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안내]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장, '국가정보기관의 이해-활동영역과 개혁과제' 신간 출간
35년 이상 정보 업무에 종사하며 다양한 이론 정립... 280여 권 이상 출간하며 정보전문가로 자리매김
2024년 12·3 비상계엄으로 전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2025년 6월4일 새로운 이재명정부(국민주권정부)가 탄생했다. 새롭게 출범한 이재명 정부는 8·15 광복 80주년에서 국민임명식을 거행하고 9월 123대 국정과제를 제시했다.
이재명정부는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을 국가비전으로 선포하고 '경청과 통합, 공정과 신뢰, 실용과 성과'를 국정 원칙으로 삼았다.
또한 △국민이 하나되는 정치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의 외교 안보 등을 국정목표로 23개 추진전략 및 123대 국정과제를 제시했다.
이재명정부는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을 국가비전으로 선포하고 '경청과 통합, 공정과 신뢰, 실용과 성과'를 국정 원칙으로 삼았다.
또한 △국민이 하나되는 정치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의 외교 안보 등을 국정목표로 23개 추진전략 및 123대 국정과제를 제시했다.
이재명 정부는 통합을 위한 정치, 성장의 시대, 균형성장 국가, 각자의 가능성 실현, 글로벌 리더 도약 등을 실천을 통해 행복한 대한민국을 건설을 역사적 소명으로 삼고 있다.
이에 국가정보전략연구소 민진규 소장은 지난 30여 년을 정보 현장 및 교육 현장에서 경험한 지식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가정보기관의 이해'라는 책을 집필했다.
국가정보기관이 주축이 되어 행복한 대한민국을 건설하기 위한 목적이며 국가안보실, 국정원, 방첩사, 정보사, 사이버작전사, 경찰청, 해양경찰청, 관세청, 통일부, 외교부 등의 활동영역과 개혁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출간된 책은 민진규 소장이 각종 언론에 국가정보기관의 활동 영역인 정보활동, 방첩활동, 비밀공작활동 등에 관해 기고한 칼럼을 바탕으로 정리 및 편집한 내용을 엮었다.
국가정보기관의 활동영역 뿐 아니라 12·3 비상계엄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정보기관의 개혁과제에 대한 충실한 제언이 담겼다.
저자인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장은 국방부 정보부대 정보분석관, 예비역 공군대위 출신으로 20년 이상 국가정보원, 대통령경호처, 군 정보기관 등에 입사하려는 신입 및 경력직을 지도했다.
2006년 비지니스 정보전략(예나루, 2006)을 시작으로 국가정보학, 산업보안학, 정보사회학, 드론학, 경영학, 정치학, 경제학, 내부고발, 윤리경영,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경영, 경호, 방호, 재난, 환경 등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며 명실상부한 연구자로서 길을 걷고 있다.
2024년부터 엠아이앤뉴스 출판부에서 내부고발-배신자 vs 구세주(엠아이앤뉴스, 2025), 윤리경영으로 100년 기업이 되자(엠아이앤뉴스, 2025), 산업스파이 방어전략 36(엠아이앤뉴스, 2025), 21세기 기업 정보전쟁(엠아이앤뉴스, 2025), 국정원 면접 합격가이드북 8종(엠아이앤뉴스, 2025), 대통령경호처 면접 합격가이드북 19종(엠아이앤뉴스, 2025) 등을 출했다.
민진규 소장은 총 280여 권 이상의 책을 집필한 저자로 정부기관, 기업, 대학 등에서 다양한 주제로 강연도 이어가고 있다. 다수 언론에 수 천 편의 칼럼을 기고하고 국가정책, 기업경영 전략 등에 대한 컨설팅 전문가로도 활동 중이다.
다음은 '국가정보기관의 이해 - 활동영역과 개혁과제' 책의 서문과 목차를 소개한다.
□ 신간 소개
○ 국가정보기관의 이해 - 활동영역과 개혁과제
□ 서지 정보
○ 저자 : 민진규
○ 판매가격 : 9,900원
○ 출간일 : 2025년 10월15일
○ 판매 : 교보문고 , YES24 , 알라딘
□ 머리말
초판을 내면서...
2025년 10월 초부터 캄보디아에서 사망한 대학생의 사건으로 온 나라가 시끄럽다. 대통령까지 나서며 국가안보실장이 현지에 도착해 캄보디아 감옥에 수감된 피의자와 구금된 피해자 등을 국내로 이송하는 작업을 지휘했다.
국내 보이스피싱 범죄는 2000년대부터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지만 역대 어느 정부도 체계적인 대응을 내놓지 않았다. 매년 5000~8000억 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하고 다수의 피해자가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지만 정부는 해결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
필자는 2000년대 초부터 국제 범죄조직의 보이스피싱을 근절시키려면 국가정보원이 적극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제범죄조직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있을 뿐 아니라 방첩활동과 비밀공작활동을 수행할 조직과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윤석열정부는 2023년 보이스피싱, 온라인 도박, 외국인 범죄 등을 전담하던 경찰청 외사국을 폐지했다. 소수의 인원으로 국제공조 업무를 담당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정치권에서 외사국을 복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국제범죄조직에 의한 피해가 보이스피싱 만은 아니며 마약, 산업스파이, 위조상품, 영업비밀 침해 등으로 다양하지만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대책은 없는 실정이다.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발동에 국가정보원, 방첩사, 정보사, 사이버작전사, 경찰청, 해양경찰청 등 다수 정보기관이 연루됐다.
국가안보와 국가이익을 보호해야 할 정보기관이 불법행위에 적극 가담할 수 있었던 것은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미비, 민주적 통제 부족, 기득권의 저항과 면죄부 발부 등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이 책은 필자가 2006년부터 각종 언론에 기고한 칼럼을 국가정보기관의 활동 영역인 정보활동, 방첩활동, 비밀공작활동 등으로 구분해 정리한 결과물이다. 따라서 독자들에게 몇 가지 주의사항을 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칼럼의 내용은 20년이 흘러 시의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다룬 주제와 제시한 대안은 현재에도 되새길 필요가 있어 포함시켰으므로 이해해주길 바란다. 당시에는 현안 이슈에 속했지만 이제는 역사로 전환됐을 뿐이다.
둘째, 개혁 과제는 저자의 오랜 현장 경험과 연구 활동을 통해 도출했지만 국가 정책으로 100% 수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닐 수 있다는 점도 받아들였으면 좋겠다.
일부 기관은 자체적으로 시도하고 있는 개혁 과제가 포함돼 있다고 항변할 수도 있다. 그래도 다시 정리해 제시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은 다르다’는 말처럼 겉치레 시늉만으로 개혁이 성공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엄중한 처벌이 일상화됐던 군사독재 시절에도 성공하지 못한 것이 정보기관의 개혁이다. 기관장이 구성원 모두 진심으로 개혁을 원한다면 각오를 다시 다져라.
셋째, 정보기관의 개혁은 본연의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조직 구성원의 행복한 삶을 지원하려는 것이므로 독자 스스로 자기계발의 노하우로 삼기에 충분하다는 점도 강조한다.
우리는 흔히 ‘사람 사는 곳은 다 똑같다’는 말을 한다. 정보기관이나 일반 공무원 조직, 대기업, 중소벤처기업, 자영업 모두 비슷한 개혁 과제를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변하지 않으면 장기간 생존하기 어렵다는 점은 변하지 않는 진리다.
국가정보학자로서 12·3 비상계엄령으로 초래된 국가 혼란이 잘 정돈되고 하루빨리 국민 모두가 평온한 일상의 삶으로 돌아가길 간절히 바란다. 감사합니다.
2025.10.15.
민진규
□ 목차
Chapter 1. 현안 이슈(Current Issues)
1. 국가안보실의 국가안보 인식 변화 필요성 …9
2. 국정원의 정치적 중립 확보와 우수 인재 확보 …13
3. 방첩사가 환골탈태해야 하는 이유 …17
4. 정보사의 임무 조정과 역량 강화 방안 …21
5. 사이버작전사의 중요성과 주요 임무 …26
6. 경찰청의 인식 전환과 혁신 과제 …31
7. 국경보안 강화에 집중하는 해양경찰청 …35
8.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는 관세청 개혁 …40
9. 통일부의 역량 강화와 평화통일 기반 구축 …45
10. 외교부의 인식 전환과 빅데이터 구축 전략 …50
Chapter 2. 정보활동(Intelligence Process)
11. 북한 미사일 발사 징후로 본 미국의 MD …58
12. 북한 미사일 발사로 본 한미일 정보력 …61
13. 북한 미사일 발사로 본 한국 정보력 증강 …64
14. 미국 첩보원 10만 명 전 세계에서 활동 …67
15. 일본의 우경화와 국가정보전략 …69
16. 드라마 선덕여왕으로 본 국가정보 교훈 …72
17. 국정원의 해외 경제정보 공개 …76
18. 해외 진출 기업을 위한 정부의 위기관리 …78
19. 정부의 소고기 협상 전략 실패의 교훈 …81
20. 강대국의 정보전략과 한국의 국가정보전략 …84
Chapter 3. 방첩활동(Counterintelligence)
21. 미국 국가보훈부 직원의 정보 유출 …89
22. 미국 FBI의 허술한 스파이 관리 …91
23. 미국 반독점법 개정안의 감청 허용과 영향 …93
24. 백악관의 엉망인 보안 관리 …95
25. 2차 대전 시 독일군 암호 활용과 해독 …98
26. 영국 MI5에 스파이 침투 기도와 인재 확보 …101
27. 캐나다 테러 용의자 체포와 국제테러 위협 …104
28. 세계 각국 정보기관의 경제정보활동 …107
29. 산업스파이 잡는 국정원에 대한 바람 …111
30. 방첩활동도 국민의 인권보호를 염두에 둬야 …113
Chapter 4. 비밀공작활동(Covert Action)
31. 미국 정보기관의 암살공작 금지 논란 …118
32. 중국도 성적 유혹 이용해 첩보활동 …121
33. 일본의 대북 금수조치 품목과 실효성 …123
34. 해커 학위과정을 개설한 영국과 우려 …126
35. 아프가니스탄 인질 사건의 문제점 …128
36. 아프가니스탄 인질 사태의 대응 논란 …131
37. 아덴만 작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134
38. 이상적인 비밀공작원이란 …137
39. 흑색정보관, ‘흑금성’ 논란 …139
40. 국정원이 비밀공작 능력을 갖추기 위한 조건 …141
Chapter 5. 기타 이슈(Other Issues)
41. 미국 CIA 국장 경질과 위상실추를 보면서 …146
42. 미국의 군수산업 전략과 윤리적 기준 …149
43. 일본 지도층의 의도적 망언과 우려 …152
44. 일본과 미국의 정보협력 강화를 보면서 …155
45. 중국에 대해 똑바로 아는 역사 인식 …158
46. 한미 FTA 협상과 국익 보호를 위한 방안 …161
47. 이스라엘과 비교를 통해 본 국가 외교전략 …164
48. ‘평화의 바다’ 논란으로 본 국가정보전략 …168
49. 미국 CIA와 같은 국정원이 되라고 하는데 …170
50. 지도자의 장기적 국가정보전략 수립 필요성 …173
▲ 국가정보기관의 이해 - 활동영역과 개혁과제 책 표지 [출처=iNIS]
이에 국가정보전략연구소 민진규 소장은 지난 30여 년을 정보 현장 및 교육 현장에서 경험한 지식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가정보기관의 이해'라는 책을 집필했다.
국가정보기관이 주축이 되어 행복한 대한민국을 건설하기 위한 목적이며 국가안보실, 국정원, 방첩사, 정보사, 사이버작전사, 경찰청, 해양경찰청, 관세청, 통일부, 외교부 등의 활동영역과 개혁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출간된 책은 민진규 소장이 각종 언론에 국가정보기관의 활동 영역인 정보활동, 방첩활동, 비밀공작활동 등에 관해 기고한 칼럼을 바탕으로 정리 및 편집한 내용을 엮었다.
국가정보기관의 활동영역 뿐 아니라 12·3 비상계엄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정보기관의 개혁과제에 대한 충실한 제언이 담겼다.
저자인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장은 국방부 정보부대 정보분석관, 예비역 공군대위 출신으로 20년 이상 국가정보원, 대통령경호처, 군 정보기관 등에 입사하려는 신입 및 경력직을 지도했다.
2006년 비지니스 정보전략(예나루, 2006)을 시작으로 국가정보학, 산업보안학, 정보사회학, 드론학, 경영학, 정치학, 경제학, 내부고발, 윤리경영,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경영, 경호, 방호, 재난, 환경 등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며 명실상부한 연구자로서 길을 걷고 있다.
2024년부터 엠아이앤뉴스 출판부에서 내부고발-배신자 vs 구세주(엠아이앤뉴스, 2025), 윤리경영으로 100년 기업이 되자(엠아이앤뉴스, 2025), 산업스파이 방어전략 36(엠아이앤뉴스, 2025), 21세기 기업 정보전쟁(엠아이앤뉴스, 2025), 국정원 면접 합격가이드북 8종(엠아이앤뉴스, 2025), 대통령경호처 면접 합격가이드북 19종(엠아이앤뉴스, 2025) 등을 출했다.
민진규 소장은 총 280여 권 이상의 책을 집필한 저자로 정부기관, 기업, 대학 등에서 다양한 주제로 강연도 이어가고 있다. 다수 언론에 수 천 편의 칼럼을 기고하고 국가정책, 기업경영 전략 등에 대한 컨설팅 전문가로도 활동 중이다.
다음은 '국가정보기관의 이해 - 활동영역과 개혁과제' 책의 서문과 목차를 소개한다.
□ 신간 소개
○ 국가정보기관의 이해 - 활동영역과 개혁과제
□ 서지 정보
○ 저자 : 민진규
○ 판매가격 : 9,900원
○ 출간일 : 2025년 10월15일
○ 판매 : 교보문고 , YES24 , 알라딘
□ 머리말
초판을 내면서...
2025년 10월 초부터 캄보디아에서 사망한 대학생의 사건으로 온 나라가 시끄럽다. 대통령까지 나서며 국가안보실장이 현지에 도착해 캄보디아 감옥에 수감된 피의자와 구금된 피해자 등을 국내로 이송하는 작업을 지휘했다.
국내 보이스피싱 범죄는 2000년대부터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지만 역대 어느 정부도 체계적인 대응을 내놓지 않았다. 매년 5000~8000억 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하고 다수의 피해자가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지만 정부는 해결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
필자는 2000년대 초부터 국제 범죄조직의 보이스피싱을 근절시키려면 국가정보원이 적극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제범죄조직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있을 뿐 아니라 방첩활동과 비밀공작활동을 수행할 조직과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윤석열정부는 2023년 보이스피싱, 온라인 도박, 외국인 범죄 등을 전담하던 경찰청 외사국을 폐지했다. 소수의 인원으로 국제공조 업무를 담당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정치권에서 외사국을 복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국제범죄조직에 의한 피해가 보이스피싱 만은 아니며 마약, 산업스파이, 위조상품, 영업비밀 침해 등으로 다양하지만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대책은 없는 실정이다.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발동에 국가정보원, 방첩사, 정보사, 사이버작전사, 경찰청, 해양경찰청 등 다수 정보기관이 연루됐다.
국가안보와 국가이익을 보호해야 할 정보기관이 불법행위에 적극 가담할 수 있었던 것은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미비, 민주적 통제 부족, 기득권의 저항과 면죄부 발부 등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이 책은 필자가 2006년부터 각종 언론에 기고한 칼럼을 국가정보기관의 활동 영역인 정보활동, 방첩활동, 비밀공작활동 등으로 구분해 정리한 결과물이다. 따라서 독자들에게 몇 가지 주의사항을 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칼럼의 내용은 20년이 흘러 시의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다룬 주제와 제시한 대안은 현재에도 되새길 필요가 있어 포함시켰으므로 이해해주길 바란다. 당시에는 현안 이슈에 속했지만 이제는 역사로 전환됐을 뿐이다.
둘째, 개혁 과제는 저자의 오랜 현장 경험과 연구 활동을 통해 도출했지만 국가 정책으로 100% 수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닐 수 있다는 점도 받아들였으면 좋겠다.
일부 기관은 자체적으로 시도하고 있는 개혁 과제가 포함돼 있다고 항변할 수도 있다. 그래도 다시 정리해 제시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은 다르다’는 말처럼 겉치레 시늉만으로 개혁이 성공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엄중한 처벌이 일상화됐던 군사독재 시절에도 성공하지 못한 것이 정보기관의 개혁이다. 기관장이 구성원 모두 진심으로 개혁을 원한다면 각오를 다시 다져라.
셋째, 정보기관의 개혁은 본연의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조직 구성원의 행복한 삶을 지원하려는 것이므로 독자 스스로 자기계발의 노하우로 삼기에 충분하다는 점도 강조한다.
우리는 흔히 ‘사람 사는 곳은 다 똑같다’는 말을 한다. 정보기관이나 일반 공무원 조직, 대기업, 중소벤처기업, 자영업 모두 비슷한 개혁 과제를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변하지 않으면 장기간 생존하기 어렵다는 점은 변하지 않는 진리다.
국가정보학자로서 12·3 비상계엄령으로 초래된 국가 혼란이 잘 정돈되고 하루빨리 국민 모두가 평온한 일상의 삶으로 돌아가길 간절히 바란다. 감사합니다.
2025.10.15.
민진규
□ 목차
Chapter 1. 현안 이슈(Current Issues)
1. 국가안보실의 국가안보 인식 변화 필요성 …9
2. 국정원의 정치적 중립 확보와 우수 인재 확보 …13
3. 방첩사가 환골탈태해야 하는 이유 …17
4. 정보사의 임무 조정과 역량 강화 방안 …21
5. 사이버작전사의 중요성과 주요 임무 …26
6. 경찰청의 인식 전환과 혁신 과제 …31
7. 국경보안 강화에 집중하는 해양경찰청 …35
8.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는 관세청 개혁 …40
9. 통일부의 역량 강화와 평화통일 기반 구축 …45
10. 외교부의 인식 전환과 빅데이터 구축 전략 …50
Chapter 2. 정보활동(Intelligence Process)
11. 북한 미사일 발사 징후로 본 미국의 MD …58
12. 북한 미사일 발사로 본 한미일 정보력 …61
13. 북한 미사일 발사로 본 한국 정보력 증강 …64
14. 미국 첩보원 10만 명 전 세계에서 활동 …67
15. 일본의 우경화와 국가정보전략 …69
16. 드라마 선덕여왕으로 본 국가정보 교훈 …72
17. 국정원의 해외 경제정보 공개 …76
18. 해외 진출 기업을 위한 정부의 위기관리 …78
19. 정부의 소고기 협상 전략 실패의 교훈 …81
20. 강대국의 정보전략과 한국의 국가정보전략 …84
Chapter 3. 방첩활동(Counterintelligence)
21. 미국 국가보훈부 직원의 정보 유출 …89
22. 미국 FBI의 허술한 스파이 관리 …91
23. 미국 반독점법 개정안의 감청 허용과 영향 …93
24. 백악관의 엉망인 보안 관리 …95
25. 2차 대전 시 독일군 암호 활용과 해독 …98
26. 영국 MI5에 스파이 침투 기도와 인재 확보 …101
27. 캐나다 테러 용의자 체포와 국제테러 위협 …104
28. 세계 각국 정보기관의 경제정보활동 …107
29. 산업스파이 잡는 국정원에 대한 바람 …111
30. 방첩활동도 국민의 인권보호를 염두에 둬야 …113
Chapter 4. 비밀공작활동(Covert Action)
31. 미국 정보기관의 암살공작 금지 논란 …118
32. 중국도 성적 유혹 이용해 첩보활동 …121
33. 일본의 대북 금수조치 품목과 실효성 …123
34. 해커 학위과정을 개설한 영국과 우려 …126
35. 아프가니스탄 인질 사건의 문제점 …128
36. 아프가니스탄 인질 사태의 대응 논란 …131
37. 아덴만 작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134
38. 이상적인 비밀공작원이란 …137
39. 흑색정보관, ‘흑금성’ 논란 …139
40. 국정원이 비밀공작 능력을 갖추기 위한 조건 …141
Chapter 5. 기타 이슈(Other Issues)
41. 미국 CIA 국장 경질과 위상실추를 보면서 …146
42. 미국의 군수산업 전략과 윤리적 기준 …149
43. 일본 지도층의 의도적 망언과 우려 …152
44. 일본과 미국의 정보협력 강화를 보면서 …155
45. 중국에 대해 똑바로 아는 역사 인식 …158
46. 한미 FTA 협상과 국익 보호를 위한 방안 …161
47. 이스라엘과 비교를 통해 본 국가 외교전략 …164
48. ‘평화의 바다’ 논란으로 본 국가정보전략 …168
49. 미국 CIA와 같은 국정원이 되라고 하는데 …170
50. 지도자의 장기적 국가정보전략 수립 필요성 …173
▲ 국가정보기관의 이해 - 활동영역과 개혁과제 책 표지 [출처=iNIS]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