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결산"으로 검색하여,
4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KT&G 제38기 정기주주총회서 이사회 안건 모두 가결[출처=KT&G]KT&G(사장 방경만)에 따르면 2025년 5월26일(수) 대전광역시 인재개발원에서 개최한 제38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사회의 주총 안건이 모두 원안대로 가결됐다.이번 주주총회에는 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승인, 정관 일부 변경, 이사의 선임(사내 1명, 사외 2명),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1명),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안건이 상정됐다. 주주들의 승인을 받아 모두 통과됐다.우선 KT&G는 금번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2024년도 결산배당금을 주당 4200원으로 확정했다. 연간 배당금은 지난해 기 지급된 반기배당금 1200원을 포함해 5400원으로 전년 대비 200원 상승했다.정관 일부 변경의 건과 관련해서는 이사의 인원수 명확화, 감사위원 선임 관련 조문 정비, 대표이사 사장 선임 방법 명확화, 분기배당기준일 변경 건이 가결됐다.▲ KT&G 제38기 정기주주총회서 이사회 안건 모두 가결[출처=KT&G]이에 따라 향후 대표이사 사장 선임 안건은 주주총회를 통해 전체 주주의 찬반 의사가 정확히 반영되고 투자자들이 이사회에서 정한 배당금을 미리 확인하고 주식 보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개선됐다.사내이사로는 KT&G 총괄부문장인 이상학 수석부사장이 선임됐다. 이상학 수석부사장은 총괄부문장으로서 본업 경쟁력에 기반한 수익성 확대,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의 선도적 수립 등 기업과 주주 가치를 동반 성장시킨 성과를 인정받아 그룹 미래비전 달성에 기여했다고 평가받고 있다.사외이사로는 지난 3년간 KT&G 사외이사로 활동해온 손관수 전 CJ대한통운 대표이사, 이지희 현 더블유웍스 대표이사가 재선임됐다. 손관수 사외이사는 감사위원회 위원으로도 선임됐다.KT&G 관계자는 “금번 주총을 통해 정관 개정, 이사 선임 안건 등이 다수 주주의 지지를 얻어 거버넌스 고도화 및 주주가치 증대의 기틀을 다지게 됐다”라며 “향후에도 이사회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중심 축으로 본업 중심의 경영성과를 창출하고 국내외 최고수준의 주주환원 이행으로 주주가치를 제고하겠다”고 밝혔다.▲ KT&G 제38기 정기주주총회서 이사회 안건 모두 가결[출처=KT&G]한편 이날 KT&G는 정기주총에 이어 경영진과 임직원 등 2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기념식 행사를 개최했다.이 자리에서 방경만 KT&G 사장은 “수익성 제고와 성장성 가속화가 기업가치 제고의 근간이 되는 최우선 과제”라며 “지난해 글로벌 직접 사업을 확대하며 해외시장 개척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한 결과 해외궐련 부문이 회사의 수익 성장을 이끌었다”고 강조했다.이어 “빠르게 변모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해 향후 궐련 중심 사업에서 확장한 새로운 개념의 ‘Modern Products’를 선보임으로써 마켓리더로서 지위를 더욱 확고히 할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
2025-02-06▲ 대만 궈즈(國巨, YAGEO) 홈페이지중국 정부(中国政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정부 기기에서 중국 인공지능 챗봇 앱 DeepSeek 사용을 금지한 것에 대해 비난했다.중국정부(中国政府)는 미국에 대한 10~15% 관세, 구글에 대한 반독점 조사, 미국 기업 2곳에 대한 블랙리스트 작성, 5가지 금속에 대한 수출 통제 등 4가지 무역 조치를 시행했다.일본자동차수입조합(日本自動車輸入組合)에 따르면 중국 전기자동차(EV) 제조사 바야디(BYD)의 일본 판매 대수가 53대로 전년 동월 217대 대비 4분의 1로 줄어들었다.일본 이토추상사(伊藤忠商事)에 따르면 2024년 4~12월기 연결견산에서 순이익이 6764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시장 예상 평균 6732억 엔 대비 약간 웃돌았다.미쓰비시상사에 따르면 사업성 재검토에 착수한 해상풍력발전사업이 10~12월(3분기) 결산에서 322억 엔 손상차손을 계상했다.글로벌 3대 MLCC 업체인 대만 궈즈(國巨, YAGEO)에 따르면 일본 상장기업 시바우라전자(芝浦電子)를 인수하기 위해 약 NT$ 137억67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홍콩정부(香港政府)에 따르 홍콩투자기구를 통해 약 140개의 패밀리 오피스가 홍콩에서 사업 설립하거나 확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中国政府),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중국 AI 챗봇 앱 DeepSeek 사용 금지 비난중국 정부(中国政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정부 기기에서 중국 인공지능(AI) 챗봇 앱 DeepSeek 사용을 금지한 것에 대해 비난했다.중국 외교부는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경제, 무역, 기술 문제의 정치화로 규정했으며 해당 앱이 데이터 수집에 사용됐다는 의혹을 강력하게 부인했다.오스트레일리아는 몇몇 기업 조직을 제외한 모든 정부 기관에서 즉시 DeepSeek 제품을 제거하도록 결정했다.한국 역시 국방부, 외교부, 무역부, 산업부, 자원부, 경찰 등은 민감한 정보 보호 및 보안 강화를 위해 DeepSeek 차단, 직원과 업무용 컴퓨터의 해당 플랫폼에 접속을 금지하는 결정을 내렸다.중국 정부(政府)는 미국에 대한 10~15% 관새, 구글에 대한 반독점 조사, 미국 기업 2곳에 대한 블랙리스트 작성, 5가지 금속에 대한 수출 통제 등 4가지 무역 조치를 시행했다.중국의 이번 조치는 양국 지도 자간 전화 통화가 임박한 가운데 미국에 대한 보복 및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대응으로 분석된다.◇ 일본 미쓰비시상사, 해상풍력발전사 10~12월(3분기) 결산 결과 322억 엔 손실일본자동차수입조합(日本自動車輸入組合)에 따르면 중국 전기자동차(EV) 제조사 바야디(BYD)의 일본 판매 대수가 53대로 전년 동월 217대 대비 4분의1로 줄었다.비야디 일본 법인이 국토교통성 인증 신청 시 차량의 일부 기능을 미기재해 3개 차종의 출하가 정지됐기 때문이다.일본 이토추상사(伊藤忠商事)에 따르면 2024년 4~12월기 연결견산에서 순이익이 6764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시장 예상 평균 6732억 엔 대비 약간 웃돌았다.기계, 식료 등 사업이 견조했을 뿐 아니라 그룹 데산트(デサント)가 지분법 적용회사에서 자회사로 바뀌면서 재평가 이익이 늘어났기 때문이다.미쓰비시상사에 따르면 사업성 재검토에 착수한 해상풍력발전사업이 10~12월(3분기) 결산에서 322억 엔 손상차손을 계상했다.아키타현이나 지바현 3해역에서 진행중인 해상 풍력 사업의 사업성 재평가 결과 인플레이션, 저렴한 엔화가격, 금리 상승 등으로 건설비용이 높아지고 있다.또한 협력 중인 주부전력(中部電力)은 해상풍력 관련해 179억 엔의 손상차손을 계상했다.◇ 대만 궈즈(國巨), 일본 시바우라전자(芝浦電子) 인수에 약 NT$ 137억6700만 달러 투자글로벌 3대 적층세라믹캐패시터(MLCC) 업체인 대만 궈즈(國巨, YAGEO)에 따르면 시바우라전자(芝浦電子)를 인수하기 위해 약 NT$ 137억67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시바우라전자는 일본 상장기업이다. 이번 발표로 주식 개장 초발 약 4% 상승했으며 2025년 매출은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홍콩 정부(政府), 홍콩투자기구를 통해 약 140개의 패밀리 오피스가 홍콩에서 사업 설립 및 확장홍콩 정부(政府)에 따르면 홍콩투자기구를 통해 약 140개의 패밀리 오피스가 홍콩에서 사업 설립하거나 확장한 것으로 나타났다.2022년~2025년 최소 200개의 패밀리 오피스가 홍콩에 정착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홍콩이 중국과 연결, 세금상 이점, 인재 공급, 패밀리 오피스에 적합한 맞춤형 특성 등이 매력적이라고 지적했다.
-
2024-12-09▲ 다이소몰, 상품 리뷰에서 ‘가성비’ 최다 언급 상품은! ‘연말 총결산’진행[출처=아성다이소]균일가 생활용품점 ㈜아성다이소(회장 박정부)에 따르면 운영중인 다이소몰에서 ‘연말 총결산’을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상품 카테고리별 올해의 베스트 브랜드, 재구매율 TOP10, 판매 TOP30의 재고를 확보해 선보인다.또한 ‘득템 데이’와 지난 1년 간 다이소몰에서 판매 데이터와 리뷰 데이터를 분석한 ‘2024 다이소몰 리포트’ 등으로 구성했다‘득템 데이’는 12월9일 09시부터 진행하며 월요일부터 하루씩 뷰티, 주방, 청소, 수납, 문구 카테고리 순서대로 올해의 베스트 브랜드, 재구매율 TOP10, 판매금액 TOP30 ‘품절 아이템’을 판매한다.평소에 품절이 잦아 구매가 어려웠던 인기 아이템들을 비롯해 카테고리별로 다이소몰에서 사랑받는 브랜드를 만나볼 수 있다.‘2024 다이소몰 리포트’는 판매 데이터와 리뷰 데이터를 분석해 ‘리뷰에서 가성비 최다 언급’이 된 ‘찐 가성비템’, 재입고 요청이 가장 많았던 ‘순식간에 완판템’, 리뷰도 많고 찜도 많이 한 ‘모두의 인기템’, 리뷰를 가장 많이 쓴 ‘리뷰왕’ 등 다이소몰만의 컨텐츠와 인기 아이템을 구성했다.‘찐 가성비템’으로는 ‘에끌라 깨끗한 물티슈 150매(캡형)’이 선정됐다. 1000원짜리 캡형 물티슈 상품이 150매로 부드러운 물티슈 원단이 특징이다.득템에 혜택까지 더할 수 있는 ‘리뷰 이벤트’도 진행한다. 홍삼발효초 성분이 함유된 ‘다나한’의 본연고 라인을 구매 후 리뷰를 작성한 모든 고객님께 ‘다나한 본연고 홍삼초 마스크팩(2매)’을 증정하며 추첨을 통해 던킨 기프티콘도 받아볼 수 있다.더마 스킨케어 브랜드 ‘메디필’의 신상 랩핑 마스크를 구매한 후 리뷰를 작성하면 추첨을 통해 상품별 세트를 받아볼 수 있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이소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아성다이소 관계자는 “2024년 한 해 동안 고객님들께 사랑을 받은 다이소몰의 상품과 리뷰를 바탕으로 이번 행사를 준비했다”며 “내년에도 다이소는 고객님들께 놀라움과 감동을 선사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계속 선보일 계획이다”고 밝혔다.
-
▲ 일본 세가사미홀딩스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일본 세가사미홀딩스(セガサミー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마야자키시의 대형 리조트시설인 '피닉스시가이아리조트를 미국 투자펀드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2024년 5월10일 이사회에서 피닉스시가이아리조트를 운영하는 자회사인 피닉스리조트의 모든 주식을 팔기로 의결했다.인수기업은 미국 투자펀드인 '포트리스 인베스트먼트 그룹'이다. 매각 금액은 밝히지 않았지만 특별이익 약 85억 엔을 올해 결산에 계상한다고 밝혔다.주식을 매각한 후 새롭게 일부 주식을 취득해 사업 관계를 유지할 방침이다. 경영자원을 주력사업인 게임에 집중한다는 구상이다.세가사미는 2012년 대규모 리조트 시설을 운영하는 노하우를 얻기 위해 해당 기업을 인수했다. 2001년 파산해 해외 투자회사가 보유하는 기업이었다.
-
▲ 일본 라쿠텐그룹 로고일본 라쿠텐그룹(楽天グループ)에 따르면 2023년 12월기 연결 결산은 3394억 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휴대폰 사업에서 대규모 설비투자를 단행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휴대폰 사업의 영업적자는 3375억 엔에 달했다. 다른 이동통신회사인 KDDI의 통신망을 빌리는 로밍으로 설비투자를 억제했지만 적자 규모를 줄이는데 만족해야 했다.2022년 12월기 휴대폰 사업의 적자는 4792억 엔에 달했다. 기지국 정비 등으로 투자를 줄이고 있지만 여전히 적자를 회복하기에는 어려웠다.하지만 인터넷 서비스사업의 실적은 768억 엔의 흑자를 기록했다. 휴대폰 사업의 적자 축소를 위해서는 이용자의 대폭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2024년 봄부터 운용할 예정인 실내에서 전파 연결이 쉬운 주파수대인 '플래티넘 밴드에 대한 효과가 기대된다. 2024년부터 2025년까지 8000억 엔 규모의 회사채를 상환해야 하므로 적자 축소가 시급한 과제다.
-
2023-11-02▲ 영국 석유 대기업인 BP가 운연하는 주유소 전경 [출처=홈페이지]영국 석유 대기업인 BP에 따르면 2023년 3분기 결산 결과는 $US 33억 달러(약 4조4300억 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시장 전문가의 예상치인 40억 달러보다 적었다.하지만 2분기 흑자액인 26억 달러보다는 늘어났다. 석유와 가스 생산 증가, 높은 정제 마진, 정유소 유지보스비 감소, 석유 거래 실적의 호조 등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하지만 2분기에 좋은 실적으로 보였던 천연가스 사업이 침체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됨에도 천연가스에 대한 수요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미국에서 추진하는 해상풍력발전소에서 5억4000만 달러의 평가손실을 기록했다. 인플레이션과 허가 지연으로 손실이 발생했다.배당금은 1주당 7.27센트로 낮았다. 2023년 설비투자 금액은 160~180억 달러로 예상했지만 실적 부인을 원인으로 160억 달러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
▲ 일본 전력회사인 간사이전력(関西電力) 고일본 전력회사인 간사이전력(関西電力)에 따르면 2023년 9월 중간연결결산에서 최종손익이 3710억 엔(약 3조3500억 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2001년 9월 연결결산 이후 22년만에 최고 이익을 갱신했다.2022년 9월 중간연결결산에서는 763억 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된 것은 원자력발전소를 재가동한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판단된다.후쿠이현에 있는 다카하마원자력발전소 1호기와 2회기를 재가동했다. 원전의 가동과 더불어 화력발전소 연료로 사용하는 액화천연가스(LNG)의 가격이 하락한 것도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했다. 2024년 3월 연간 최종이익은 기존 3050억 엔에서 4050억 엔으로 증가할 것으로 상향조정했다. 2024년 3월 연간 매출액은 4조500억 엔으로 수정했다.
-
▲ 일본 전자상거래업체인 라쿠텐그룹(楽天)의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일본 전자상거래업체인 라쿠텐그룹(楽天グループ)에 따르면 2022년 12월 연결결산(국제회계 기준) 3728억엔(약 3조59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최종 적자는 4년 연속이며 적자 규모는 사상 최대치다.2021년 적자액은 1338억엔이었는데 2022년에는 2.8배 확대된 것이다. 전자상거래와 금융업은 호조를 보였지만 모바일 사업이 적자의 주요인으로 분석된다.모바일 사업의 적자는 약 5000억엔으로 기지국 개설 비용와 KDDI에 지불한 회선료가 대부분이다. 2023년에는 인프라 투자가 줄어들어 연간 1800억엔 정도의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나.2022년 '0엔 플랜' 등으로 가입자 유치에 주력했지만 시장 점유율은 2% 수준에 머물고 있다. 자체적으로 시장 확대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외부 업체와 제휴할 가능성이 높다.
-
일본 해운회사인 사도기센(佐渡汽船)에 따르면 2021 회계연도 4분기 연결결산 최종손익은 16억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전 3분기의 25억엔 적자 기록과 대비된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여객 수요가 침체되며 3분기 연속으로 최종적자를 기록했다. 2021 회계연도 4분기 매출은 80억엔이었으며 영업손익은 16억엔의 적자를 기록했다.2021 회계연도 4분기 부채 초과액은 22억300만엔으로 2021년 9월말 시점의 22억9900만엔과 대비해 축소됐다. 최종적자가 계속되며 제3자 배정 증자 등으로도 보완할 수 없었다. 2021년 9월말 코로나 긴급사태 선언이 해제되며 관광 및 귀성 여행객 수가 예상 이상으로 회복했다. 2021 회계연도 4분기에 한해서 영업 흑자를 확보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사도기센(佐渡汽船) 로고
-
2022-02-14일본 스포츠용품기업인 아식스(アシックス)에 따르면 2021년 결산 최종 이익은 94억엔의 흑자로 집계됐다. 2019년 161억엔 최종 적자에서 2년 만에 흑자로 전환됐다. 2021년 매출은 4040억엔으로 2020년 대비 22% 증가했다. 러닝용 신발의 판매가 호조를 보이며 수익이 크게 회복됐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과 옥외 스포츠 수요가 높아지며 스포츠 메이커들의 실적이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사는 걷거나 달리는 운동 습관을 도울 수 있는 러너의 보폭에 맞춘 러닝용 신발이 수익 실적에 큰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아식스(アシックス) 로고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