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한진"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14-11-16지난 2년 동안 국가정보전략연구소와 그린경제신문은 공동으로 국내 100대 그룹의 주요 계열사를 대상으로 구직자에게 ‘위대한 직장’이 어느 곳인지를 평가하기 위해 ‘위대한 직장찾기’ 시리즈를 연재했다.‘취업빙하기’라는 말이 나돌 정도로 청년층의 직장 찾기는 매우 어렵고, 청년실업률은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박근혜정부가 창조경제를 통해 창업을 활성화하고, 일자리를 늘리겠다고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구직자들의 사정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2012년 겨울 이 시리즈의 연재를 시작할 때만 하더라도 대통령 선거유세가 한창이었고, 후보자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자신만이 한국의 경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2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정부가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파악하기 어렵다.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고, 한번 취직하면 전직이 어려운 국내 고용시장의 특성 때문에 청년들은 안정된 공무원이나 대기업에 들어가기 위해 재수, 삼수를 하며 취직공부만 하고 있다. 반면 중소기업은 사람을 찾지 못해 정상적인 사업을 영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무조건 안정되고 좋은 직장을 찾기 위해 청년을 허비하기 보다는 중소기업에라도 들어가 경험을 축적하는 것이 인생에 유리하다고 조언하지만 청년들은 귀담아 듣지 않는다. 어떤 기업이 대기업보다 좋으며, 어떤 점에서 좋은지는 설명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이런 고용시장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한 것이 ‘위대한 직장찾기’연재다. 2년 간의 연재를 통해 국내 100대 그룹의 주요 기업은 대부분 평가했다. 일반 구직자가 알고 있는 10대, 혹은 20대 대기업뿐만 아니라 지주회사 체제로 다수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는 국내 기업집단은 전부 다룬 것이나 다름없다. 알려진 20대 대기업보다 더 우량한 중견 대기업도 많았고, 10대 대기업도 계열사별로 편차가 심했다. ◇ 10대 그룹 계열사 중 삼성코닝이 1위, ㈜한진이
-
한진은 항공여객 및 화물운송의 대한항공, 해상운송을 담당하는 한진해운, 육상물류를 담당하는 ㈜한진 등으로 구성된 물류전문기업으로 공기업을 제외하면 2012년 기준으로 재계 서열 8위다.한진해운이 한진에서 분리를 요구하고 있지만 종합물류기업으로서 해운의 중요성과 그룹규모 축소를 두려워해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한진이 주력으로 하고 있는 대한항공도 유류가격, 환율, 경기변동에 민감해 사업구조가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는다.한진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2번째 DNA인 사업(Business)을 제품(product)와 시장(market)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 국내물류사업을 개척했지만 고전 중한진의 사업역사는 화려하다. 1969년 한국 최초로 컨테이너운송체계, 1979년 화물운송 전산시스템을 구축했고, 1992년 국내 최초로 택배사업을 시작했다.1960~70년대 베트남전쟁 특수 기간 동안 폭발적으로 성장했고, 1980~90년대 중동 하역사업까지 진출하면서 사업의 성숙기를 거쳤다.&nb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항공, 해상운송 수요가 크게 줄어 들면서 한진의 실적이 악화되고 있다. 운송수요는 줄어들었지만 신규 항공기도입 등 대규모 투자는 계획대로 추진하면서 차입이 증가했다.유가가 급등하면서 비용은 급격하게 늘어났지만 운송단가가 현실화되지 못하면서 영업손실도 급증했다. 이 추세가 이어진다면 한진은 사업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진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3번째 DNA인 성과(Performance)을 이익(profit)과 위험(risk)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 사업이 레드오션에 처해 있어 성과내기 어려워물류사업 자체가 블루 오션(blue ocean)이지만, 한진이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국내는 경쟁이 치열하고 이익이 열악한 레드 오션(red ocean)이라고 평가 받는다. 사업성과를 전반적으로 평가하면 매출이나 이익 신장률은 낮아지고 위험지수는 높아지고 있다.물류산업이 서비스사업이기는 하지만 최소한의 경쟁력을 
-
2013-02-11한진그룹(이하 한진)는 고 조중훈 회장이 1945년 해방과 더불어 설립한 육상물류에서 시작한 기업이다. 현재는 여객운송, 화물운송, 하역작업, 창고업, 택배, 지상조업, 항공기 정비 등의 사업을 하는 종합물류 전문기업이다.한진도 국내 다른 대기업과 마찬가지로 1960~80년대까지 창업자의 리더십 아래 활발하게 사업다각화를 했다. 1960~70년대 베트남 특수, 1980년대 중동 특수로 급격한 성장을 했지만, 1997년 IMF외환위기로 그룹경영이 위태로운 지경까지 경험했다. ◇ 항공, 해운, 육운 등 종합물류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한진은 창업자의 사후 형제간에 기업분할을 하였고, 장자인 조양호 회장이 그룹의 정통성을 이어받아 한진을 경영하고 있다. 주요계열사는 표 1과 같이 항공, 해운, 육운, 관광/호텔/부동산, 정보서비스, 비영리법인으로 구성돼 있다.▲ 표1. 한진그룹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항공부문 계열사는 대한항공, 진에어, 한국공항, 에어코리아가 있다. 대한항공은 그룹의 간판기업이고, 지주회사 역할까지 담당한다. 대한항공의 종속회사는 진에어, 한국공항, 인천국제공항급유시설, 한진정보통신, 한진관광, 정석기업, 토파스여정보, KAL호텔네트워크, Hanjin Int'l Corp. (HIC) 등이 있다.토파스여정보 항공권예약/발권, 호텔예약, 렌터카 예약 등이 가능한 예약시스템을 여행사에 보급하는 업무를 하고 있다. HIC는 미국 LA에 윌셔그랜드호텔을 운영 중이다. 진에어는 저가항공사로 후발주자였지만 대한항공의 지원을 받아 단기간에 메이저 업체로 등극했다. 한국공항은 공항의 지상조업부문을 맡아 하는 국내 1위 업체다. 항공부문 계열사 중 대한항공과 한국공항을 평가대상으로 선정했다.해운부문 계열사는 한진해운과 한진에스엠이 있다. 한진해운은 조양호 회장의 동생인 조수호 회장이 사망하면서 그의 부인인 최은영이 회장으로 취임해 경영한다. 아직 계열분리가 되지 않았지만, 독자적인 경영을 어느 정도 보장받고 있다.육운부문 계열사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