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다문화가정"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1990년대 중반부터 증가하기 시작한 북한이탈주민은 2024년 말 기준 3만2000여 명에 달한다. 자녀와 같이 입국하거나 국내에 정착한 이후 결혼해 자녀를 갖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이주배경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재난 안전교육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인식을 확인할 필요성이 높다고 판단한 이유다.중앙대 의회학과 ICT융합안전 전공 정상 교수와 서울대 김영 박사과정 학생이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이주배경청소년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Social Percep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Migrant Youth based on Big Data)을 연구한 배경이다. 논문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교육의 실시 및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지만 미흡다문화가정에 대한 재난 안전교육은 소방서를 중심으로 일부 지역에서 이뤄지다 현재는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소방서와 연계해 재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2014년 세월호 침몰사고, 2015년 전라남도 장성군 요양병원 화재 등 각종 대형 사고 발생 이후 국민의 안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국민안전교육진흥기본법」을 제정해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이 시행되고 있다.또한 재해위험도 감소를 위해 전국민 대상 적극적인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교육대상을 더욱 세분화하여 교육할 것을 주장한다.그러나 현장에서 안전교육은 유치원생과 초중고 학생 등 의무교육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교육 대상이 한쪽으로 편중돼 있는 실정이다.언어‧문화적 소통의 제약으로 재난약자로 분류되는 다문화가정이나 학교 밖 청소년이 포함되는 이주배경청소년은 교육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따라서 이주배경청소년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교육의 실시 및 지원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재해구호법」,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국민 안전교육 진흥 기본
-
수도권에 거주하는 젊은이들이 수상레저와 같은 레포츠를 위해 즐겨 찾던 곳이 경기도 가평군 대성리다. 북한강변에 조성된 야영장과 산책로는 청년 뿐 아니라 가족 단위의 나들이객에게도 적합하기 때문이다. 한 때 사시사철 관광객이 몰려들었던 곳이지만 현재는 과거의 영화를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쇠락했다.가평군은 경기도에 속해 있지만 강원도처럼 농업과 관광업이 발전했다. 풍부한 농산물 중 잣은 조선시대부터 유명한 가평군의 토산품으로 국내 생산량의 60%를 점유한다. 관광업이 활성화되며 2000년대 후반에 인구가 잠시 증가했다가 정체돼 있다.인구소멸 위험지역에서 탈피하기 위해 다양한 인구유입 정책을 펼치는 가평군의 미래가 밝은 것은 아니다. 6·1 지방선거에서 가평군수 후보자가 제시한 선거공약을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가 개발한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 모델을 적용해 평가해 봤다. ◇ 정치인과 공무원 출신이 각축 중역대 민선 가평군수는 이현직·양재수·이진용·김성기·서태원이다. 민선1·2기 이현직은 경기도청 지방공무원 출신으로 관선 27·32·33대 가평군수를 지내며 인지도를 높였다. 3선에 도전했으나 양재수에 밀려 아쉽게 낙선했다.3·4기 양재수는 3대 경기도의원을 지낸 후 1·2기 선거에 출마했으나 이현직에 밀려 꿈을 이루지 못했다가 삼수 끝에 당선됐다. 4기 재임 중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벌금형을 선고받아 군수직을 상실했다.4기 보궐·5기 이진용은 5·6대 경기도의원을 거치며 정치적 기반을 닦았다. 이진용은 재임 중 뇌물을 받은 것이 발각돼 이현직과 마찬가지로 불명예 퇴진했다.5기 보궐·6·7기 김성기는 가평군 공무원으로 33년을 근무한 후 정치인으로 변신해 성공했다. 8기 서태원은 김성기와 동일하게 가평군에서 다양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