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디지털플랫폼"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9-27▲ 유큐브 로고[출처=유큐브]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 전문 기업 유큐브(대표 김정범)에 따르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디지털플랫폼정부 통합플랫폼 구현 사업’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이번 사업은 약 100억 원 규모로 유큐브와 KT, 기타 컨소시엄 기업들로 구성돼 8개월(240일) 동안 시스템 구축을 마칠 예정이다.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과 관련해 범정부 차원의 초거대 인공지능(AI) 도입 선언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현재 행정업무 효율화를 위한 첫 번째 대상으로 공무원 약 72만 명이 사용하는 전자문서시스템 ‘온나라’의 문서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사업의 디지털플랫폼 기반의 AI 부분에 첫 연계 적용 사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디지털플랫폼정부 통합플랫폼(이하 DPG허브)'은 분산된 민간·공공의 디지털 자원을 한곳에 모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민간 클라우드 기반 통합 플랫폼이다.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정보 서비스 제공은 물론 국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행정서비스를 통합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의 정부 혁신 프로젝트다.이번 DPG허브는 ‘디지털 자원등록저장소’를 비롯해 디지털 파이프라인 구축·연계, DPG 통합인증 구현 등의 기능을 탑재해 정부가 단순히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 역할을 뛰어넘어 국민·기업·정부가 함께 협력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디지털 자원등록저장소’는 디지털 자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선순환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의 비효율적인 데이터 거래 환경을 넘어 디지털자원 경제 생태계(시장)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누구나 데이터·서비스를 창출해 DPG허브의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하면 다른 사람들이 무상 또는 필요 시 일부 비용을 지불하는 유상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사업 이전 유큐브는 ‘범정부 초거대 AI 공통기반 구현 및 AI 기반 디지털 행정혁신 체계 수립’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사업을 수행해왔다.또한 유큐브는 국내 주요 공공기관의 대형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사업 확대를 가속화하고 있다.최근에는 550억 규모의 공공분야 농업농촌정보시스템 구축 사업, 행정기관 공동활용 통합채용시스템 구축(2-3단계) 사업 및 2024년 재난·안전정보시스템 개편(재난관리24, 안전24 구축) 사업 등 차세대 개발 사업을 다수 수주했다.고품질의 IT 서비스를 제공해 사업 수행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에 따라 유큐브의 매출과 영업이익도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돼 IPO를 준비하는 유큐브의 앞날이 더욱 기대되고 있다.김정범 유큐브 대표는 “유큐브는 다수의 공공분야 인프라, 소프트웨어의 안정적인 구축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눈부신 성장을 거듭해왔다. 앞으로도 정부 부처 서비스가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2017-04-26▲ 싱가포르 정부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싱가포르 항만청(MPA)에 따르면 4월 해당청에서 개발 중인 신규 통관시스템 디지털플랫폼을 'SEA Asia 2017' 박람회에서 소개할 예정이다.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플랫폼은 총 2가지다.하나는 통관서류 통합플랫폼으로 행정시스템을 단일화했다. 다른 하나는 항만물류 주체인 선주, 화주, 물류상인, 정부기관 등을 원스탑(one-stop) 플랫폼으로 모두 연결시켜 상호·공개화시킨 것이다.해당청은 오는 4월 25~27일 마리나베이샌즈에서 개최되는 조선해양박람회'SEA Asia 2017'에서 해당 플랫폼을 소개할 예정이다. 통관, 하역 등 항만업무와 IT 접목이 주는 효율성을 강조할 계획이다.참고로 해당청은 2016년부터 항만사업 발전을 위해 항만시설 현대화, 시스템 효율화, 연구소 설치 등 지속적인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아시아 대표 물류허브다운 진취적인 자세라고 판단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