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머크"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1-10▲ 삼성바이오로직스, '협력사 상생협력 데이' 개최[출처=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에 따르면 2025년 1월9일 오후 인천 송도국제도시 경원재 호텔에서 주요 협력사들과 동반성장 및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상생협력 데이’를 개최했다.이번 행사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김동중 상생협력센터장(부사장)과 경영진, 글로벌 공급사인 아반토(Avantor), 싸이티바(Cytiva), 머크(Merck), 싸토리우스(Satorius), 써모 피셔(Thermo Fisher) 등 주요 협력사의 주요 경영진 및 실무자 등 총 50여명이 참석했다.이날 행사에서는 2024년도 주요 성과를 돌아보고 2025년 전략을 공유하며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시간을 가졌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행사를 통해 올해 주요 추진 목표 달성과 가격·품질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협력사들의 협조가 필수적임을 강조했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협력사와의 원활한 협조를 위해 이들 기업의 송도국제도시 유치에도 적극 힘써왔다. 그 결실로 2016년 머크의 ‘M랩(M Lab)’ 및 싸이티바의 ‘패스트트랙(Fast Track) 센터’ 개소를 시작으로 2019년에는 머크의 ‘생명과학 운영본부’ 설립, 2021년 써모 피셔의 ‘바이오 프로세스 디자인센터(Bioprocess Design Center)’ 개설 등이 성사됐다.이어 2024년에는 싸이티바가 송도에 제조시설을 갖춘 ‘코리아 이노베이션 허브(Korea Innovation Hub)’의 문을 열었고 싸토리우스도 대규모 생산·연구시설인 ‘송도 캠퍼스’ 건설을 진행 중이다.이들 글로벌 기업이 속속 송도에 입성하면서 이미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생산 역량을 확보한 송도 바이오클러스터 내의 바이오 생태계를 아우르는 협력을 통한 시너지 확대가 기대된다. 또한 고용 창출 등 경제 활성화 및 원부자재
-
세계 최대 제약회사 중 하나인 화이자의 2022년 매출액은 1003억3000만달러(약 125조3800억원)로 전년 대비 23%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코로나19 백신인 코미나티(Cominaty)와 치료제인 팍스로비드(Paxlovid)의 매출이 호실적을 견인했다. 1894년 설립된 화이자는 식품첨가물을 제조하다가 2차 세계대전 때 페니실린을 대량으로 생산하며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글로벌 제약산업은 존슨앤드존슨, 화이자. 머크 등이 주도하고 있으며 이들 기업은 신약 개발에 막대한 규모의 연구개발(R&D)비를 투자한다.인간이 지구에 살기 시작한 이후 가장 화려한 호황기를 누리고 있는 인류가 질병을 치료하고 생명을 연장하는 약품을 구입하는데 돈을 아까지 않기 때문이다.피 한 방울로 수십 종의 질병을 진단할 기술을 개발했다고 주장한 미국 바이오기업 테라노스(Teranos)는 실리콘밸리의 초혁신 기업으로 꼽혔다.창업자인 엘리자베스 홈즈는 2003년 테라노스를 설립한 이후 기업 가치를 90억달러에 달할 정도로 키웠다가 범죄자로 전락했다. 테라노스의 흥망과 내부고발을 분석해 보자.▲ 테라노스의 내부고발 진행 내역 [출처=국가정보전략연구소(iNIS)] ◇ 언론의 우호적 보도로 막대한 투자금 유치해 고속 성장‘여자 스티브 잡스’라는 별칭으로 실리콘밸리의 가장 성공한 여성 억만장자로 꼽히던 홈즈는 2015년 10월 월스트리트 저널(WSJ)의 존 캐리루(John Carreyrou)가 취재를 시작하며 추악한 거짓말의 전모가 낱낱이 드러났다. 내부고발자는 타일러 슐츠(Tyler Shultz)와 에리카 정(Erika Cheung) 2명이다.먼저 홈즈가 기술을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홈즈는 2003년 실리콘밸리의 무수한 최고경영자(CEO)를 배출한 스탠포드대 화학과에 입학한 후 곧바로 자퇴한다. 학교를 그만둔 후 2004년 테라노스를 창업하며 본격적으로 사업가로 변신했다.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
▲ 일본 제약회사인 다이이치산쿄(第一三共)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제약회사인 다이이치산쿄(第一三共)에 따르면 난소암 대상의 항암제 실용화를 위한 임상시험을 시작했다. 항체약물복합체(ADC) 기술을 활용한 신형 함암제이며 부작용 억제를 검증할 방침이다.미국 제약회사인 머크와 3단계로 진행되는 임상시험 중 2~3단계에 해당하는 제2상, 제3상을 공동을 진행한다.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와 북미 등에서 약 650명이 참여한다.제2상에서 유효성과 안정성을 평가하고 제3상을 향해 권장되는 용량을 결정한다. 제3상에서는 다른 치료제를 투여한 그룹과 비교한 효과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표준 제재에 내성을 가진 암에 대한 유효한 방법은 적기 때문에 새로운 치료의 선택지를 확립하는데 연구개발(R&D)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참고로 ADC는 암세에 작용하는 항체에 함암제를 부가한 것이다. 약을 직접 암세로로 옮겨 전신에 미치는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
2020-08-07미국 대사체학(metabolomics)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메타보론(Metabolon)에 따르면 독일 다름슈타트에 위치한 바이오제약 기업인 머크(Merck KGaA)와 다년간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이 계약은 2020년 8월 3일부터 유효하다. 메타보론은 치료 분야에서 임상 및 중개 연구(clinical & translational research) 프로젝트를 지원할 방침이다.초기 단계의 약물개발 프로그램에서 새로운 발견을 가능케 하는 실행 가능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메타보론의 대사체학은 세포 내 생화학적 활동을 반영하므로 다른 기존 기술보다 치료와 시스템의 실시간 상호 작용을 더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이를 통해 작용 메커니즘(MOA)을 명확하게 하고 약력학, 효능 및 반응 바이오 마커를 식별하여 의사 결정을 가속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이와 같은 협력을 통해 약물 개발 파이프 라인의 속도와 수율을 모두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머크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이엠디세로노(EMD Serono)로서 바이오 의약품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USA-metabolon-biotechology ▲ 메타보론(Metabolon)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8-09-18뉴질랜드 비정부단체 옥스팜(Oxfam)에 따르면 제약회사들이 연간 $NZ 2100만달러의 세금을 속이고 있다고 주장했다.제약회사의 글로벌 이익률과 뉴질랜드 매출액에 대한 이익률을 계산할 경우에 이익을 낯춰 신고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는 의미이다.하지만 국세청은 옥스팜(Oxfam)의 계산방식이 잘못된 것이라고 반박한다. 주요 4대 제약기업인 애보트(Abbott), 존슨&존슨(Johnson & Johnson), 머크(Merck), 화이자(Pfizer) 등이 공격의 대상이다.제약회사들은 세금이 낮거나 조세회피 국가로 이익을 이전하는 방식으로 58억달러에 달하는 세금을 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미국이 제약회사의 조세회피 전략으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으며 연간 세금손실액은 23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7년 기준 개발도상국가들도 $US 1억1200만달러의 세금손실을 입을 것으로 판단된다.▲시중에 판매되는 다양한 제약회사의 약품(출처 : 정부 홈페이지)
-
[인도네시아] 독일 제약·화학회사 머크(Merck), 2016년 인도네시아 설비투자액 전년 대비 38% 축소할 계획
-
2016-03-16일본 다이이치산쿄, 미국 제약회사 머크와 항응고제 리쿠시나 판매 제휴... 판매거점이 없는 불가리아 등 북유럽 13개국이 대상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