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르네사스"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반도체기업인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반도체기업인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에 따르면 매년 4월에 실시하는 정기 승진 인사를 10월로 연기할 계획이다.노동조합과 2024년 3월 초 정기 승진 인사를 연기하기로 합의했다. 반도체 시황의 회복이 늦어지고 있어 인건비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다.절감한 인건비를 미래를 위한 투자 등에 활용할 방침이다.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는 2023년 11월 이후 국내외에서 인원을 줄이고 있으며 구조조정을 하는 직원의 50%는 해외에서 근무 중이다.2023년 12월 마감 연간 연결순이익은 3370억 엔으로 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과거 최고 기록을 갱신해 연간 배당금은 28엔으로 확정했다.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의 전신인 NEC일렉트로닉스가 2005년 3월기에 배당금을 지급한 이후 19년 만에 처음 배당을 2배로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
▲ 일본 반도체기업인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 빌딩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반도체기업인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에 따르면 2024년 4월부터 야마나시현 카이시에 있는 공장을 재가동할 계획이다.해당 공장은 2014년 수요가 감소하고 경영 합리화를 위해 폐쇄했다. 하지만 2022년부터 반도체 생산거점으로 재활용하기 위해 900억 엔을 투자해 클린룸 등을 정비했다.새로 생산하려는 반도체는 전기자동차(EV)용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파워반도체다. 미국 정부가 중국의 반도체산업에 대한 제재를 가하면서 일본에서 생산하는 반도체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미국과 일본은 중국에 대항하기 위해 반도체 동맹을 서두르고 있다. 이른바 칩4 동맹이라 부르는 연합체에 미국, 일본, 한국, 대만이 참여 중이다.다른 업체들도 반도체산업의 회복을 위해 공장을 재정비하고 있다. 미츠비시전기(三菱電機)는 2022년 구마모토현에 있는 액정패널 제조공장을 전용해 파워반도체를 생산할 방침이다.로옴(ローム)은 태양광패널의 생산을 종료한 미야자기현의 폐공장을 매입했다. 2024년 중 파워반도체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다.
-
일본 반도체제조업체인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는 2016년 9월 무선 전기충전용 소형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웨어러블 단말기 및 보청기에 대한 탑재를 상정한 것으로 크기를 기존 경쟁품의 절반정도인 가로*세로 3밀리미터로 억제했다. 소형반도체의 개발로 다양한 소형 전자기기에 무선충전기능을 탑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일본 반도체업체인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는 2016년 8월 미국 동종업체인 인터실의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인수금액은 3000억엔 규모로 상정하고 있으며 이르면 이번 달 안에 기본 합의를 완료할 계획이다. 전력반도체에 강점을 가진 인터실을 산하로 두고 자동운전 등과 관련해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선행하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
일본 기계제조업체인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는 2016년 8월 통신기기용 안테나에 사용하는 '마이크로파디바이스'사업에서 철수한다고 발표했다.대만업체와 경쟁이 심화되면서 기술 우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미약한 전파를 증폭하는 아날로그 반도체 사업으로 연간 매출액은 50억엔 정도이다.제품개발을 중단하고 2년 후 생산활동을 정지한다. 아날로그 반도체에서 포토 다이오드 등의 빛디바이스 사업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일본 르네사스테크놀로지의 자료에 따르면 차량용 반도체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4~5건의 M&A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또한 하반기에는 차량용 마이크로 시장 점유율 40% 달성 및 아날로그 반도체 및 파워반도체 분야를 강화해 나가기로 결정했다. M&A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 나가고 중국 시장에 본격 진출할 예정이다.▲ Japan_Renesas_Homepage.jpg▲르네사스 홈페이지
-
일본 전자기기업체 르네사스테크놀로지(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는 2016년 헬스케어 및 의료용 반도체 시스템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2020년까지 의료분야의 매출 150억 엔으로 지난해에 비해 2배 확대할 목적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