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전력산업"으로 검색하여,
1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프랑스의 명품 업체인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매장 전경 [출처=홈페이지]2025년 4월15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 정부는 클린 에너지 정책을 적극 펼치고 있지만 다양한 규제로 투자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한다.프랑스의 명품업체의 매출액 감소가 두드러지고 있다. 미국발 관세 전쟁과 더불어 명품 소비가 붕괴되고 있기 때문이다. 명품이 불황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명제도 무너지고 있다.아일랜드의 제약산업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지만 정부는 안심하기에 이르다고 판단한다. 미국으로 수출이 급증했지만 관세 전쟁으로 위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영국 오프젬(Ofgem), 국가에너지시스템 운영자의 전력망 연결을 개혁하기 위한 조치를 발표할 예정영국 전기·가스규제기관인 오프젬(Ofgem)에 따르면 국가에너지시스템 운영자의 전력망 연결을 개혁하기 위한 조치를 발표할 예정이다.현재 데이터센터와 같은 클린 에너지와 관련 인프라 구축에 대한 투자가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 투자액만 £437억 파운드에 달하지만 전력망 연결이 어려운 상태다.일부 기업은 투자를 단행하기 위해 15년 이상을 기다리고 있으며 지난 5년 동안 전력망 연결 대기 시간이 10배나 늘어났다. 규제가 완하되면 관련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프랑스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2025년 1분기 미국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프랑스의 명품 업체인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는 2025년 1분기 미국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했다고 밝혔다.명품 관련 소비 패턴이 붕괴되고 있을 뿐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위협으로 전체 소비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케어링의 회장 겸 CEO인 프랑소아 앙리 피노(François-Henri Pinault)는 2025년 4월11일 법원으로부터 2017년과 2018년 자신에게 부과된 세금을 취소해달라는 소송에서 패소했다.그는 영국 런던에서 거주하며 세금은 영국에서 냈기 때문에 프랑스에서 다시 부과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법원은 케어링의 본사가 프랑스에 있다는 이유로 거부했다. 관련 세금은 € 1156만 유로에 달한다. ◇ 아일랜드 중앙통계청(CSO), 2025년 2월 제약 산업의 수출 전년 동월 대비 146% 급증아일랜드 중앙통계청(CSO)에 따르면 2025년 2월 제약 산업의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146% 급증했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63.2%에 달했다.2월 미국으로 의약품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10.5% 확대됐다. 2월 수출액은 € 129억 유로로 전년 동월 42억 유로에 비해 대폭 상승했다. 2월 전체 수출액은 255억 유로로 전월 대비 7억90만 유로, 2.8% 늘어났다.반면에 2월 계절조정 수입액은 126억 유로로 전월 대비 16억2000만 유로, 14.8% 확대됐다. 제약산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지만 미국발 관세 전쟁의 여파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
▲ 발전기술컨퍼런스 행사 포스터[출처=발전기술컨퍼런스]한국발전인재개발원에 따르면 2024년 12월6일(금요일) 대전컨벤션센터서 '발전기술컨퍼런스 2024'가 개최될 예정이다. 발전기술컨퍼런스는 한국남동발전과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발전인재개발원이 주관한다.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2021년까지 2년간 온라인으로 진행됐던 ‘발전기술컨퍼런스’가 2022년 오프라인에서 개최한데 이어 2년 만에 다시 오프라인으로 열린다. 행사 주제는 ‘Power to Tomorrow: Sustainable Carbon-Free Innovation’으로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전력산업을 위한 혁신적 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다.컨퍼런스에서는 다양한 강연과 분과 세션을 통해 전력산업의 미래 방향성과 최신 기술을 공유한다. 기조강연에서는 박종배 건국대학교 교수가 ‘11차 전력수급계획의 주요 내용과 발전산업의 발전 방향’을 주제로 전력 수급과 탄소중립을 위한 발전산업의 전략적 비전을 제시한다.이어지는 인문학 강연에서는 역사 강사인 썬킴 교수가 ‘처칠 vs 히틀러 : 국민과 소통한 처칠’이라는 주제로 국민과의 소통을 통한 리더십의 중요성을 다룬다.인문학 강연 이후에는 전력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SMART 분과, 무탄소 분과, 분산에너지 분과, 디지털·AI 분과 등 4개 세션이 동시 진행되며, 총 18개의 주제 발표가 이뤄진다.▲ 사전등록 이벤트 안내[출처=발전기술컨퍼런스]· SMART 분과 : 발전 분야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접근이 소개된다.발표 주제로는 △발전 분야 자기규율 위험성 평가 기반 구축 방안 △실시간 통합 안전관리 플랫폼(K-Safety net) 개발과 적용 △PAUT 비파괴검사 기량 검증 시스템 개발 성과 △발전운영 업무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효율성 제고 등이 있다.· 무탄소 분과: 탄소중립 목표 실현을 위한 청정 에너지 기술과 정책이 다뤄진다.발표 주제로는 △2050 ‘Net Zero’ 달성을 위한 KOWEPO 무탄소 발전 프로젝트 추진 계획 △USC급 미분탄 혼소 보일러 암모니아 20% 혼소 기술 개발 및 실증 △미래 에너지 수소·암모니아 연료 기술 및 위험성 △삼척빛드림 1호기 암모니아 혼소발전 추진계획 △3.3㎿ 그린수소 생산 및 저장 시스템 기술개발 실증 사례 등이 포함된다.· 분산에너지 분과 : 분산형 에너지와 전력망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 성과가 발표된다.주요 발표 주제로는 △관성자원 실증 성과 보고 △제주한림해상풍력 건설과 정비사업 △국내외 대용량 태양광 발전소 운영 및 전력계통 연계 △전원 유연성 확보를 위한 다종에너지 저장시스템에 대한 연구 △일반수소입찰시장 결과 고찰 등이 다뤄진다.· 디지털·AI 분과 : AI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설비 진단과 운영 혁신 방안이 논의된다.발표 주제로는 △Indoor 드론을 활용한 발전설비 디지털트윈 기반 진단기술 △AI를 통한 발전소 운영, 유지보수 혁신 △KOSPO 전사적 디지털 변환체계 구축 △풍력발전기 너셀 요잉 오정렬 분석 등이 포함된다.이번 4개 분과 세션은 발전산업의 최신 기술 동향과 미래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로, 참가자들은 전력산업의 변화와 혁신을 위한 깊이 있는 논의를 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국내 23개의 전시 업체가 참여해 최신 발전기술과 제품을 선보이며, 참가자들에게 직접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전시 부스를 방문하고 스탬프 랠리에 참여한 관람객들은 부대 행사로 퍼스널 컬러 진단과 디지털 캐리커처 체험 이벤트에도 참여할 수 있다.▲ 분과세션 경품 추첨 이벤트 안내[출처=발전기술컨퍼런스]사전 등록자에게는 기념품과 오찬이 한정 수량으로 제공되며, 사전 등록자 중 추첨을 통해 경품도 증정한다. 분과 세션 종료 후에도 풍성한 경품 추첨이 예정돼 있어 참가자들에게 특별한 혜택이 마련돼 있다. ‘발전기술컨퍼런스 2024’는 전력산업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 혁신을 위한 비전을 공유한다. 최신 기술과 정책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의 미래 방향을 모색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다양한 주제 발표를 통해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논의함으로써 대한민국 전력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미래를 선도할 혁신적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사전 등록은 2024년 11월30일까지 공식 홈페이지(https://kptc.kiphrd.co.kr)에서 가능하며 참가비는 무료다.
-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메트로 전철 [출처=홈페이지]2024년 9월 중동 전력산업 주요동향은 발전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수도 및 전기공사인 에티하드WE(EtihadWE)에 따르면 AED 4억2200만 디르함(US$ 1억1490만 달러)를 투자해 새로운 시설 4곳을 개설했다.○ 아랍에미리트 수도 및 전기공사인 에티하드WE(EtihadWE)에 따르면 AED 4억2200만 디르함(US$ 1억1490만 달러)를 투자해 새로운 시설 4곳을 개설했다.북부 에미레이트의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목적으로 전기와 수도 인프라시설의 기능을 확충하고 서비스 지역을 확장했다.북부 지역의 지역 개발 및 인구 증가로 인한 시설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아랍에미리트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경제 다각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새로운 수도 및 전기시설들은 현장에 사람이 없어도 가동해 운영 유연성을 높였다. 정부의 전국 수자원 전략 2036(National Water Strategy 2036)의 연장선으로 수자원 보안과 지속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
▲ 싱가포르 국영 에너지기업 셈코프(Sembcorp)는 2024년에서 2028년까지 계획된 총 투자금의 5%를 통합 도시 솔루션 분야에 투자한다[출처=셈코프 홈페이지]2024년 8월 동남아시아 전력산업 주요동향은 싱가포르 국영 에너지 기업의 도시 계획 투자와 필리핀 평균 전기 도매 가격 저하를 포함한다.○ 싱가포르 국영 에너지기업 셈코프(Sembcorp)는 아시아 저탄소 공업단지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통합 도시 솔루션 부문에 약 S$ 7억 달러를 투자한다. 이는 2024년에서 2028년까지 계획된 총 투자금 중 5%에 해당된다.셈코프의 2024년 상반기 순이익은 5억4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다. 2024년 6개월 간 매출은 32억1000만 달러로 전년 36억6000만 달러와 비교해 12% 감소했다.당사는 도매 전기가격의 하락과 함께 가스 발전소에 대한 대규모 유지 비용에도 탄력적인 상반기 실적을 냈다고 밝혔다.셈코프는 2028년까지 토지를 1만4000헥타르에서 1만8000헥타르로 확보한다. 향후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서의 도시 사업 입지를 확대할 계획이다.○ 필리핀 독립 전기시장 운영자(Independent Electricity Market Operator of the Philippines, IEMOP)의 보고에 의하면 2024년 9월 평균 전기 도매 가격은 킬로와트시(kWh)당 5.97페소로 전월 6.15페소에 비해 낮아졌다.우기가 시작되며 비교적 시원해진 날씨에 전기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2024년 6월26일부터 7월25일까지의 전기 수요는 이전 1만4710메가와트(MW)에서 1만3989메가와트로 감소했다.IEMOP는 전력 생산자와 유통업체에서 추가적인 공급을 위해 전기를 거래하는 개방형 시장인 '도매 전기 현물시장(Wholesale Electricity Spot Market, WESM)'을 운영한다.
-
▲ 인도 아다니 파워(Adani Power)는 마하슈트라 주 나그푸르시에 위치한 부티보리(Butibori) 화력발전소를 인수한다[출처=아다니 파워 홈페이지]2024년 8월 서남아시아 전력산업 주요동향은 인도 아다니 파워의 화력발전소 인수 계획과 파키스탄 국내에 설치된 발전 용량 통계를 포함한다.○ 인도 아다니 파워(Adani Power)는 마하슈트라 주 나그푸르시에 위치한 600메가와트(MW) 부티보리(Butibori) 화력발전소를 인수하고자 한다.프로젝트의 원래 가치는 약 600억 루피였으나 생산이 중단되었기 때문에 거래금액은 Rs 240억 루피에서 300억 루피를 예상하고 있다.부티보리 시설은 릴라이언스 파워(Reliance Power)가 소유하고 있다. 비다브라 인더스트리 파워(Vidarbha Industries Power Ltd.) 산하의 CFM Asset Reconstruction와 협상하고 있다.○ 인도 아다니 파워(Adani Power)는 란코 아마르칸탁 전력(Lanco Amarkantak Power Ltd, LAPL)을 인수하고자 선불금 Rs 401억1000만 루피를 지불했다. 인수에 대해 NCLT 하이테라바드 지부의 승인을 받았다.LAPL은 차티스가르주 코르바에 위치한 총용량 600MW의 화력 발전소를 소유 및 운영하고 있다. 1단계 용량에서 생산한 에너지는 PTC(Power Trading Corporation Ltd)와의 구매 계약에 따라 하리아나주와 마디아 프라데시주에 공급하고 있다.승인 명령일로부터 60일 후인 2024년 10월20일 내로 아다니 파워가 인수했을 때 통합 발전 용량은 1만5850MW에 달한다.○ 파키스탄 국가전력규제국(NEPRA)에 따르면 국내에 설치된 발전 용량은 3만9772MW다. 이 중 5.4%만이 풍력·태양광·바이오매스 등 재생 에너지이다. 파키스탄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시스템 약 9.7기가와트(GW) 구축할 방침이다.펀잡 주정부는 7000개의 튜브의 관우물을 태양광 발전으로 전환하며 저소득층 가구에 태양광 패널을 배포하는 등의 움직임을 통해 기술의 영향력을 확장시키고 있다.
-
▲ 우간다 진자구(Jinja District) 진자(Jinja)에 위치한 부자갈리 수력발전소(Bujagali Hydro Power Plant)의 모습. [출처=부자갈리 에너지(BEL) 엑스(X) 계정] 2024년 8월 아프리카 전력산업 주요동향은 발전을 포함한다. 우간다 전력 발전회사인 부자갈리 에너지(BEL)에 따르면 프랑스 석유회사인 토탈(TotalEnergies)에게 수력발전소 지분 28.3%를 매각했다.○ 우간다 전력 발전회사인 부자갈리 에너지(BEL)에 따르면 프랑스 석유회사인 토탈(TotalEnergies)에게 수력발전소 지분 28.3%를 매각했다.토탈이 추진하는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 계획의 일환이다. 부자갈리 수력발전소(Bujagali Hydro Power Plant)는 진자구(Jinja District) 진자(Jinja)에 위치하며 발전용량은 250메가와트(MW)이다.정부는 토탈과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개발을 통해 국내 민간 부문의 전기세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 튀르키예 아쿠유 원자력발전소(NGS) 4호기의 건설 현장 모습. [출처=아쿠유 원자력(Akkuyu Nuclear Inc) 엑스(X) 계정]2024년 7월 중동 전력산업 주요동향은 튀르키예와 아랍에미리트의 전력 사업을 포함한다.튀르키예 아쿠유 원자력(Akkuyu Nuclear Inc)에 따르면 아쿠유 원자력발전소 프로젝트 내의 현지화 규모는 US$ 77억 달러로 전망되며 국내 연구기관 등에 연구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튀르키예 아쿠유 원자력(Akkuyu Nuclear Inc)은 아쿠유 원자력발전소 프로젝트 내 현지화 규모 US$ 77억 달러로 국내 연구기관 등에 기회를 제공했다고 밝혔다.러시아 국영원자력기업인 로사톰(Rosatom)이 2025년부터 첫 번째 원자로 건설을 시작할 계획이며 7년 이내에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아랍에미리트 에미리트 수전력청(EWEC)에 따르면 마디나트 자이드(Madinat Zayed) 독립발전사업자(IPP)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입찰 제안을 요청했다.새로운 오픈 사이클 가스 터빈(OCGT) 공장을 건설해 2027년 3분기부터 상업적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 프로젝트로 예비 발전량을 최대 1.5기가와트(GW)까지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마디나트 자이드는 알 다프라(Al Dhafra)의 가장 큰 도시이자 행정 중심지이다.
-
▲ 오스트레일리아 에너지기업 우드사이드 에너지그룹(Woodside Energy Group)의 현장 사진 [출처=홈페이지]○ 미국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ber)에 따르면 화석연료 발전량은 2021년 이후 전 분기보다 평균 37% 증가했다. 2024년 상반기까지 미국의 전력 생산시 탄소 배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한 7억9000만 미터톤(t)의 이산화탄소(CO2) 및 가스를 기록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에너지기업 우드사이드 에너지그룹(Woodside Energy Group)은 약 US$9억 달러에 미국 가스 기업 텔루리안(Tellurian)의 액화천연가스 개발 부문을 인수할 계획이다.텔루리안은 루이지애나주 레이크 찰스(Lake Charles, Louisiana) 근처에 계획된 드리프트우드(Driftwood) LNG 개발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번 거래는 주당 현금 1.00달러의 금액에 인수하기로 합의됐다. 2024년 4분기 안에 거래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멕시코 에너지부에 따르면 2024년 전력 수요가 3% 증가해 1시간당 345테라와트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5년 안에 수요가 1시간당 400테라와트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충족하려면 전력망에 최소 US$ 380억 달러의 투자가 필요하다. ▲ 김봉석 기자[출처=iNIS]
-
▲ 나이지리아 통계청 빌딩 [출처=위키피디아]2024년 7월 아프리카 전력산업 주요동향은 나이지리아와 남아공의 전력 발전 계획을 포함한다.나이지리아 주요에너지마케터협회(MEMAN)에 따르면 휘발유 대채재인 카사바, 옥수수, 사탕수수를 원료로 활용한 에탄올로 연료를 전환할 시 연간 US$ 74억 달러를 절감할 것으로 전망된다.○ 나이지리아 주요에너지마케터협회(MEMAN)는 휘발유 대채재인 카사바, 옥수수, 사탕수수를 원료로 활용한 에탄올 연료 전환시 연간 US$ 74억 달러 절감할 것으로 전망했다.바이오연료 원료로 부각되며 국내 카사바 가격이 50% 이상 급상승해 식품안보 및 산업안보 침해 우려○ 남아공 국제무역관리위원회(ITAC)는 국내 태양광 발전(PV) 제조업체 보호를 목적으로 태양광 패널 수입 관세 10%로 상향 계획이다.높은 현지 제조 비용과 값싼 수입 제품과의 경쟁으로 국내 PV 패널 제조업체는 2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
2024-08-04▲ 텔레콤 말레이시아(Telekom Malaysia Bhd)는 정부와 새로운 긴급 대응 시스템 "NG999(Next Generation Emergency Services 999)"을 구축한다.[출처=텔레콤 말레이시아 홈페이지]2024년 7월 동남아시아 전력산업 주요동향은 말레이시아 정부와 현지 통신사의 신규 긴급 대응 시스템 구축과 국영전력공사의 남부 지역 지하 케이블 매설 공사를 포함한다.○ 텔레콤 말레이시아(Telekom Malaysia Bhd)는 정부와 기존 MERS999를 대체할 새로운 긴급 대응 시스템 "NG999(Next Generation Emergency Services 999)"을 구축한다. 총 12억5000만 링깃 규모로 2036년 완료한다.○ 말레이시아 자티 팅기 그룹(Jati Tinggi Group)은 말레이 반도 남부 지역에서 2005만 링깃 규모의 33kV 지하 케이블 매설 공사를 수주한다.워크타임 엔지니어링(Worktime Engineering Sdn Bhd)이 발주했으며 계약기간은 2년이다. 2024년 7월25일부터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다.○ 말레이시아 케이블 및 전선 제조업체 남부케이블그룹(Southern Cable Group, SOUT)은 국영전력공사(Tenaga Nasional Bhd)와 협력해 9960만 링깃 가치의 지하 케이블 및 도체를 공급한다.자사의 기술을 활용해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재생 에너지를 통합하는 등 현대화를 추진한다. 2024년 SOUT의 주문 규모는 10억 링깃을 넘어섰다.○ 프랑스 종합전기 제작회사 탈레스그룹(Thales Group)은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결속을 증진하겠다고 밝혔다. 탈레스 그룹은 1994년부터 베트남에서 방위 및 보안기술 사업에 기여한 바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