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무선충전"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미국 차량무선충전기술 개발업체인 헤보(HEVO Power)에 따르면 공공 플러그를 통해 전기자동차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2017년말 기준 전세계적으로 58만2000개에 달하는 차량용 무선충전기가 보급됐지만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2018년말까지 추가로 30% 정도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려면 최소한 1개의 전기 플러그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차량과 충전기 사이에 6인치치가 떨어진 상태에서 스마트폰 앱을 활용해 충전할 수 있는 기기를 개발했다.향후 20년 동안 야외 자동차도로, 공공장소, 주차장,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서 수천만대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해야 하지만 현재의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무선충전 방식이 실용화되면 충전을 위해 전기차가 장시간 마냥 기다리는 불편함은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헤보(HEVO Power)는 관련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현재까지 $US 450만달러 투자금을 유치했다.▲헤보(HEVO Power) 로고
-
2017-07-25홍콩 정부계 산업지원기관인 홍콩생산력촉진국(HKPCl)에 따르면 전기자동차(EV)용 무선 충전장치를 개발했다. $HK 200만달러를 투입해 1년 6개월만에 개발했으며 1쌍 도입시 약 $HK 3만달러의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EV와 주택의 상호 급전시스템을 개발해 비상 시 EV에서 주택으로 급속충전이 가능해졌다. 도입비용은 8만~9만달러의 비용이 발생한다.정부는 상용화 까진 EV는 1년이내, EV-주택간 급전은 1~1년 6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Hongkong_HKPC(Hong Kong Productivity Council)_Homepage 1▲홍콩생산력촉진국(HKPC) 홈페이지
-
일본 반도체제조업체인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는 2016년 9월 무선 전기충전용 소형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웨어러블 단말기 및 보청기에 대한 탑재를 상정한 것으로 크기를 기존 경쟁품의 절반정도인 가로*세로 3밀리미터로 억제했다. 소형반도체의 개발로 다양한 소형 전자기기에 무선충전기능을 탑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