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국제 표준 개발"으로 검색하여,
1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ISO INVITATION TO AN INTERNATIONAL WORKSHOP[출처=ISO]2024년 04월05일 표준화기술정책 담당이사 마르코 로시(Marco Rossi)는 ISO 회원국에 국제 워크샵 초대장을 배포했다.이번에 초대한 국제워크샵은'ISO 국제 워크샵(IWA 48)-ESG 원칙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ISO International Workshop Agreement (IWA 48) - Framework for Implementin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Principles)'에 관한 것이다.영국 표준협회(BSI), 브라질 기술표준협회(ABNT)가 공동으로 제안한 IWA에 대해 ISO 기술관리 이사회 승인을 받았다.이후 캐나다 표준위원회(SCC)와 함께 환경, 사회, 거버넌스 원칙 구현을 위한 국제 워크샵 협정(IWA-48) 프레임워크 개발에 ISO 회원국을 초대하는 내용이다.등록한 모든 참가자에게 5월 중 적절한 시기에 날짜를 통보해 온라인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고 IWA 목적에 대해 개괄 및 초안을 소개했다. IWA 프로세스를 확정했으며 IWA-48과 관련한 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24년 5월20일 ~ 6월17일 : 의견 제출 기간 ▶ 등록한 참가자는 온라인 표준 개발 플랫폼에 접속해 초안 문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음. ▶ 워크숍 회의에 앞서 모든 의견이 반영되도록 참가자는 미리 검토하고 의견을 제공하도록 권장.○ 2024년 5월 20일 ~ 6월 : 브리핑 회의 ▶ 이 세션은 관심 있는 당사자가 IWA의 목적을 이해하고 플랫폼에 익숙해지는 데 도움이 됨.○ 2024년 7월~9월 : 워크숍 회의 ▶ 의견과 피드백은 7월부터 9월 사이에 열리는 일련의 워크숍 회의에서 논의 및 처리 예정. ▶ ESG 원칙
-
2024-03-19▲ 4대 전략별 재정 투자계획[출처=산업통상자원부]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에 따르면 18개 부·처·청이 참여하는 국가표준심의회*(의장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서 '2024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이번 계획은 「국가표준기본법」에 따라 수립된‘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1~’25)’ 이행을 위해 경제·산업·사회 전 분야에서 신수요 국가표준 개발 및 국제표준 선점에 2271억 원을 투입한다.국가표준기본계획은 2023년 11월부터 관계부처와 민간 표준전문가가 참여해 24년도 추진과제를 수립했다. 국가표준심의회는 국가표준기본법 제5조(국가표준심의회)에 따라 의장(산업부 장관), 17개 부처청 차관 및 차관급 공무원, 민간위원 4명 등 총 22명으로 구성됐다.각 부·처·청은 국내 기업의 초격차 경쟁력 확보 지원을 위해 소관 전문 분야에 대한 국가표준화 및 첨단산업 관련 국제표준을 개발하게 된다. '해외인증지원단'운영 등을 통해 해외인증 애로를 해소하고 수출기업의 글로벌 시장진출을 견인할 예정이다.스마트헬스, 디지털신분증 등 최신기술을 반영한 생활편의 표준을 마련해 국민이 편리한 삶을 영위하도록 견인하고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무시동 히터·에탄올 화로 등 생활제품의 안전기준도 마련하기로 했다.또한 국가 연구개발(R&D)과 표준-특허 연계를 강화해 개발기술의 사업화를 촉진하고 표준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뒷받침하는 표준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진종욱 국표원장은 “국가표준 주무부처로서 2024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관계부처가 차질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업의 혁신성
-
▲ 농업농촌개발부(Minister of State for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의 장관 Mustapha Baba Shehuri(출처 : 홈페이지)나이지리아 농업농촌개발부(Minister of State for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에 따르면 국제표준화기구(ISO) 인증으로 인해 국내 농업 분야에만 연간 N3.5조나이라 규모의 손실을 예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수확 후 농작물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관리하기 때문이다. 특히 나이지리아에서 수확 후 농작물의 손실로 인해 식량안보가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또한 농산물의 해외 수출에도 좋은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해외 국가로 수출한 농산물의 품질 문제로 인해 거절 사례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과일과 채소의 경우에는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수확량의 50~60%를 폐기해야 한다. 농민뿐만 아니라 정부 관료들도 농작물을 수확한 이후 저장에 관해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다.나이지리아 정부가 국제표준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영국에 농산물을 수출하면서부터다. ISO/IEC 17025는 국제표준화기구에 의해 제정된 시험소 또는 교정기관의 능력에 관한 일반 요구사항에 관련된 국제표준이다.참고로 나이지리아 정부는 농산물의 표준을 연구하기 위해 국가저장상품연구소(Nigerian Stored Products Research Institute, NSPRI)를 운영하고 있다.
-
독일 국제개발협력단(Deutsche Gesellschaft für Internationale Zusammenarbeit GmbH, GIZ)에 따르면 2022년 7월 18일 가나의 농업 관련 산업 인증 표준 관련 53명의 지역 전문가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이들은 식품안전관리시스템(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유기농 생산(Organic production), 열대우림동맹(Rainforest Alliance), 글로벌GAP(GlobalGAP), 공정거래 인증표준(Fairtrade certification standards) 등에서 농장 검사 및 주임 감사관 등의 역량을 갖췄다.전문가들은 선정된 농업 관련 사업체 대표 23명과 가나 전역에 있는 고등 교육 기관을 졸업한 실업자 30명 등 총 53명이다.이 교육은 지역 농업 관련 사업을 하는 중소기업(SME)에 인증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역량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감사 준비나 높은 감사 비용의 절감, 비지니스 환경 개선 등을 추구한다.6주간으로 구성된 인증 교육은 독일 연방경제협력개발부(German Federal Ministry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BMZ)가 지원했다. 지역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투자사업의 일환이다.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피라미드 센터(Pyramid Centre for Sustainable Development)가 교육을 담당했다. 독일 국제개발협력기관(GIZ)이 주관했다.교육 내용은 다양한 인증제도, 기준, 원칙의 전면 도입, 특정 기준에 대한 수혜자 인증, 소프트 기술 개발 등이 포함됐다.농작물 생산에는 토지 사용의 변화, 삼림 벌채 및 생물 다양성 손실, 광범위한 비료 사용으로 인한 오염, 부당한 보상과 노동관행 등 부정적인 환경 및 사회 경제적 영향이 영향을 끼치고 있다.인증 표준은 부정적인 지속 가능 영향력이 줄어든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생산을 보장한다. 가치 사슬 전
-
바레인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 이슬람 금융시장(International Islamic Financial Market, IIFM) 이사회는 이슬람 연합체 및 유동성 관리와 관련한 새로운 표준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IIFM 이사회는 46번째 온라인 가상회의에서 이슬람 금융 표준 제정 기구의 새로운 표준화 및 산업 개발 이니셔티브를 논의했다.또한 이사회는 이슬람 연합체 문서의 표준화 및 추가 이슬람 유동성 관리 도구와 같은 IIFM의 우선 이니셔티브를 심의했다.IIFM은 2022년 3분기 중 개최할 예정인 IIFM 산업협의회에서 심의될 협의서를 확정하기 위해 주요 관할지 주요 기관으로 구성된 연합체 표준화 핵심 워킹 그룹을 구성했다.IIFM 표준화 워킹 그룹은 이슬람 금융 관할 구역 내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한다. 이사진들은 널리 사용되는 IIFM-ISDA 이슬람 표준 협의에 기초한 특정 사항의 검토를 시작하자는 IIFM 경영진의 제안에 동의했다. 따라서 시장 피드백, 규제 개발 등을 기반으로 제한적인 개선 사항을 포함해 추가 요구사항을 평가하기 위해 파트너인 국제스왑파생상품협회(International Swap and Derivative Association, ISDA)와 공동 시장 상담 이벤트를 조직하기로 결정했다.회의 참석자는 IIFM 부회장 닉 모하메드 딘 빈 닉 무사(Mr. Nik Mohamed Din Bin Nik Musa, 말레이시아 라부안 금융위원회), 아리프 하타완(Mr. Arief Hartawan, 인도네시아 은행), 만수르 노이비(Dr. Mansur Noibi, 이슬람 개발은행), 슈크리 아흐마드(Mr. Shukri Ahmad, 브루나이 다루살람 중앙은행), 아부베이커 모하메드(Mr. Abubaker Mohamed, 수단 중앙은행), 함마드 하산(Mr. Hammad Hassan, ABC 이슬람 은행), 함자 칼리드 바와지르(Mr. Hamza Khalid Bawazir, 사우디 국영은행), 아산 알리
-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따르면 ISO/IEC 27036 표준은 정보 보안 및 사이버 보안, 개인 정보 보호와 관련이 있는 IEC와 ISO 기술위원회에 의해 개발됐다.기업이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클라우드 회사를 포함한 제품 및 서비스 구입 시 타사 공급업체에 의존하게 된다.따라서 ISO/IEC 27036은 사이버 보안의 관점에서 구매자와 공급업체 모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조직 스스로 공급망 공격의 결과로부터 보호해야 된다.합의 기반 국제 표준은 최고의 사례를 근거로 하고 있다. 전 세계 전문가들의 통찰력은 신뢰할 수 있는 지침과 조언을 제공한다.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국제 표준은 공급망 전체에 걸쳐 조직들의 위험을 관리해야 되며 공급자와 취득자의 관계를 정의하고, 구현, 운영, 모니터링, 검토, 유지, 개선하기 위한 정보 보안 요구사항을 식별한다.ISO/IEC 27036:2022 표준은 ISO/IEC 27036-1, ISO/IEC 27036-2, ISO/IEC 27036-3, ISO/IEC 27036-4 등 4개의 파트로 구성돼 있다.첫째, ISO/IEC 27036-1은 사이버보안 - 공급업체 관계 - Part 1 : 개요 및 개념에 관한 표준이다. 둘째, ISO/IEC 27036-2는 사이버보안 - 공급업체 관계 - Part 2 : 요구사항에 관한 표준이다.셋째, ISO/IEC 27036-3은 정보기술 - 보안기술 - 공급업체 관계를 위한 정보보안 - Part 3 : 정보통신 기술 공급망 보안 지침에 관한 표준이다.넷째, ISO/IEC 27036-4는 정보기술 - 보안기술 - 공급업체 관계를 위한 정보보안 - Part 4 :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지침에 관한 표준이다.이중 파트 2 요구사항은 공급망 및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을 포함한 공급업체 관계에 대한 포괄적인 지침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ISO) 홈페이지
-
2022-07-04오스트레일리아 표준원(Standards Australia, SA)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물 효율(Water Efficiency)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국제 표준을 개발했다.새롭게 발표된 표준은 'ISO 31600, Water efficiency labelling programmes – Requirements with guidance for implementation'이다.ISO 31600 표준은 오스트레일라아 표준기구, 오스트레일리아 농수환경부(Department of Agriculture, Water and the Environment)가 협력해 개발했다.표준은 배관 제품 및 용수 사용 부품을 위한 물 효율 라벨 프로그램 사용을 위한 베스트 프랙티스와 가이드를 제공한다.표준의 핵심은 개발 도상국이 수자원 절약을 위해 효과적인 물 효율 라벨 표준을 제정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는 것이다.또한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잘 구축된 물 효율 라벨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어 소비자들이 물 효율이 높은 비품과 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조언한다.표준은 자체적인 물 효율 라벨 표준을 만들수 있는 개발 도상국의 경우 전 세계적 물 효율에 긍정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2018년 물 효율 라벨링 표준(Water Efficiency Labelling Standards, WELS) 및 관련 조치로 시드니항 전체 물 량의 25%를 절약할 수 있었다.▲ 오스트레일리아 표준원(Standards Australia, SA) 홈페이지
-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 따르면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과 공동으로 원격의료 서비스(telehealth services)의 접근성에 대한 글로벌 표준을 개발했다.개발된 표준은 원격 의료 플랫폼이 접근 가능한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될 기술적 요구사항 목록을 제공하고 있다.모든 요구사항은 시민사회와 산업계로부터 수집된 종합적인 피드백 및 의견뿐 아니라 최고로 이용 가능한 근거에 기반을 두고 있다.표준 요건은 규정이나 법률로서 회원국들에 의해 채택되도록 한 것이다. 의료 전문가나 제조업체가 자발적으로 이행해야 된다.원격의료 서비스의 접근성을 위한 WHO-ITU 세계 표준은 2022년 6월 16일 장애인권리협약 당사국총회(Conference of Stat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제15차 회기 중 공식 출범했다.코로나19(COVID-19) 팬데믹 기간 많은 국가에서 원격 의료 서비스 활용이 크게 증가했으며 일반인들의 기본 요구사항이 됐다. 반면 많은 장애인들은 원격 의료 서비스에 접속하고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예를 들어 원격의료 플랫폼은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화면 판독기와 같은 장치와의 호환문제가 발생됐다.또한 화상회의에서 자막이나 볼륨 조절 불량으로 청각 장애가 있거나 청각 장애인 들이 의료 전문가와 원격상호 작용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했다.따라서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공동으로 글로벌 표준 개발을 통해 장애인들의 원격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홈페이지
-
2022-07-01미국 SPE 네트워크(SPE Industrial Partner Network)에 따르면 M12 하이브리드 싱글 페어 이더넷(Single Pair Ethernet, SPE) 및 전원 인터페이스를 위한 새로운 국제 표준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2021년 네트워크의 창립 멤버 TE Connectivity에 의해 시작된 새로운 IEC 63171-7 표준은 M8 하이브리드 SPE 및 전원 인터페이스의 논리적 추가 개발이다.Industrial Style IEC 63171-6 표준에 따라 2020년 네트워크의 주요 구성원에 의해 이미 발행됐다. 많은 업계 고객들은 미래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하나의 장치-하나의 인터페이스 전략을 따르고 있다.따라서 하이브리드 SPE 연결은 센서-클라우드 이더넷 통신 및 전원 공급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핵심 요소이다. 초기 M8 버전에 따른 논리적 결과에 따라 하이브리드 M12 솔루션을 개발했다.IEC 63171-6 표준화 활동을 통해 하이브리드 M12 SPE 개발로 이어졌다. 1개의 기기에 1개의 인터페이스 전략에서 고객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SPE 및 전원 접점 설계 옵션을 갖춘 M12 인터페이스 개발을 추진해 왔다.실제 SPE 네트워크는 하이브리드 SPE 연결의 중요성뿐 아니라 네트워크 개발 기반 SPE 솔루션을 활용해 시장에 진입하는 기업의 확대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따라서 TE ConnectivitySMS M12 형식의 하이브리드 SPE 연결을 위한 새로운 IEC 63171-7 표준의 개발을 중요한 단계로 보고 있다.▲ SPE 네트워크(SPE Industrial Partner Network) 홈페이지
-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글로벌 국가들이 리튬 배터리의 안전한 운반을 더욱 지원할 수 있도록 글로벌 표준 개발 및 시행을 요구했다.글로벌 표준 개발 및 시행 요구 항목은 각국 정부의 심사, 화재시험, 사고 정보 등의 공유에 관한 것이다. 수많은 항공 운송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효과적인 표준이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특히 세계적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리튬 배터리로 인해 수많은 신규 화주가 항공 화물 공급망으로 유입되고 있어 항공기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리튬 배터리의 항공화물 시장은 매년 30%씩 급성장하고 있다.또한 리튬 배터리뿐 아니라 진화하고 있는 중요한 위험 요소가 신고되지 않거나 잘못 신고돼 발송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따라서 IATA는 각국 정부가 리튬 배터리 운송을 위한 안전 규제의 시행 강화를 요구해 왔다. 불량 화주에 대한 강력한 처벌, 악명 높거나 고의적인 범죄 등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요구했다.IATA는 항공사가 리튬배터리의 안전한 운반을 위해 다음과 같은 활동 강화를 주문했다. 첫째, 리튬전지의 안전성 심사기준 및 공정의 개발이다.둘째, 리튬배터리 화재진압을 고려한 화재시험표준 개발 및 구현이다. 셋째, 정부 간 안전 데이터 수집 및 정보 공유의 강화이다.넷째, 위험물 규정 업데이트 및 추가 지침 자료의 개발, 다섯째, 리튬전지의 운반을 위한 안전위험관리 프레임워크의 개발 등이다.여섯째, 공급망 전반에 걸친 리튬 배터리의 안전한 취급 및 운송을 개선하기 위해 CEIV 리튬 배터리(CEIV Lithium Batteries) 인증체계의 도입이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