 2023년 56만434t과 대비해 21% 증가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민간항공총국(GACA), 2025년 5월1일부터 국제 항공 운영업체 대상 국내 운항권 제한 폐지사우디아라비아 민간항공총국(GACA)에 따르면 2025년 2월 국제 항공 운영업체들을 대상으로 국내 운항권 제한을 없앤다고 발표했다.2025년 5월1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며 국내 민간 항공 시장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GACA의 요구 조건을 충족하면 해외 항공 업체들에게 국내 운항권에 대한 권한을 받을 수 있다.
-
▲ 중국 창롱하이윈(長榮海運, Evergreen Marine, 에버그린마린) 홈페이지중국 창롱하이윈(長榮海運, Evergreen Marine, 에버그린마린)에 따르면 자회사 에버그린아시아가 동부지역 부동산 2곳 매입 및 개발 계획에 대해 이사회 승인을 받았다.삼성전자 재팬에 따르면 2024년 12월26일 삼성 5G 스마트폰 SIM 프리 모델 갤럭시 S24 FE를 발매한다. 삼성온라인샵, 쇼케이스 '갤럭시 하라주쿠', '갤럭시 스튜디오 오사카' 등에서 2024년 12월12일부터 예약을 접수하기 시작했다. KDDI의 에유(au)에서도 캐리어 모델로 갤럭시 S24 FE를 판매하기로 했다.세이부홀딩스(西武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아카프리의 애칭으로 사랑받은 아카사카 프린스 호텔 부지에 건설된 복합 빌딩을 미국 투자 펀드에 약 4000억 엔에 매각한다.복리후생 서비스를 다루는 HQ는 2024년 12월12일 벤처캐피탈(VC) 글로벌 브레인 등을 인수하는 제3자 할당증자로 20억 엔을 조달했다.캐세이퍼시픽그룹에 따르면 캐세이퍼시픽항공과 홍콩익스프레서의 운항 횟수가 2025년 1월 이후 전염병 발생 전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두 항공사는 2025년내 100개 이상의 승객 목적지를 확보할 계획이다.◇ 중국 창롱하이윈(長榮海運), 자회사 에버그린아시아가 동부 지역 부동산 2곳 매입 및 개발중국 창롱하이윈(長榮海運, Evergreen Marine, 에버그린마린)에 따르면 자회사 에버그린아시아가 동부 지역 부동산 2곳 매입 및 개발 계획에 대해 이사회 승인을 받았다.에버그린아시아(Evergreen Asia)가 에버그린아메리카(Evergreen America Co., Ltd.)로부터 미국 동부에 위치한 부동산을 각각 US$ 4220만 달러와 1억1080만 달러에 구매할 계획이다.저지시티의 입지, 환경, 임대료 등 모든 조건이 변동성이 큰 해운시장보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부동산 투자 수익을 위해 우수한 투자 대상이라고 밝혔다.◇ 일본 삼성전자 재팬, 2024년 12월26일 삼성 5G 스마트폰 SIM 프리 모델 갤럭시 S24 FE 발매삼성전자 재팬에 따르면 2024년 12월26일 삼성 5G 스마트폰 SIM 프리 모델 갤럭시 S24 FE를 발매한다.삼성온라인샵, 쇼케이스 '갤럭시 하라주쿠', '갤럭시 스튜디오 오사카' 등에서 12월12일부터 예약 접수를 시작했다. KDDI의 에유(au)에서도 캐리어 모델로 갤럭시 S24 FE를 판매하기로 했다.갤럭시 S24 FE 모델은 풀HD+(2340x1080도트) 해상도, 약 6.7형 Dynamic AMOLED 2X(유기EL) 사용을 갖췄으며 갤럭시 AI도 탑재했다.아웃 카메라는 약 1200만 화소 초광각 카메라, 약 5000만 화소 광각 카메라, 약 800만 화소 망원 카메라(광학 3배줌)로 구성됐다. 프로세서는 Exynos 2400e, 메모리 8기가바이트(GB), 내장 스토리지 약 1000만 화소, 배터리 용량 47000밀리암페어시(mAh) 등이다.세이부홀딩스(西武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아카프리(가성비 좋은) 호텔로 사랑받은 아카사카 프린스 호텔 부지에 건설된 복합 빌딩을 미국 투자 펀드에 약 4000억 엔에 매각한다.빌딩은 상업시설이나 호텔, 오피스, 주택 등이 입주해 있다. 세이부 홀딩스는 2016년 개업했으며 2025년 2월 말 매각이 완료된다.복리후생 서비스를 다루는 HQ는 2024년 12월12일 벤처캐피탈(VC) 글로벌 브레인 등을 인수하는 제3자 할당증자로 20억 엔을 조달했다.법인용 코칭 서비스 등 향후 2년간 7개의 신제품을 투입할 예정이다. 인공지능(AI)과 스마트폰 앱도 활용해 고객기업 직원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최적의 메뉴를 제안한다.제3자 할당 증자는 오므론의 기업 벤처 캐피탈(CVC)인 오므론 벤처스, NTT 데이터 자회사의 NTT 데이터·스마트 소싱등이 맡았다.◇ 홍콩 캐세이퍼시픽그룹,2025년 1월 이후 캐세이퍼시픽항공과 홍콩익스프레서 운항 횟수 전염병 발생 이전 수준 도달캐세이퍼시픽그룹에 따르면 2025년 1월 이후 케세이퍼시픽항공과 홍콩익스프레서의 운항 횟수가 전염병 발생 전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두 항공사는 2025년 내 100개 이상의 승객 목적지를 확보할 계획이다.캐세이퍼시픽그룹은 2023년 신규 직원 약 7000명을 채용하고 교육을 실시했다. 현재 전체 직원 수는 약 3만 명을 초과했다.신규 채용 인원은 객실 승무원, 조종사, 공항팀, 엔지니어링팀, IT팀, 물류직원, 보조회사 등으로 분산됐다. 이 중 객실승무원은 5000명으로 3배로 늘어났다.
-
▲ 사우디아라비아 항공사인 리야드 항공(Riyadh Air)은 2024년 10월 프랑스 항공기 제작 전문업체인 에어버스(Airbus)와 A321 네오(A321neo)의 기체 60대 발주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리야드 항공 홈페이지]2024년 10월31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통계와 서비스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공항인 아부다비 국제공항(Abu Dhabi Airports)에 따르면 2024년 9월30일 기준 이용객 수는 2170만 명으로 집계됐다.사우디아라비아 항공사인 리야드 항공(Riyadh Air)에 따르면 2024년 10월 프랑스 항공기 제작 전문업체인 에어버스(Airbus)와 A321 네오(A321neo)의 기체 60대 발주 계약을 체결했다.◇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국제공항(Sharjah Airport), 2024년 3분기 이용객 수 439만2000명 집계아랍에미리트 공항인 아부다비 국제공항(Abu Dhabi Airports)에 따르면 2024년 9월30일 기준 이용객 수는 2170만 명으로 집계됐다.2023년 동기간 이용객 수인 1650만 명과 비교해 연초 누계(YTD)는 31.2% 증가했다. 2024년 3분기 동안 이용객 수가 증가한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3분기의 이용객 수는 770만 명으로 2023년 3분기 대비 27% 상승했다. 수도 아부다비가 여름 시즌 동안 관광과 레저 허브로서의 선호도가 오른 것으로 판단된다.아랍에미리트 샤르자 국제공항(Sharjah Airport)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이용객 수는 439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동기간 대비 10% 늘어난 것이다.2024년 3분기 동안의 기체 운항 횟수는 전년 동기간 대비 6.7% 상승했다. 35개 항공사에서 2만7758회 운항한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3분기 취급한 화물량은 4만6284톤(t)으로 2023년 동기간 대비 32% 증가했다. 해상-육상 화물량은 3236t으로 운영 성장률은 전년 동기간 대비 7.8%로 집계됐다.◇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항공(Riyadh Air), 2024년 10월 에어버스(Airbus)와 A321 네오(A321neo) 기체 60대 발주 계약 체결사우디아라비아 항공사인 리야드 항공(Riyadh Air)에 따르면 2024년 10월 프랑스 항공기 제작 전문업체인 에어버스(Airbus)와 A321 네오(A321neo)의 기체 60대 발주 계약을 체결했다.이번 계약은 사우디아라비아 수도인 리야드에서 진행된 미래 투자 이니셔티브(FII)의 8번째 회담에서 진행됐다. 항공 산업 부문의 성장 지원과 함께 연료 효율성이 높은 기체를 도입해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고자 한다.
-
2024-10-29▲ 사우디아라비아 통계청(GASTAT)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동안 주거용 토지 가격은 1.6%, 상업 부문은 6.4%로 전년 대비 상승한 반면 농업 용지 가격은 8.7% 하락해 주거 부문 지수에 영향을 끼쳤다. [출처=GASTAT 엑스(X) 계정] 2024년 10월29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서비스와 통계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티하드 항공(Etihad Airways)에 따르면 2024년 11월1일부터 미국 보스턴(Boston) 일일 노선 운항을 시작할 계획이다.사우디아라비아 통계청(GASTAT)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부동산 가격 지수는 전년 동기간 대비 2.6% 상승했다.◇ 아랍에미리트 국립해양준설(NMDC Group), 2024년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순이익 AED 21억9200만 디르함(US$ 5억9896만 달러)로 집계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티하드 항공(Etihad Airways)에 따르면 2024년 11월1일부터 미국 보스턴(Boston) 일일 노선 운항을 시작할 계획이다.아랍에미리트와 캐나다 사이의 1일 노선 운항을 시작한 것의 연장선으로 북아메리카 지역 노선의 운항 횟수를 1주에 42회로 늘렸다.에티하드 항공은 2024년 10월27일 캐나다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Toronto Pearson Airport)에 처음으로 에어버스 A350(Airbus A350) 노선을 운항했다.UAE의 토론토와 보스턴 노선 수요가 증가하며 북아메리카 지역 노선을 확장해 소비자 수요를 충족하고 운항 유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북아메리카 노선 외에도 유럽 노선의 운항 횟수를 늘려 유럽 국가 간의 운항 네트워크도 강화할 계획이다.아랍에미리트 에너지 및 해양서비스 기업인 국립해양준설회사(NMDC Group)에 따르면 2024년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순이익은 AED 21억9200만 디르함(US$ 5억9896만 달러)로 전년 동기간 15억1300만 디르함 대비 45% 증가했다.2024년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매출액은 185억1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간 110억3900만 달러와 비교해 68% 급증했다.그룹 자회사를 통한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강세와 전략적 운영 확장과 더불어 NMDC 에너지(NMDC Energy)의 기업공개(IPO)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기 때문이다.2024년 3분기 순이익 7억3100만 디르함으로 2023년 3분기 대비 16% 증가했다. 2024년 3분기 매출은 63억9200만 디르함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50% 상승했다.◇ 사우디아라비아 통계청(GASTAT), 2024년 3분기 부동산 가격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6% 상승사우디아라비아 통계청(GASTAT)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부동산 가격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6% 상승했다. 주거 부문 지수의 연간 성장율이 1.6%를 기록하며 전체 부동산 가격 지수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3분기 동안 주거용 토지 가격은 1.6%, 아파트 가격은 1.9%, 빌라 가격은 1.5%로 각각 전년 대비 인상해 주거 부문 지수에 영향을 끼쳤다.2024년 3분기 상업 부문 부동산 가격 또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6.4% 상승했다. 상업용 토지 가격이 6.3% 증가하고 빌딩 가격이 8.6% 인상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반면 2024년 3분기 갤러리와 가게 부동산 가격은 1.1%, 농업 용지 가격은 8.7%로 전년 동기간 대비 각각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
▲ 하이얼 태국(Haier Thailand)은 촌부리에 국내 최초 에어컨 생산시설을 설립하고자 100억 바트를 투자했다.[출처=하이얼 태국 홈페이지]2024년 10월25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태국을 포함한다. 싱가포르 항공은 에어 인디아와의 정기 주간 코드셰어 서비스를 14개에서 56개로 늘린다.하이얼 태국의 태국 시장 점유율은 13%에서 35%로 증가했다.◇ 싱가포르 항공(SIA), 에어 인디아(Air India)와 코드셰어 협정 확장싱가포르 항공(SIA)은 에어 인디아(Air India)와 함께 공동운항(코드셰어) 협정을 확장할 계획이다. 네트워크에 인도 도시 11곳과 해외 40곳이 더해진다.싱가포르에서 벵갈루루·첸나이 간의 정기 주간 코드셰어 서비스를 14개에서 56개로 늘린다. 또한 SIA는 에어 인디아 익스프레스(Air India Express)를 자회사로 두게 된다.참고로 SIA는 에어 인디아의 지분 25.1%를 소유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경영이 악회돤 에어 인디아를 민간에 매각했다. ◇ 하이얼 태국(Haier Thailand), 촌부리 에어컨 생산시설 설립위해 100억 바트 투자태국 가전제품 제조업체 하이얼 태국(Haier Thailand)은 촌부리에 새로운 에어컨 생산시설을 설립하고자 100억 바트를 투자했다.2025년 10월 가동을 시작했을 때 300만 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후 2027년까지 2배인 600만 대로 늘린다. 국내뿐만 아니라 아시아·태평양 국가로 수출하고자 생산량을 확대할 방침이다.하이얼의 2024년 매출 목표를 110억 바트다. 국내 시장에서 하이얼의 가전제품 점유율은 13%에서 35%로 상승했다. 2024년 1월~9월 98억 바트 상당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주차 시설 및 서비스 제공기업인 파킨(Parkin Company)은 2024년 10월 자산 매니저먼트 서비스 기업인 마지드 알 푸타임(Majid Al Futtaim Properties LLC)과 주차 시스템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파킨 엑스(X) 계정]2024년 10월24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카타르의 전력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4년 10월 인도 라자스탄(Rajasthan) 주정부와 60기가와트(GW) 규모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 계획을 체결했다.카타르 국영항공사인 카타르 항공(Qatar Airways)에 따르면 2024년 10월22일부터 스타링크(Starlink)를 탑재한 보잉 777(Boeing 777) 기체 운항을 시작했다.◇ 아랍에미리트 파킨(Parkin Company), 2024년 10월 마지드 알 푸타임(Majid Al Futtaim Properties LLC)과 주차 시스템 도입 계약 체결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4년 10월 인도 라자스탄(Rajasthan) 주정부와 60기가와트(GW) 규모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 계획을 체결했다.동의에 따라 라자스타 서부 지역의 태양열, 풍력, 하이브리드 에너지 등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집중할 계획이다.이번 계획은 최신 재생에너지 기술의 도입과 주 내 전력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장기간 전력 시설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주차 시설 및 서비스 제공기업인 파킨(Parkin Company)에 따르면 2024년 10월 자산 매니저먼트 서비스 기업인 마지드 알 푸타임(Majid Al Futtaim Properties LLC)과 주차 시스템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계약에 따라 2025년 1월1일부터 향후 5년간 알 푸타임이 운영하는 두바이 내 쇼핑몰 3곳에서 파킨의 배리어리스(barrierless) 주차 시스템이 도입된다. 주차비는 변동되지 않는다.쇼핑몰 주차장의 입출입을 원활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쇼핑몰 3곳의 주차 대수는 약 2만1000대로 연간 차량 교통 대수는 2000만대 이상이다.◇ 카타르 카타르 항공(Qatar Airways), 2024년 10월22일부터 스타링크(Starlink) 탑재한 보잉 777(Boeing 777) 기체 운항 시작카타르 국영항공사인 카타르 항공(Qatar Airways)에 따르면 2024년 10월22일부터 스타링크(Starlink)를 탑재한 보잉 777(Boeing 777) 기체 운항을 시작했다.스타링크(Starlink)는 미국 항공우주 탐사 기업인 스페이스 X(SpaceX)에서 개발한 위성 인터넷 서비스로 글로벌 모바일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해당 노선은 카타르 수도 도하(Doha)에서 영국 수도 런던(London)까지의 노선으로 모든 이용객에게 스타링크를 통한 초고속 저지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카타르 항공은 초기 계획 목표인 스타링크 탑재 기체 3대 도입에서 2024년 말까지 12대로 늘릴 계획이다.2025년까지 모든 보잉 777 기체에 탑재할 계획이며 2025년 여름부터 에어버스 A350(Airbus A350)에도 해당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