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대한산업"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19-02-011876년 일본 제국주의는 강화도조약을 체결한 이후 조선의 이권을 침탈하기 시작했고 근대화라는 명분으로 각종 철도, 전기, 도로, 수도, 현대식 건물 등 산업인프라를 본격적으로 건설하기 시작했다.500년 동안 쇄국정책을 펼치던 조선이 1910년 망한 이후 일제가 만주지방을 본격적으로 침략한 1930년대 초까지 조선에 대한 인프라 투자를 많지 않았다.하지만 1932년 만주사변, 1937년 중일전쟁을 거치면서 지하자원이 풍부한 북쪽 지방에 대규모 산업시설, 남쪽은 식량수탈을 위한 인프라 등으로 체계적으로 건설했다.1950년 6〮25전쟁으로 남북한에 위치했던 산업시설, 인프라 대부분이 파괴됐고, 남한 지역은 미국과 유엔의 원조사업으로 기초 인프라는 복구하는 수준에 머물렀다.정부는 ~80년대 중화학공업, 1990년대 전자와 조선 등에 대한 투자를 단행하면서 대규모 공단을 곳곳에 건설했다. 1980년대 이후 경제성장에 따른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주택, 도로, 전기, 가스 등 기초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늘어났지만 한국식의 ‘대충 대충’과 ‘빨리 빨리’라는 원칙이 적용되면서 부실의 씨앗이 심겨졌다.결국 부실과 가용수명이 지난 자재로 인해 원시적인 안전사고가 끊임 없이 발생하고 있지만 ‘임기응변’식 땜질 처방에 급급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선진국들이 안전을 염두에 두고 건물과 설비를 설계할 때 한국은 대충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겉치레 치장에 중점을 뒀다. 따라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이상 급증하는 안전사고를 막을 방법은 없다고 판단된다. ◇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 손실이 더 위험해대한산업안전협회는 ‘사업장의 각종 위험공정 및 설비 등에 대한 안전진단을 통해 잠재된 유해〮위험성과 유해인자를 도출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효과적인 개선대책을 제시하는 등 기술적인 지원을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산업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있다.작업조건 및 작업방법에 대한 평가,
-
2013-04-29한라그룹(이하 한라)은 현대그룹 창업주 정주영 회장의 동생인 정인영 회장이 1962년 설립한 현대양행에서 출발한다. 한라는 외환위기 당시 한라중공업에 대한 무리한 지원으로 부도처리 되었고, 만도기계를 매각한 후 한라건설을 중심으로 회생했다.2008년 창업자인 정인영 회장이 애지중지하던 만도를 재매입하면서 그룹의 위상을 되찾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2013년 4월 12일 한라건설이 유상증자로 자금을 확보하기로 결론을 내리고, 만도가 자회사인 마이스터를 통해 출자하기로 결정하면서 부실계열사 지원에 대한 투자자의 반발이 거세다.많은 투자자들은 한라가 1998년의 잘못된 전철을 답습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순환출자로 유동성 위기를 극복하려고 하지만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지 의문이다. ◇ 한라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한라는 국내∙외 총 58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계열사는 표1와 같이 자동차, 건설/유통/항만, 투자/교육/스포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한라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자동차부문 계열은 만도, 한라스택폴,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 만도브로제, 만도신소재 등이 있다. 만도는 현대양행의 기계사업 분야가 독립하여 세운 만도기계에서 출발해 외환위기 때 매각되었으나, 2008년 한라건설컨소시엄을 형성하여 재인수했다. 주요사업은 제동장치, 현가장치, 조향장치 등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여 납품하는 기업이다.한라스택폴은 2008년 한라그룹과 캐나다 STackpole사가 합작해 설립했고, 트랜스미션, 캐리어, 스피드센서, 엔진 등의 자동차부품을 생산한다.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는 2008년 만도와 독일의 Hella가 합작한 ECU류, Sensor류, DAS류 등의 자동차용 전자부품을 생산한다.만도브로제는 전기자동차 및 자동차용 전기모터 제조를 위해 2011년 만도와 독일의 Brose사가 제휴해 설립한 회사다. 만도신소재는 플라스틱 원료의 제조와 자동차부품을 제조하는 소재전문회사다. 기업의 매출규모/이익 등을 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