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19
" NC"으로 검색하여,
1,18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1959년 설립된 제일약품은 인류의 행복과 건강한 삶을 추구하며 우수한 의약품을 개발해 제약산업과 사회에 기여한다는 사명감을 가졌다고 밝혔다. 정도경영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혁신적인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방침이다.2017년 제일약품그룹은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통해 경영승계를 진행했다. 2017년 지주사업인 제일파마홀딩스를 설립했으며 2016년 일반 의약품 사업 부문인 제일 헬스사이언스와 의약품 유통인 제일앤파트너스로 나뉘었다. 분야별 전문성 강화와 사업별 집중화를 목적으로 한다.제일약품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제일약품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제일약품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경영 방침 및 목표 수립하지 않아 추진 의지 미약... 2024년 부채총계 3063억 원으로 부채율 139.69%경영 비전은 ‘혁신적 헬스케어 솔루션(HEALTH CARE SOLUTION)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성장’이라고 밝혔다. 중장기 경영 목표는 △미래를 선도할 성장동력 확보 △창조적이고 진취적인 기업문화 구축 △전문적이고 도전적인 구성원 역량 개발로 정했다.경영 미션은 ‘우수한 헬스케어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실현합니다.’로 설정했다. 핵심 가치는 ‘Build-up Trust’로 △업 △업무/조직 △태도 △사회 △역량 △관계 등 5가지로 수립했다.조직문화는 “Better Way, Jeil Way”로
-
1999년 설립된 산업진흥 전문기관인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은 국내 보건산업 육성과 국제 경쟁력 제고를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설립 목적은 ‘보건산업의 육성 발전과 보건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지원사업을 전문적·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건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보건 향상에 이바지함’으라고 밝혔다. 중장기 경영 미션은 ‘보건산업 육성과 글로벌 경쟁력 제고로 국민 삶의 질을 향상한다’로 비전은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과 국민건강 증진을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로 정했다. 중장기 경영방침은 △자율경영 △혁신경영 △열린경영 △신뢰경영으로 설정했다. 경영방침에 따른 전략 목표는 △바이오헬스 혁신성장 인프라 강화 △바이오헬스 연구성과 창출 △바이오헬스 수출경쟁력 제고 △지속가능 혁신경영 체계 구축으로 수립했다. KHIDI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KHIDI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2022년 ESG 경영 1차 평가... 종합청렴도 4등급까지 곤두박질에도 개선 노력과 의지 불명확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ESG 전략 및 계획을 수립할 ESG실무추진단, ESG 성과지표 점검을 담당할 ESG사무국, ESG 추진·심의·자문기구인 ESG위원회를 조직했다.법무감사팀이 윤리경영·청렴도·부패방지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나 윤리헌장·윤리강령·행동규범은 마련하지 않았다. ESG 경영은 고사하고 기초적인 윤리경영 기반조차 없는 셈이다.2021년 국회
-
2025-09-03▲ 현대자동차가 전용 EV 브랜드 ‘아이오닉’의 첫 소형 콘셉트카 공개 예고 [출처=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5년 9월2일(화) 소형 전기자동차(EV) 콘셉트카 ‘Concept THREE(이하 콘셉트 쓰리)’의 티저 이미지를 공개했다.티저 이미지는 현대차가 소형 EV를 새롭게 해석해 디자인한 ‘에어로 해치(Aero Hatch)’ 형상의 측면부로 콘셉트 쓰리의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을 엿볼 수 있다.콘셉트 쓰리는 현대차의 신규 외장 디자인 언어 ‘아트 오브 스틸(Art of Steel)’이 반영돼 대담하면서도 역동적인 자세를 갖췄다. 강철 소재 특유의 강인함·유연함을 담아낸 차체 표면과 정밀하게 그려진 캐릭터 라인이 돋보인다.현대차는 2025년 9월9일(화)부터 14일(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규모의 모빌리티쇼 ‘IAA 모빌리티 2025’에 4년 만에 참가해 콘셉트 쓰리를 세계 최초로 공개할 예정이다.9월9일(화) 전 세계 미디어를 대상으로 콘셉트 쓰리를 소개하고 이어지는 IAA 모빌리티 2025 기간 동안 ‘오픈 스페이스’에서 방문객들에게 콘셉트 쓰리의 세부 디자인을 알릴 계획이다.현대디자인센터장 사이먼 로스비(Simon Loasby) 전무는 “콘셉트 쓰리는 현대차가 소형 EV의 디자인을 재정의 할 수 있는 기회다. 에어로 해치라는 새로운 유형을 통해 흐름이 느껴지는 외관과 균형 잡힌 조형을 완성했다”고 말했다.또한 콘셉트 쓰리의 외장 디자인을 담당한 현대유럽디자인센터 마누엘 슈틀(Manuel Schoettle) 디자이너는 “강철 소재의 감성을 자연스럽게 녹여낸 콘셉트 쓰리의 순수한 디자인이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 현대자동차그룹, 신재원 사장 고문 위촉 [출처=현대자동차 홈페이지]현대자동차그룹(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5년 8월28일(목) 현대차·기아 첨단항공모빌리티(Advanced Air Mobility, AAM) 본부장 및 슈퍼널(Supernal) 최고경영자(CEO, Chief Executive Officer) 신재원 사장(66세)을 고문에 위촉했다.신재원 사장이 미래 항공 교통 분야 기술개발 기반 구축을 완료했으며 이제 이를 넘어 사업화를 위한 새로운 단계의 리더십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해 이번 인사를 단행했다.현대차그룹은 1단계로 기체의 동력 시스템 및 구조 해석, 공력 및 소음, 제어 로직 등 기체의 기본 성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해 왔다.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현대차그룹은 앞으로 사업개발과 운영 등에 강점이 있는 새로운 리더십과 함께 본격적으로 사업화를 준비하는 2단계를 열어간다는 전략이다.신재원 사장은 2019년 현대차그룹에 합류해 AAM 사업을 이끌었다. 2021년부터 현대차그룹이 미국에 설립한 미래 항공 모빌리티 자회사 슈퍼널의 최고경영자를 겸임해 오고 있다.새로운 리더십 선임 전까지 슈퍼널은 현재 사업개발 담당인 데이비드 로트블래트(David Rottblatt)를 임시 최고운영책임자(COO, Chief Operating Officer)로 선임해 운영할 계획이다.신재원 사장은 이날 슈퍼널 직원들에게 보낸 사내 메일을 통해 '현대차그룹의 AAM 사업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으며 이를 더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1970년 국립가족계획연구소로 개소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KIHASA)은 인문-사회분야 국책연구기관이다. 국민의 건강과 복지 증진을 위해 인구·사회·경제 상황을 조사하고 연구·분석해 국민의 건강과 복지를 증진하는 것을 설립 목적으로 한다. 사회정책 및 사회보장제도를 수립·지원함으로써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로 발전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주요 기능은 △보건의료·국민연금·의료보험·사회복지·인구 및 사회문제에 관한 제도 평가 및 정책개발 △보건의료·사회복지 분야의 정책수립 및 개발을 위한 국가 기초통계자료의 생산 △보건의료·사회복지 분야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등이다. KIHASA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KIHASA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ESG 경영 선언문이나 경영헌장, ESG추진위원회 등 ESG 경영과 관련된 어떤 대외활동도 전개하지 않았다. 인권헌장은 제정했지만 윤리경영과 관련된 윤리헌장·윤리강령·행동규범·임직원 실천강령 등은 마련하지 않았다. 2021년 주무부처인 국무조정실 종합감사에서 지적을 받은 사항은 11건에 달했다. 세부 내역을 살펴보면 △재택근무 운영 부적정 △위탁연구용역 결과물 관리 부적정 △위탁연구용역 계약 준공금 대가지급 지연 △위탁연구용역 검사 지연 등으로 나타났다. 2021년 3월31일 기준 5년간 징계 건수는 △2017년 1건 △2019년 1건 △2020년 4건 등 6건으로 집계됐다. 징계 사유는 △연구윤리
-
HK이노엔은 1984년 CJ제일제당 제약사업부로 설립해 2014년 CJ헬스케어로 출범했다. 2018년 콜마홀딩스는 CJ제일제당의 자회사였던 CJ헬스케어를 인수했다. 2020년 사명을 HK이노엔으로 변경했다.전문의약품과 헬스·뷰티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숙취 해소제인 ‘컨디션’과 국산 30호 신약인 케이캡을 개발했다.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인 케이캡은 2025년 상반기 원외처방액 1047억 원을 기록했다. 2024년 상반기 대비 14% 증가했으며 상반기 기준 최초로 1000억 원을 돌파했다.경영 미션은 ‘Heal the World for a Better Life 고객의 더 나은 삶을 위해 건강한 세상을 만든다’로 밝혔다. 비전은 ‘Global Top Tier Biohealth Company 바이오헬스 산업의 위대한 리더로서 세상을 향해 나아간다’로 정했다.HK이노엔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HK이노엔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HK이노엔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경영 전략 방향 및 중점 영역 수립... 2024년 부채총계 6381억 원으로 부채율 51.00%ESG 경영 추진을 위한 전략 방향성은 4C(△Climate Action 환경을 고려한 비즈니스 운영 △Collective Growth 구성원의 성장을 고려한 성장 △Community Impact 지역사회를 위한 임팩트 창출 △Compliance Management 컴플라이언스 기반 리스크 관리
-
▲ 엔씨(NC), 게임스컴 ONL에서 신작 ‘신더시티’, ‘타임 테이커즈’ 신규 영상 공개 [출처=엔씨소프트]㈜엔씨소프트(공동대표 김택진, 박병무, 이하 엔씨(NC))에 따르면 독일 쾰른에서 열린 게임스컴 전야 행사 ‘ONL(Opening Night Live, 오프닝 나이트 라이브)’에서 신작 ‘신더시티’와 ‘타임 테이커즈’ 신규 영상을 공개했다.‘신더시티(CINDER CITY)’는 엔씨(NC)의 개발 스튜디오 ㈜빅파이어 게임즈(대표 배재현)가 개발 중인 ‘MMO 택티컬 슈터(Tactical Shooter)’ 장르 신작이다.세부 특징은 △언리얼 엔진5로 구현한 역동적인 그래픽과 심리스(Seamless) 오픈월드 △23세기 미래 기술과 21세기 현재가 공존하는 SF 대체 역사 세계관 등이다. 2026년 론칭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신더시티’는 ONL을 통해 △다채로운 전투 슈트(Suit)와 개성 있는 캐릭터 △파워 로더, 헬리콥터, 자동차 등 다양한 탑승물을 활용한 역동적인 이동 △초대형 레이드 보스를 공략하는 멀티 플레이 전투 △논현동, 청담동, 삼성동 등 실제 장소가 그대로 구현된 전장 등 인게임 플레이 장면을 공개했다.파괴된 서울에서 수십명의 캐릭터가 다양한 택티컬 기어를 활용해 전투를 벌이는 장면에서 신더시티가 추구하는 액션성을 엿볼 수 있다. 해당 영상은 신더시티 브랜드 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타임 테이커즈(TIME TAKERS)’는 국내 게임 개발사 미스틸게임즈(공동대표 서용수, 조용민)가 개발 중인 ‘3인칭 팀 서바이벌 히어로 슈터’ 장르 신작이다.△’타임 에너지’를 자원으로 활용하는 독특한 룰 △각기 다른 서사와 고유 스킬을 가진 다양한 캐릭터 △무기, 아이템의 조합을 통한 다채로운 플레이 스타일 등이 특징이다. 엔씨(NC)가 글로벌 퍼블리싱을 맡아
-
2025-08-202025년 8월20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통신회사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종료된이후 출근을 독려하며 사무 공간 부족을 경험하고 있다.캐나다 정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장 큰 변혁으로 인공지능(AI)를 꼽고 있다. 스타트업과 행정서비스에 AI를 적용할 방안을 찾가 국가경쟁력을 제고할 방침이다.브라질은 미국으로 쇠고기 수출이 감소하지만 대체 수출국가를 찾은 덕분에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축산농가는 시장 가격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정부로부터 보호를 받는다.▲ 캐나다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코히어(Cohere Inc.)의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 미국 AT&T,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수천명의 직원을 해고할 계획미국 이동통신회사인 AT&T에 따르면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수천명의 직원을 해고할 계획이다. 2025년 1월 이후 직원의 숫자에 비해 근무할 책상이 부족한 실정이다.일부 직원은 사무실의 책상을 차지하기 위해 오전 6시에 출근하기도 한다. 책상만 부족한 것이 아니라 주차장도 과밀한 상태이고 엘리베이터도 오래 기다려야 한다.일부 직원은 근무 환경 악화를 이유로 퇴사하는 실정이다. 2024년 2월22일 수백만 명의 가입자가 12시간 동안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 상황이 재현될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캐나다 연방정부, 2025년 8월19일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코히어(Cohere Inc.)와 양해각서(MOU) 체결캐나다 연방정부는 2025년 8월19일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코히어(Cohere Inc.)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공공 분야에 AI의 사용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이다.AI의 활용과 탐색을 통해 상업적인 역량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새로운 시대에 캐나다가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공공 분야가 효율적이며 효과적일 뿐 아니라 생산적인 공공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믿는다.정부는 AI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큰 변혁이라고 생
-
1905년 설립된 대한적십자사는 △재난구호 △공공의료 △남북교류 △혈액 등의 사업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인도주의 기관이다. 1905년 11월 을사조약 이후 일본에 의해 폐사된 후 1919년 상해 임시정부 하에 대한적십자회로 운영했다. 2025년 창립 120주년을 기념해 더욱 의미 있는 활동으로 전개해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인도주의 기관으로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국내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맞춤형 지원의 정교화, 구호활동, 재난 예방 교육과 훈련을 확대할 방침이다. 국제적으로는 긴급구호와 지속가능한 지원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할 계획이다.대한적십자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대한적십자사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2022년 ESG 경영 1차 평가... 복지부동·무사안일 등 관료주의 폐습으로 사회공헌 집행은 5년간 ‘뒷걸음질’2021년 8월 적십자사는 ㈜삼녹과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한 ESG 실천기업 협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홈페이지에 ESG와 관련된 자료를 전혀 없다.ESG 경영 선언문이나 ESG 경영헌장, ESG 경영추진단, ESG 경영소위원회 등 ESG 경영을 위한 추진 체계를 마련하지 않았다.종합청렴도 평가결과는 △2017년 3등급 △2018년 3등급 △2019년 5등급 △2020년 4등급 △2021년 2등급으로 2019년 이후 개선됐다. 자체 감사부서는 정원 11명에 현원 11명으로 구성됐다.감사원 지적사항은 △2017년 3건 △2018년 2건 △2021년 6건 등 총 11건이다.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 지적사항은 △2016년 18건 △20
-
2025-08-13▲ 현대자동차 정몽구 재단, 제 38회 한미과학기술학술대회(이하 UKC 2025)에서 한미 양국 과학기술인들을 대상으로 포럼 개최 [출처=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그룹(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5년 8월7일(목, 현지시간) 정몽구 재단(이사장 정무성)이 미국 애틀란타에서 개최된 제 38회 한미과학기술학술대회(이하 UKC 2025)에서 한미 양국 과학기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포럼을 개최했다.‘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을 주제로 한국과 미국의 기업 및 비영리 기관들이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소개했다.8월5일(화)부터 9일(토)까지(현지시간) 미국 애틀란타 ‘옴니 애틀란타 호텔 앳 센테니얼 파크’에서 진행되는 UKC 2025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와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재미과협), 한미과학협력센터 주최로 개최됐다.1974년 첫 연례 학술대회를 시작으로 UKC는 매년 2000여 명의 한미 양국 석학, 차세대 연구자, 기업가, 정책 입안자 등이 참가해 기술 혁신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도모한다.복잡해지는 글로벌 과제들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영리와 비영리의 영역 구분을 뛰어넘어 이해관계자들이 어떻게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는지 지식 교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현 시점에서 재단은 한국과 미국의 지속가능한 글로벌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논의하기 위해 포럼을 개최했다.이번 포럼은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을 대주제로 △정진택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사장 △최재호 현대차 정몽구 재단 사무총장 △Carie Davis Third Derivative 총괄 △Steven Jahng 현대자동차그룹 애틀란타 사무소 소장 등 4명이 참여했다. (좌장: 정진택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이사장)최재호 현대차 정몽구 재단 사무총장의 사회로 시작된 본 포럼에서 좌장인 정진택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