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높은 에너지 비용"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12-10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기반의 원가관리 컨설팅기업인 아카디스(Arcadis)에 따르면 2022년 제2의 원자재 가격 상승폭은 3~5%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2021년의 원자재 및 제품 가격 상승폭보다는 2022년의 상승폭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에는 글로벌 공급망 붕괴로 인한 원자재 부족 사태로 가격이 올랐다.2022년에는 높은 에너지 비용이 원자재 및 제품 가격의 상승 압력을 만들 것으로 전망된다. 벽돌, 유리, 시멘트, 콘크리트와 같은 제품들이 특히 많이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주로 금속과 목재에 영향을 미쳤던 원자재 부족 사태보다 원자재 및 제품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클 것으로 전망된다.민간주거용 및 산업용 창고 형태의 일부 업종은 호황을 이어가겠지만 원자재 및 제품 가격에 민감한 시장인 임대주택용 및 알뜰주택용 업종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건설시장이 둔화될 수 있다.2022년 원자재 및 제품 가격 상승은 주로 에너지 비용 상승에 의해 추진될 것으로 예상했듯이 건설 자재 제조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전체 건설 비용의 4분의 1로 환산된다.이에 따라 건설 자재 부문은 특히 장기적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건설 자재뿐만 아니라 에너지 가격 변동에 취약한 또 다른 분야는 건설 현장 운영 비용이다.건설 현장에서 장비의 유휴 시간 및 대기 시간을 단축한다면 연료비를 절약하고 탄소 배출량도 줄일 수 있다. 노동자들에 대한 연료 절감 교육 및 수소 연료를 채택하는 것도 현장 운영 비용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된다.▲아카디스(Arcadis) 홈페이지
-
2016-09-01인도네시아 정부는 2016년 8월 국내 섬유산업의 성장으로 향후 세계 5대 섬유수출국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참고로 현재까지 섬유산업에 대한 투자액은 8조4500억루피아, 2015년 수출액 US$ 122억8000만달러로 각각 집계됐다.국내 섬유산업 노동자는 약 300만명으로 제조업 근로자 중 10.6%를 점유하고 있다. 정부측은 이러한 노동집약적 산업이라는 장점과 원재료 대비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인 섬유산업에 큰 가능성을 부여하고 있다.하지만 업계측은 정부의 기대와는 달리 생산비용의 부담과 취약한 글로벌 가격경쟁력으로 산업생산이 제한적이라고 말한다.인도네시아 섬유협회(API)에 따르면 국내 섬유산업 가동률은 76%로 낮은 수준이며 '높은 에너지비용'이 장애요소로 드러났다.대표적인 섬유제품은 레이온(rayon fibers)과 폴리에스테르(polyester fibers)이며 생산비용은 대부분 '가스'에서 발생하는데 수입되는 가스의 가격이 비싸다는 것이다. 해외 섬유제품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핵심적인 이유다.전문가들은 현재 섬유산업을 부흥하려는 움직임은 제조업 성장에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지만 국내 산업의 실정을 파악하는 것이 선결과제라고 강조한다.섬유의 나라 파키스탄에서도 가스, 즉 전기가 부족해 섬유공장이 문을 닫는 사례가 많다는 점을 참고하라고 덧붙였다.▲인도네시아 섬유협회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