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디지털 카메라"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LG이노텍 CES 2025 온라인 전시관 ‘LG Innotek Virtual Show Room’ 티저 이미지[출처=LG이노텍]LG이노텍(대표 문혁수)은 내년 CES(Consumer Electronics Show·국제 전자제품 박람회) 2025’ 참가해 미래 모빌리티 혁신 부품 및 신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웨스트홀에 미래 모빌리티 단독 테마로 전시 부스 조성내년 1월 7일부터 나흘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CES 2025에서는 미래 유망산업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혁신 기업들의 다양한 신제품 및 기술이 대거 전시될 예정이다.모빌리티 분야는 CES가 가장 주목하는 산업군으로 비중이 매년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전시 기간 동안 지속가능하고 연결된 미래를 열기 위해 글로벌 완성차∙전장 기업의 혁신기술을 만나볼 수 있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웨스트홀(West Hall)에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다.LG이노텍도 2024년과 동일한 위치인 웨스트홀 초입에 오픈 전시 부스를 마련할 계획이다. 예년과 달리 CES 2025에서는 미래 모빌리티 단독 테마로 전시를 기획했다.LG이노텍 관계자는 “CES를 차량 전장 및 센싱 부품 관련 신규 사업 기회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로 적극 활용하자는 취지로 모빌리티 중심의 선택과 집중 전략을 전시 구성에 반영했다”고 말했다.◇ 車센싱∙통신∙조명 등 핵심부품 41종 전시…UX 기반 스토리텔링 연계이번 CES 2025에서는 LG이노텍의 독보적 센싱, 통신, 조명, 제어 기술력이 돋보이는 미래 모빌리티 부품 41종이 실물로 공개된다. 그 중 핵심 제품 15종이 전시부스 하이라이트인 미래차 목업(Mockup)에 전시된다.주요 제품으로는 이번 CES 2025에서 최초 공개되는 차량 실내용 ‘고성능 인캐빈(In-Cabin) 카메라 모듈’ 및 고성능 라이다(LiDAR)’ 등 AD(자율주행)∙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용 센싱 부품이다.
-
2024-07-24▲ 건설신기술 지정 현황[출처=국토교통부]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에 따르면 ’24년 상반기 총 12건을 건설신기술로 지정해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전망이다.이번에 지정된 건설신기술에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적용한 자율주행 드론시스템과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외관 조사 기술 △레이저와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처리기반 교량변위 측정기술 △출입구 유입 미세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에어샤워 시스템 기술 등 3건의 스마트 건설신기술이 포함됐다.건설신기술 지정 제도는 민간의 기술혁신을 통해 건설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건설산업의 도약과 성장을 유도하고자 ’89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20년부터는 IT 등 첨단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를 위해 스마트 건설기술의 신기술 지정 심사 시 가점(첨단기술성 항목 10점)을 부여하고 있다.그 결과 ‘20년(3건)→‘21년(2건)→’22년(4건)→‘23년(8건)→’24년上(3건) 등 현재까지 총 20건의 스마트 건설기술이 신기술로 지정됐다.디지털트윈 기술을 적용한 “자율주행 드론시스템”과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외관 조사 기술』은 드론 점검 자동화 기술이다.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파손, 철근노출 등의 손상을 분석하는 외관조사 기술로 시설물 안전관리 및 사고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율주행 드론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기반 시설물 손상분석 기술[출처=국토교통부]레이저와 카메라를 이용한 비접촉 무타겟 영상 처리기반 교량변위 측정기술은 레이저와 영상을 이용해 안전점검 시 교량 처짐을 측정하는 기술이다.교량 하부에 하천이나 도로, 철도 등의 지장물이 있는 경우에 활용이 가능해 교량 안전관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입구 유입 미세
-
일본 일반사단법인 카메라영상기기공업회(一般社団法人カメラ映像機器工業会)에 따르면 2020년 12월 디지털 카메라 출하 대수는 84만5621대로 집계됐다. 금액은 458억4163만4000엔으로 조사됐다.2020년 11월 순 출하대수인 104만371대, 출하 금액인 541억2511만2000엔과 대비해 대수는 18.7%, 금액은 15.3% 각각 하락됐다.글로벌 시장에서 출하 대수와 금액 규모는 11월과 대비해 감소했다. 내수 시장에서 미러리스 카메라 등은 11월 대비 상향하며 전체 월별 대수와 금액 부문 모두 연간 2위를 기록했다. ▲일반사단법인 카메라영상기기공업회(一般社団法人カメラ映像機器工業会) 로고
-
일본 카메라영상기기공업회(カメラ映像機器工業会, CIPA)에 따르면 2018년 2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총 출하대수는 134만995대로 전년 동월 대비 73.4%를 기록했다.동월 교환렌즈 총 출하대수는 134만6487대로 전년 동월 대비 102.0%로 집계됐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출하금액은 508억7465만3000엔, 교환렌즈의 출하액은 296억3174만7000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90.4%, 101.4%를 기록했다.또한 일본 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교환렌즈의 출하대수는 각각 24만7960대, 18만2849대로 집계됐다. 전체 출하금액은 77억648만6000엔, 45억3157만8000엔을 각각 기록했다.▲ Japan_CIPA_Logo▲카메라영상기기공업회(カメラ映像機器工業会, CIPA) 로고
-
일본 올림푸스(Olympus)는 태국에서 미러리스 디지털 일안카메라 PEN시리즈의 최신 기종 'PEN E-PL8'을 발표했다. 라인업 확충으로 일안카메라 시장의 점유율을 현재 16%에서 향후 1년안에 2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이번 모델은 셀프카메라 기능과 스마트폰과의 연계를 강화했다. 또한 태국에서 SNS에 동영상을 게시하는 것이 인기를 몰고 있어 동영상 편집기능을 향상시켜 출시했다. 사용의 편의성을 강조했고 여성을 대상으로 홍보를 늘리고 있다.카메라의 색상은 화이트, 블랙, 브라운 3가지이며 가격은 바디와 14~42미리의 EZ렌즈가 2만4990바트, 바디와 더블줌이 2만9990바트이다. 판매는 9월 말부터 시작될 예정이다.올림푸스 태국지사에 따르면 2016년 태국의 디지털 일안카메라 시장은 전년 대비 47% 증가한 25만 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중 미러리스 일안카메라는 80%,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DSLR)는 2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시장확대의 주요인은 경제회복으로 인해 여행의 수요가 증가된 것이 여행의 추억을 남기기 위한 카메라의 수요를 뒷받침한 것이다. 올림푸스 시장의 확대에 맞춰 이미 홍보를 위해 1억 바트를 투자했다.올림푸스는 'PEN E-PL8'를 발표함과 동시에 같은 미러리스 디지털 일안카메라 OM-D시리즈의 최신 기종 'E-M1 MarkII'과 고급 망원 줌렌즈 등을 올해 안에 발매한다고 발표했다.2016/17년 올림푸스 태국법인의 매출은 14억 바트로 전년 대비 2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림푸스는 경영난으로 어려움에 처했지만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면서 사업정상화를 시도하고 있다.▲올림푸스 PEN시리즈 최신 기종 'PEN E-PL8' (출처 : 홈페이지)
-
일본 올림푸스(Olympus)는 태국에서 미러리스 디지털 일안카메라 PEN시리즈의 최신 기종 'PEN E-PL8'을 발표했다. 라인업 확충으로 일안카메라 시장의 점유율을 현재 16%에서 향후 1년안에 2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이번 모델은 셀프카메라 기능과 스마트폰과의 연계를 강화했다. 또한 태국에서 SNS에 동영상을 게시하는 것이 인기를 몰고 있어 동영상 편집기능을 향상시켜 출시했다.
-
태국 카메라판매업체인 빅카메라(Big Camera)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 순이익은 4억1900만 바트로 전년 동기 대비 19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젊은이들이 디지털 카메라를 선호하고 있으며 사진인쇄사업도 호황을 맞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매출액은 12억8800만 바트로 전년 동기 대비 3억400만 바트, 30% 늘어났다.▲빅카메라 홈페이지
-
2016-07-01일본 전자기기업체 카시오(カシオ)는 2016년 유럽에서 디지털카메라의 판매를 재개하기로 결정했다.지금까지 미국과 유럽에서의 판매를 대폭 축소했으나 카메라와 컨트롤러를 분리하는 'FR시리즈‘의 투입으로 독자적인 시장을 구축할 계획이다.해당제품은 카메라를 분리하여 자전거, 낚시대 등에 장착해 다양한 구도로 촬영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특히 유럽은 야외 레저의 인기가 높아 온라인을 중심으로 레저체험과 유명 인사들이 촬영한 사진을 공개해 홍보활동을 진행한다. 이에 독일을 시작으로 유럽에서의 판매지역을 확대한다.당사는 디지털카메라의 시장이 축소되는 가운데 수요변화에 맞춰 FR을 활용한 핸드프리를 목표로 개발한다.▲EX-FR100 이미지(출처 : 카시오)
-
일본 전자기기업체 카시오(カシオ)는 2016년 유럽에서 디지털카메라의 판매를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미국과 유럽에서의 판매를 대폭 축소했으나 카메라와 컨트롤러를 분리하는 ‘FR시리즈’ 투입으로 독자적인 시장을 구축할 계획이다.
-
[일본] 전자기기제조업체 캐논, 2003년~2015년 13년 연속 렌즈교환식 디지털카메라 세계점유율 1위 차지...CMOS센서·영상엔진·교환렌즈 등 독자적으로 개발해 탄탄한 라인업 구축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