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누적"으로 검색하여,
3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개관 5년차를 맞는 경남 산청 새마을금고역사관[출처=새마을금고중앙회]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에 따르면 경상남도 산청군에 위치한 MG새마을금고역사관(이하 역사관) 누적 관람객이 3만3000명을 넘겼다.역사관은 2021년 11월 지상 3층, 연면적 597.54평으로 개관해 올해로 5년 차를 맞이했다. 역사관은 새마을금고의 역사와 사회적 역할을 조명하기 위해 설립되었다.향약, 두레, 계 등 우리 고유의 상호협동 전통을 이어받아 1963년 경남 산청에서 출범한 새마을금고 발자취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역사관은 전시관, 회원 교육시설, 갤러리, 체험관 등 다양한 문화?전시 시설로 구성돼 지역 문화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설립 초기부터 지역민을 위한 다양한 교육 전시·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특히 어린이·시니어 금융 교실 등 맞춤형 금융교육 프로그램은 전 세대를 아우르며 큰 호응을 얻었다.어린이 금융 교실은 어린이집, 유치원에 다니는 영유아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경제 개념 교육과 저축의 중요성을 알리는 체험 활동을 제공한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약 400명이 어린이 금융교실에 참여했다.시니어 금융 교실은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예방, 디지털 금융 활용법 등의 실생활 중심의 내용으로 진행되고 있다.또한 역사관은 개관 5주년을 맞아 지역 사회공헌 활동도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새로운 전시유물을 공개하는 특별전 개최, 교육 대상 확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사회와 연계를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한편 올해로 창립 62주년을 맞은 새마을금고는 산청군 생초면 하둔리, 창녕군 성산면 월곡리, 의령군 의령면 정암리, 의령면 외시리, 남해군 마산리 등 5개 지역에서 각각 설립된 협동조합으로부터 시작해 자산 280조 원 규모의 금융협동조합으로 성장했다.역사관 관계자는 “금융에 대한 이해는 나이에 관계없이 모두 중요하다. 앞으로도 다양한 계층이 쉽게 금융을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고 전했다.
-
2025-04-15▲ ㈜오뚜기, 짜슐랭 1억개 누적 판매 돌파[출처=오뚜기]㈜오뚜기(대표이사 회장 함영준, 대표이사 사장 황성만)에 따르면 인기 짜장 라면 ‘짜슐랭’이 2025년 4월 기준 누적 판매 1억개를 돌파했다. 2022년 4월 시장에 첫 선을 보인 이래 누적판매 1 억 개를 돌파하며 또 다른 이정표를 세웠다 .짜슐랭은 더욱 깊고 진한 짜장의 풍미를 특징으로 하여 출시 초부터 소비자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쫄깃한 면발과 양파기름, 파기름 유성스프를 첨가해 짜장의 맛을 극대화한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며 꾸준히 높은 판매량을 기록해 왔다.또한 물 버리지 않는 '복작복작 조리법'으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면수를 가두어 더 촉촉하고 진한 맛을 구현, 스프가 잘 비벼져 누구나 실패 없이 맛있게 조리할 수 있다는 점도 소비자의 큰 호응의 요인이다.2024년 9월 새롭게 출시된 짜슐랭 컵라면에는 물을 버리지 않고 맛있게 조리할 수 있는 오뚜기만의 ‘복작복작 조리법’ 과 간편콕 스티커를 제거해 물을 따라 버려 손쉽게 완성할 수 있는 조리법까지 2가지 선택지를 제공한 점도 주목을 받았다.오뚜기는 누적 판매 1억 개 달성 기념과 4월14일 블랙데이를 맞아 ‘짜슐랭 1억 개 판매 달성 온라인 기획전’ 을 진행할 예정이다. 해당 기획전은 오뚜기몰에서 확인할 수 있다.오뚜기 관계자는 “소비자의 뜨거운 관심과 사랑 덕분에 짜슐랭 1억 개 판매를 달성할 수 있었다” 며 “앞으로도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고 더 맛있고 가치 있는 식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2025-03-25▲ GS리테일 로고[출처=GS리테일]GS리테일(대표이사 허서홍 부회장)이 운영중인는 편의점 GS25는 김혜자 배우와 손잡고 출시한 ‘혜자로운 집밥’ 간편식이 재출시 2년여 만에 누적 판매량 8500만 개를 돌파했다.무려 2년여간 1초에 1.3개씩, 1일 평균 11만4000개 이상의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며 만든 성과다. 판매 수량만 놓고 보면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혜자로운 집밥’ 간편식을 맛본 셈이다. 누적 판매량 1억 개 고지도 연내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GS25는 2023년 2월15일 ‘혜자로운 집밥’을 부활시켰다. 고물가로 모두가 어려운 시기에 김혜자 도시락에 대한 귀환 요청이 쇄도해 재출시를 최종 결정했다.단종 6년 만에(2017년 단종) 재출시된 ‘혜자로운 집밥’ 도시락은 ‘역시 혜자템’이라는 좋은 반응을 양산해 내며 출시 직후 일반 상품 중 매출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도시락 고객 10명 중 7명 이상의 고객이 ‘혜자로운 집밥’ 도시락을 선택했다.GS25는 도시락 인기에 힘입어 김밥, 주먹밥, 햄버거 등으로 ‘혜자로운 집밥’ 간편식의 카테고리 확장도 성공적으로 이뤄냈다.‘혜자로운 집밥’ 간편식은 실질적 매출 견인 효과는 물론 브랜드에 대한 대중적 호감도까지 모두 잘 끌어올린 가장 성공한 편의점 상품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GS25는 ‘혜자로운 집밥’ 착한 가격 시리즈 확대, ‘혜자로운봄’ 테마의 특별 이벤트를 진행하며 흥행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착한 가격 시리즈는 3500원 균일가로 구성된 ‘혜자로운 집밥’ 도시락 상품이다. GS25는 ‘치킨마요 도시락’을 새롭게 출시하며 ‘베이컨김치볶음밥 도시락’, ‘햄구이 도시락’ 등 라인업을 3종까지 확대했다.학생, 직장인의 런치플레이션 해소 등에 기여하고자 기획 및 출시가 이뤄졌다. GS25는 3000원대 도시락을 출시하기 위해 원재료 대량 구매, 용기 효율화를 통한 가격 혁신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혜자로운봄’ 이벤트는 제휴 결제 수단으로 상품을 구매할 시 50퍼센트(%) 페이백, 1+1 혜택을 제공하는 행사다. 4월 한 달간 지속되며, 토스 페이로 도시락, 김밥, 주먹밥 등 ‘혜자로운 집밥’ 간편식을 구매할 시 50% 페이백 해주는 혜택이 주력 행사로 진행된다.착한 가격 시리즈인 △치킨마요 도시락 △베이컨김치볶음밥 도시락 △햄구이 도시락 3종도 페이백 행사 상품이다. 3종의 도시락을 토스 페이로 결제하고 50% 페이백 혜택을 누릴 시 고객은 한 끼 식사를 단돈 1750원에 즐길 수 있게 된다.사회공헌적 역할에도 지속 노력하고자 GS25는 ‘혜자로운 집밥’ 간편식의 판매 수익금 일부를 국제구호개발 NGO인 ‘월드비전’에 기부하기로 했으며, 결식우려아동을 후원하는 사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한편 GS25는 3월14일 고객의 알 권리 증진 등의 취지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실시하는 ‘푸드 QR’(실시간식품정보확인서비스)을 업계 가장 먼저 도입했다.고객은 도시락에 부착된 ‘푸드 QR’을 통해 원재료명, 영양표시 등 식품 표시 사항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GS25는 일부 도시락에 적용한 ‘푸드 QR’을 ‘혜자로운 집밥’ 시리즈 등 간편식 전체로 확대해 간다는 방침이다.박종서 GS리테일 FF팀 도시락 담당 MD는 “고객의 요청에 의해 재출시가 이뤄진 김혜자 도시락 등 ‘혜자로운 집밥’ 간편식 2년여간 8500만 개 이상 팔리는 등 국민 모두가 즐겨 먹는 먹거리 반열에 올라섰다”며 “착한 가격 시리즈 확대, 풍성한 할인 이벤트, 사회공헌활동 등을 지속 추진하며 고객이 보내준 큰 성원에 보답해 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
▲ 현대자동차 아반떼[출처=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그룹(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현대차·기아가 1986년 미국 시장에서 판매를 시작한 이후 2025년 2월까지 누적 판매 2930만3995대를 기록했다. 이는 현대차(1711만6065대) 뿐 아니라 기아(1218만7930대)를 합한 성과다.2024년 현대차 91만1805대, 기아 79만6488대로 양사 모두 미국에서 역대 최다 판매를 달성했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GM, 토요타, 포드에 이어 2년 연속 4위를 차지했다.현대차·기아는 이러한 판매 호조를 이어가 높은 상품성과 유연한 생산 체제로 시장 내 입지를 더욱 강화해 2025년 미국 시장에서 누적 판매 3000만 대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1986년 미국 진출 이후 32년 만에 누적 판매 2000만 대 대기록현대차·기아의 미국 시장 진출은 1986년 1월 시작됐다. 현대차는 울산 공장에서 생산한 세단 ‘엑셀’을 미국에 수출하면서다. 미국 진출 20년째인 2005년 미국 남부 앨라배마주에 첫 현지 생산 공장을 완공했다.기아는 1992년 기아 미국 판매법인을 설립하고 미국에서 1994년 2월 세피아, 11월 스포티지 판매를 시작했다. 이후 2006년 미국 조지아주 웨스트포인트에 조지아 공장 기공식을 하고 3년 1개월의 공사 기간을 거쳐 2010년 완공했다.현대차·기아는 1990년 누적 판매 100만 대를 돌파한 이후 2004년 500만 대를 넘어섰다. 그로부터 7년 뒤인 2011년 1000만 대를 기록했다.이후 매년 연간 100만 대 판매를 넘어서며 판매가 빠르게 증가해 2018년 2000만 대라는 대기록을 달성하게 됐다.누적 판매 1000만 대 돌파까지 1986년 미국에서 판매를 시작한 이후 25년이 걸렸다는 점을 고려하면 불과 3분의 1도 안 되는 시간 만에 2000만 대 판매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뤘다.미국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현대차의 경우 ‘아반떼(현지명 엘란트라)’다. 아반떼는 1991년 미국 판매를 시작했으며 2025년 2월까지 388만 대가 판매됐다. 그다음으로는 쏘나타(342만 대)와 싼타페(238만 대), 투싼(187만 대) 순으로 집계됐다.기아는 쏘렌토가 2002년 미국 판매를 시작한 이후 2024년까지 183만 대 판매됐다. 그다음으로는 스포티지(166만 대)와 쏘울(152만 대), K5(150만 대) 순으로 조사됐다.◇ 판매 라인업 다양화, 높은 상품성 유지해 경쟁력 높여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 진출 초기에 비해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제네시스, 친환경차 등으로 판매 라인업을 다양화해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 판매 및 수익성 향상에 주력했다.현대차는 소형 SUV인 베뉴부터 코나, 투싼, 싼타페에 이어 대형 SUV인 팰리세이드까지 이어지는 풀 SUV 라인업을 유지하고 있다.기아도 셀토스를 시작으로 니로, 스포티지, 쏘렌토, 텔루라이드로 이어지는 풀 SUV 라인업을 구축해 SUV 인기가 높은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현대차·기아의 SUV 판매량은 지난해 128만4066대로 전체 판매량의 75% 이상을 차지하며 신차 판매를 이끌고 있다. 이 외에도 프리미엄 브랜드인 제네시스를 2016년 미국 시장에 진출해 미국 프리미엄 차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제네시스는 미국 진출 첫해인 2016년 6948대를 판매했으며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꾸준히 성장했다.특히 2204년에는 GV70과 GV80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7만5003대를 판매하며 처음으로 미국 연간 판매 7만 대를 돌파하는 등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현대차·기아는 최근 미국 내 전동화 전환을 선도하기 위한 전기차 판매에도 힘을 쏟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2014년 기아 쏘울 EV를 시작으로 미국 전기차 시장에 진출했다. 이어 2017년 현대차 아이오닉 EV가 출시됐다.진출 초기 평균 1000여 대 수준이던 현대차·기아의 연간 전기차 판매량은 2021년 1만9590대를 기록하며 전기차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다.2022년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기반으로 하는 아이오닉 5, EV6 등의 신차 출시 및 G80 전동화 모델, GV60 등의 제네시스 브랜드 전기차 출시를 기점으로 판매량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그 결과 2022년 연간 판매는 전년보다 무려 337.5% 증가한 5만8028대를 기록했다.2023년에는 9만4340대를 판매했으며 지난해에는 12만3861대로 최다 판매를 기록해, 연간 처음으로 미국 전기차 판매 10만 대를 달성했다.품질 면에서도 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호평을 얻고 있다.현대차·기아는 2020년 텔루라이드, 2021년 아반떼, 2023년 EV6, 2024년 EV9 등 5년간 4개 차종이 북미 올해의 차(NACTOY, The North American Car, Truck and Utility Vehicle of the Year)로 선정됐다.또한 현대차·기아는 2024년 11월 미국 시장조사업체 제이디파워(J.D.Power)가 발표한 ‘2025 잔존가치상(ALG Residual Value Awards)’에서 코나 일렉트릭이 전동화 SUV 부문, 텔루라이드가 3열 중형 SUV 부문에서 수상했다.현대차·기아는 향후에도 라인업 확대 및 높은 상품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2024년 10월 양산을 시작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 전기차 외에도 하이브리드 차량을 생산해 급변하는 미국 시장에 빠르게 대응할 예정이다.
-
2025-03-14▲ GS25에서 출시 예정인 바삭치즈불닭김밥 상품[출처=GS리테일]GS리테일(대표이사 허연수)에 따르면 운영중인 편의점 GS25에서 2월18일 출시한 ‘바삭날치알참치마요김밥’이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50만 개를 기록하며 김밥 카테고리에서 매출 2위를 차지했다.이번 상품은 2021년 단종 이후 고객들의 지속적인 재출시 요청에 따라 크기와 토핑을 업그레이드해 새롭게 선보인 것으로 판매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GS25가 고객들의 재소환 요청에 힘입어 4년 만에 선보인 ‘바삭 김밥’이 출시 3주 만에 누적 판매량 50만 개를 돌파하며 높은 반응을 얻고 있다.‘바삭날치알참치마요김밥’은 약 90퍼센트(%) 이상의 높은 판매율을 기록하며 입고된 상품이 대부분 판매되고 있다. 일부 점포에서는 조기 완판 현상이 나타나는 등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소비자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바삭한 김의 식감, 직접 말아먹는 재미, 풍부한 토핑 등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일본 편의점에서 경험을 떠올리며 긍정적인 후기가 이어지고 있다. GS25는 고객들의 성원에 힘입어 3월18일에 ‘바삭치즈불닭김밥’, 4월에는 ‘바삭스팸계란김밥’을 추가로 각각 출시할 계획이다.바삭치즈불닭김밥은 매콤한 불닭과 고소한 스트링치즈의 조합이 특징이며 고객들의 재출시 요청이 가장 많았던 제품이다.‘바삭스팸계란김밥’은 짭짤한 스팸과 부드러운 계란의 조화로 든든한 한 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격은 각각 1900원과 1800원이다.GS25는 ‘한끼 혁명’이라는 슬로건 아래 고객에게 간편하면서도 품질 높은 한 끼 식사를 제공하는 것을 간편식 운영 전략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GS25의 ‘바삭 김밥’은 합리적인 가격대와 차별화된 구성이 실용적 소비를 추구하는 2030 요노(You Only Need One)족의 트렌드와 맞물려 성공을 거둔 것으로 분석된다.문지원 GS25 FF팀 MD는 “바삭날치알참치마요김밥의 성공은 고객의 취향과 니즈를 정확히 읽어 낸 결과다”며 “GS25가 앞으로도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다양한 간편식을 선보이며 맛과 트렌드를 모두 잡는 브랜드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2025-03-14▲ KG 모빌리티 평택공장 전경[출처=KG 모빌리티]KG 모빌리티(이하 KGM, 회장 곽재선, 대표이사 황기영, 박장호)에 따르면 재무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한 액면가 조정 방식의 무상감자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KGM은 2025년 3월10일 이사회를 통해 결손금 보전 목적으로 액면가 5000원의 보통 주식 1억9640만4254주를 1000원으로 감액하는 무상감자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이를 통해 자본 효율성을 높이고 재무 안정성 확보를 통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 감자 결정으로 KGM 자본금은 기존 9820억2127만 원에서 감자 후 1964억425만4000원으로 80% 감소한다.액면가만 감액하는 것으로 감자 전후 발행 주식 수와 자본 총계는 변동되지 않는다. 이번 감자 결정은 결손금 보전 및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것이다.감자를 통해 차익만큼 결손금을 보전할 수 있어 과거 쌍용자동차에서 기업회생절차 종결 시 해결하지 못한 누적 결손금 1조1325억 원은 모두 소멸하게 된다.특히 누적 결손금이 해소되고 꾸준한 실적 개선이 이루어져 배당 가능한 이익이 실현되면 궁극적으로 배당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돼 주주들의 가치 제고 및 주주 환원 정책의 시작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또한 무상감자로 발생한 감자 차익(7856억1701만 원)은 전액 결손금을 보전하는 데 사용하게 된다. 결손금이 장기적으로 재무에 악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번 무상감자를 통해 선제적으로 회계상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만들 수 있게 됐다.2025년 3월26일 주주총회에서 이를 의결하면 KGM은 4월10일부터 5월8일까지 주식 거래 정지 기간을 갖게 된다. 감자 기준일은 4월11일이며 5월9일 신주를 상장할 예정이다.KGM은 2024년 별도 기준 매출 3조7825억 원, 영업이익 123억 원을 기록하며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영업이익 등 흑자를 달성했다.이는 2004년 이후 20년 만이다. KGM이 KG그룹 가족으로 편입된 이후 경영정상화 궤도에 안착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하지만 KGM은 외부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여전히 누적 손실 등으로 조속한 경영정상화가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이에 KGM은 이러한 시장 반응 불식을 위해 국내 최초 전기 픽업트럭 ‘무쏘 EV’와 ‘토레스 하이브리드’를 출시하는 등 공격적으로 시장 대응에 나서고 있다.친환경차 라인업 확대 등 신모델 출시 확대를 통해 판매 활성화와 더불어 재무구조 개선을 통한 경영정상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KGM은 "이번 감자 결정은 결손금 보전 및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것으로 향후 재무 건전성 확보를 통해 신용도 상승효과와 투자 유치 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를 통해 앞으로 친환경차 라인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미래 모빌리티 기업으로 성장 발전해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
▲ 싱가포르항만공사(PSA)에 따르면 투아스 메가 포트(Tuas Mega Port)에서 2022년 9월부터 공식적으로 연 이래 누적 1000만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가 처리됐다[출처=PSA 홈페이지]2025년 2월25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 싱가포르의 투아스 메가 포트는 총 4단계의 절차로 개발해 2040년 완전자동화 항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말레이시아 YTL 커뮤니케이션즈는 불리쉬 에임 그룹과의 합작투자사업을 통해 광섬유 인프라를 개발하며 국내 디지털 혁신을 이끈다.◇ 싱가포르항만공사(PSA), 투아스 메가 포트(Tuas Mega Port)에서 누적 1000만TEU가 처리돼싱가포르항만공사(PSA)에 따르면 투아스 메가 포트(Tuas Mega Port)에서 2022년 9월부터 공식적으로 연 이래 누적 1000만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가 처리됐다.현재는 11개의 침상이 운영되고 있다. 총 4단계의 절차로 개발되고 있으며 2027년 1단계가 완료됐을 때 21개의 침상과 연간 2000만TEU를 처리할 수 있다. 2040년까지 완전자동화 항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2024년 싱가포르 내 항구에서의 선박 수송량은 31억1000만 톤(t)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 30억9000만t과 비교해 0.65% 증가해 상하이 다음으로 가장 활발한 컨테이너항으로 거듭났다.◇ 말레이시아 YTL 커뮤니케이션즈, 불리쉬 에임 그룹과 광섬유 인프라 개발 합작 투자 사업 실시말레이시아 YTL Power International Bhd의 자회사 YTL 커뮤니케이션즈(YTL Communications Sdn Bhd)는 불리쉬 에임 그룹(Bullish Aim Group)과 조호르 주에서 광섬유 인프라를 개발하고자 합작 투자 사업을 실시한다.2025년 1분기부터 조호르 주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해 인프라 중복 투자를 줄인다. 저렴하지만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 기승으로 하여금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5G 서비스 등 다양한 기술을 이바지한다.참고로 YTL 커뮤니케이션즈는 모바일 및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 '예스(Yes)'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5G 서비스의 선두주자다.
-
2025-02-20▲ 엔씨소프트, 리니지 리마스터, PC방 전용 이벤트[출처=엔씨소프트]㈜엔씨소프트(공동대표 김택진, 박병무, 이하 엔씨(NC))에 따르면 2025년 3월19일(수)까지 PC 온라인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리니지 리마스터(이하 리니지)’ PC방 이벤트를 진행한다.이용자는 3월19일까지 PC방에서 리니지를 즐기고 다양한 게임 아이템을 받을 수 있다. 추첨으로 선정된 100명의 이용자에게는 ‘스페셜 후드티’도 선물한다.이용자는 PC방 주간 접속 기록에 따라 던전 입장 아이템(열쇠), 성물 강화 이벤트 재료(고대의 운석 조각)를 보상으로 얻는다.이벤트 전체 기간 누적 플레이 시간으로 성장 지원 아이템 ‘엘릭서(EXP)’도 최대 20개까지 획득 가능하다. 엔씨(NC)는 2025년 1월 이용자 소통 방송에서 약속했던 ‘스페셜 후드티’를 제작했다.이벤트 기간 PC방 누적 플레이 20시간마다 응모권을 제공한다. 이용자는 최대 4회 응모할 수 있으며 당첨자는 4월9일 발표한다. PC방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리니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리니지 장정관 사업실장은 “지난 오프라인 행사와 라이브 방송에서의 약속을 지키고자 ‘스페셜 후드티’를 제작했다"며 "앞으로도 이용자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기울이고 소통하며 리니지를 서비스하겠다"고 말했다.
-
2025-02-10▲ GS25 ‘쫀득모찌롤’ 5종 상품[출처=GS리테일]GS리테일(대표이사 허연수)에 따르면 운영중인 편의점 GS25가 누적 판매 수량 5000만 개를 돌파한 메가 히트 디저트 ‘모찌롤’ 시리즈를 8년 만에 전면 리뉴얼했다.2017년 출시된 모찌롤은 편의점 디저트 대중화에 결정적 역할을 한 선두 주자로 평가받는다. ‘편의점 디저트’라는 개념조차 생소했던 시절, 국내 소비자들에게 편의점에서도 전문점 수준의 디저트를 만나볼 수 있다는 점을 각인시키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2025년 1월 말 기준 모찌롤 누적 판매 수량은 5000만 개에 달한다. 전 국민이 1개씩은 먹은 셈인데 세로 16센티미터(cm)를 기준으로, 일렬로 나열하면 약 8000킬로미터(km)로 서울에서 부산(약 400km)을 10번 이상 왕복할 수 있는 양이다.디저트 트렌드가 초고속으로 변하고 새로운 제품들이 빠르게 등장하는 와중에도 8년 간 연평균 600만 개 이상 판매되는 등 오랫동안 사랑받으며 업계 대표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했다.동기간 연령대별 모찌롤 구매 비중은 △10~20, 33.0% △30, 26.7% △40대 25.5% △50대 이상 14.8%로 분석됐다. 특정 연령대에 치우치지 않고 학생부터 직장인 그리고 시니어까지 폭넓은 소비층을 확보하며 편의점 디저트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했다.GS25는 이번 리뉴얼을 통해 더욱 업그레이드된 맛과 품질로 전 국민으로부터 받아온 관심과 성원에 보답한다는 방침이다.동시에 디저트 카테고리 경쟁력을 강화해 ‘편의점 디저트 명가’로서 입지를 굳힌다. 새롭게 선보이는 ‘쫀득모찌롤’은 상품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시트의 쫀득함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맛은 총 5종으로 진한크림치즈, 딥초코, 플레인, 얼그레이바닐라, 호지차카라멜 등이다. 얼그레이바닐라와 호지차카라멜은 이번 리뉴얼을 통해 처음으로 선보이는 플레이버다.GS25는 최근 잘파세대 사이에서 ‘차(tea)’ 맛 디저트가 인기를 얻음에 따라 출시를 결정했다. 가격은 5종 모두 3800원이다.최원필 GS리테일 디저트 MD는 “편의점 디저트의 대중화를 이끌며 전 국민으로부터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모찌롤이 맛과 식감을 한층 개선해 새롭게 탄생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차별화 디저트 상품을 운영함으로써 편의점 디저트 시장 전체 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을 다하며 디저트 명가로서 입지를 다질 것이다”고 말했다.
-
▲ BNK금융그룹 본점[출처=BNK금융그룹]BNK금융그룹(회장 빈대인)에 따르면 2024년 그룹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이 8027억 원으로 전년도 1629억원 대비 25.5% 증가했다.이자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이익 등 비이자이익 증가 및 PF충당금 등 대손비용 감소로 전년 대비 당기순이익이 증가했다.은행 부문 당기순이익은 771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356억 원 증가했다. 이중 부산은행은 764억 원, 경남은행은 592억 원을 각각 늘어났다.비은행부문은 전년 대비 249억 원 증가한 1679억 원 (캐피탈 +182억 원, 투자증권 +52억 원, 저축은행 +8억 원, 자산운용 +14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보였다.한편 그룹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18%로 전분기와 동일한 수준이고 연체율은 0.94%로 전분기대비 4bp 개선됐다. 하지만 향후 경기둔화에 따른 부실 증가가 예상되므로 지속적인 건전성 관리를 할 예정이다.또한 그룹 자본적정성 지표인 보통주자본비율은 적정이익 실현과 적극적인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로 기말 배당에도 불구하고, 전분기대비 4bp 상승한 12.35%를 보였다.보통주자본비율의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향후 신용리스크 확대에 대한 대비와 주주환원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이날 이사회에서는 배당성향 26%, 주당 650원(중간배당금 200원 포함)의 현금배당을 결의했다. 당기순이익의 5% 상당인 400억 원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결정했다.BNK금융그룹 CFO인 권재중 부사장은 “당사에서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 따라 주주환원 확대를 위해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를 올해 상반기에만 지난해 연간 실시한 규모 (330억원)보다 더 많이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특히 “앞으로도 주당배당금을 안정적으로 확대하는 범위 내에서 자사주 매입·소각 비중을 최대화해 주주환원정책이 확대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