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물류센터"으로 검색하여,
1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3-22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 이하 국표원)에 따르면 한국이 주도한 국제표준화기구(ISO)내 도시물류(Urban logistics) 기술위원회 설립이 최종 확정됐다.도시물류 기술위원회는 전 세계적인 도시화와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이 주도해 왔으며 프랑스, 독일 등 주요 국가의 지지를 받아 최종 확정됐다.세계 각국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상거래가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유통·물류산업에서 경제성, 환경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물류산업 주도를 위해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한국이 발 빠르게 기술위원회 설립을 추진한 이유다. 따라서 국표원은 `23년 1월 국제표준화기구(ISO) 중앙사무국에 신규 설립을 제안했다.전체 회원국 대상 의견 수렴과 설득을 거쳐 지난해 10월 표준화 총회 투표에서 통과됐다. 이후 세부 사항 논의를 거친 결과 3월8일 개최된 제89차 ISO TMB(기술관리이사회) 회의에서 설립이 승인됐다.통상 기술위원회 신설 제안국이 해당 위원회의 의장 및 간사 등 국제 임원을 수임하게 되므로 우리나라가 도시물류 국제표준화 활동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도시물류(Urban logistics)란 도시 내에서 교통체계, 창고 시설 등 인프라를 활용하여 상품을 소비자에게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주요 표준화 분야는 △도심형 공동물류센터, 무인매장의 보관, 운송, 유통 분야 △소비자참여 물류(폐기물, 반품 등 역방향 물류) △기술 평가 및 측정, 제품 검사 및 시험방법, 서비스 표준 등이다.다음은 도심물류 기술위원회에 관한 국표원에서 배포한 붙임 내용으로 상세한 내용은 국표원 홈페이지를 참조하면된다.□ 도심물류 기술위원회 개요○ 기술위원회 설립·운영 목표 • 도시 내에서 상품이나 자원 등을 효율적으로 운송, 보관, 분배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서비스. 상품이나 자원을 소비자에게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공급 ○ 적용 범위 • 도시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발전을 위한 도시물류 기술 및 서비스로 도시물류활동을 위한 표준화된 용어, 기능, 평가, 서비스모델, 수송, 보관 등 도심공급망 기술 등을 포함▲ [그림 1. 도시물류 표준화의 영역][출처=국가기술표준원] ○ 주요 표준화 분야 : 아래 각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로 확장 • 도시물류 기술: 도심형 공동물류센터 (micro fulfillment center), 보관 시스템(self storage, 택배 보관함 포함), 라스트 마일 배송, 무인매장 (스마트스토어, 다크 스토어) 등 효율적인 보관, 운송, 유통을 위한 기술 • 물류 서비스: 경제, 환경, 사회적으로 책임있는 도시 물류 계획 및 실행을 위한 서비스 (예: 소비자참여 물류, 도심 공동 물류, 역(폐기물, 반품)물류 등) • 평가 및 측정: 도시 물류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용어, 기능, 평가 및 성능 측정 (기술 평가 및 측정, 제품 검사 및 시험방법, 서비스 평가 등) • 기타 도심물류의 가치사슬(Value Chain)에 대응하는 기술 및 서비스 표준 ▲ [그림 2. 도시물류 기술 및 서비스의 사례][출처=국가기술표준원] ○ 도시물류 기술 및 서비스 표준 이해당사자(참여 및 활용 대상) • 물류기업에 국한하는 타 TC와 달리 도시물류 기술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사용하며 참여하는 이해당사자는 제조사부터 유통업자, 소비자, 지자체 등 다양 ※ 예 1: 서울교통공사의 생활물류지원센터는 역사 내 공실상가와 유휴공간을 활용해 택배물품 보관, 접수, 픽업, 개인물품 보관 등 생활밀착형 물류서비스를 추진하여 지자체, 공사, 물류기업, 영세상인 등이 모두 참여 ※ 예 2: 다크스토어 (온라인 배송상품만 보관하고 소분하여 배송하는 도심형 물류시설)와 스마트스토어 (무인매장 등) 은 물류와 유통이 혼합된 서비스 형태▲ [그림 3. 표준화 대상 도시물류 기술 및 서비스][출처=국가기술표준원]
-
2019-03-12독일 글로벌 수퍼마켓체인 운영기업인 카우플란트(Kaufland)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Vic)주에 $A 4억5900만달러를 투자해 물류센터를 건설 중이다.멜버른(Melbourne)시의 북부 산업 교외지역이며 11만평방미터 규모로 알려졌다. 카우플란트의 물류센터는 온도 조절 저장 공간, 자동 창고구역, 40미터 높이의 항만용 저장 공간, 3600평방미터의 사무실 공간 등으로 구성될 계획이다.동부 주들의 본사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카우플란트는 향후 빅토리아 주에 3개의 매장을 오픈할 계획이다. 코스트코(Costco), 월마트(Walmart) 등 할인매장과 경쟁할 방침이다.이에 따라 콜스(Coles), 울워스(Woolworths), 알디(Aldi) 등은 경쟁 심화 및 매출 감소 등을 우려하고 있다. 아마존과 같은 전자상거래업체가 급성장하고 있지만 오프라인 매장도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카우플란트(Kaufland) 홈페이지
-
2018-09-04오스트레일리아 할인점 코스트코(Costco)에 따르면 신규 물류센터를 건설해 전국의 온라인 소매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현재 시드니 서부지역인 캠프스크릭(Kemps Creek)에 $A 7800만달러를 투자해 자사의 신규 물류창고 및 유통센터를 건설 중이다.내년인 2019년 3월 완공 예정으로 축구장 17개 규모인 3만3000평방미터에 달한다. 캠프스크릭 유통센터가 개장되면 최대 30개 매장의 물품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현재 10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12개월 내에 3개 매장을 추가로 오픈할 예정이다. 기존의 유통센터는 신규 유통센터가 개장하면 폐쇄할 계획이다.코스트코(Costco)가 온라인 소매사업을 시작하게 된 기존 업체들도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017년 연말 아마존의 국내 온라인사업 시작, 중국의 거대 소매체인기업 징동닷컴(JD.com)의 멜버른 매장 설립 등으로 나타났다. ▲코스트코(Costco) 홈페이지
-
2017-12-14우즈베키스탄 정부에 따르면 차이나즈(Chinaz) 지구에 물류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다. 이는 대통령이 승인한 '2018-2022 화물운송 관련 무역노선 다변화'의 일환이다.이번 물류센터 설립은 우즈베키스탄측이 운송 인프라를 개선하고 화물 운송의 대외무역 노선 다변화를 지향하기 위한 포괄적인 프로그램의 중 일부이다.중국의 우루무치에서 시작해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도시에 물류를 공급하게 된다. 관련 물류는 Urumqi - Khorgos - Korgas - Almaty - Taraz - Shymkent - Konysbaeva - Chinaz로 이어진다.▲정부청사(출처 : 정부 홈페이지)
-
2017-06-22카자흐스탄 국가경제부에 따르면 슬로바키아로부터 카자흐스탄의 수도인 아스타나에 공동물류센터 설립을 제안받았다. 슬로바키아는 중요한 무역 및 경제적 파트너로 협력 가능성은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슬로바키아 측은 경제, 과학, 기술 등 분야에서 협력을 추구할 예정이다. 또한 운송 및 물류 등 산업에서 협력을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2017년 1~4월 카자흐스탄과 슬로바키아의 무역 규모는 US$ 1360만달러로 2016년 동기 대비 23.2% 증가했다. 동기간 슬로바키아로의 수출이 201.6% 증가한 430만달러를 기록했다.▲국가경제부 로고
-
▲ 일본 다이와하우스공업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다이와하우스공업(大和ハウス工業)에 따르면 2017년 3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형 물류센터를 개발한다.반송용 로봇의 효율적인 가동을 통해 물류센터를 24시간 운영하기 위한 목적이다. 계획이 실현되면 사원은 기존보다 최대 80%, 운영비는 3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운송업체의 시스템과 연계해 배송 순서 및 루트를 최적화하고 트럭의 적재 효율도 높일 계획이다. 2018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해 AI물류 센터로서 통판업체 등에 임대할 방침이다.인력난을 배경으로 생산 거점의 로봇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물류 거점에는 생산능력력 강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로봇을 활용한 상품 선반의 운반과 AI를 통한 작업 효율성 증대 등이 인력난 해소를 위한 중점과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
▲ 싱가포르 물류업체 GLP 로고싱가포르 물류업체 GLP에 따르면 2017년 3월 기준 지난 3개월간 중국 및 일본과 계약된 물류센터 임대면적은 6만9000제곱미터로 집계됐다.중국의 경우 온라인 소매업이 성장하면서 물류센터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다만 중국의 복잡한 소매시장과 광활한 국토로 인해 물류시설 부지를 모색하는 일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일본의 경우 도쿄, 오사카의 물류허브 프로젝트에 따라 물류시설의 공급이 확대되는 추세다. 최근에는 의류시장이 활성화되면서 관련 물류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전세계적으로 온·오프라인의 소매유통채널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물류시설이 등장하고 있다. 당사는 시장의 유동성을 잘 파악해 최대한 효율적인 물류지점을 선정하고 있다.
-
▲ 베트남 정부 로고베트남 국영해운선사 Vinalines에 따르면 2020년 개발전략의 일환으로 물류센터를 건설할 계획이다. 센터는 Dinh Vu내륙수로시스템을 통해 Hai Phong, Dinh Vu, Lach Huyen 등 주요 항만을 연결한다.센터의 건설로 운송비용 절감와 환경오염 감소 등의 효과를 얻으며 북부지역 컨테이너 운송에 대한 수요 증가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센터는 Gia Lam지구에 있는 Phu Dong항구에 건설될 예정이다. 물류부문은 베트남의 핵심 서비스산업으로 발전될 것으로 전망된다.물류산업의 목표는 경쟁력을 강화하고 물류서비스 개발을 통해 국내의 수요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계시장으로의 진출도 목표로 하고 있다.현재 물류서비스 산업은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5%를 기여하고 있지만 향후 2020년까지 연간 15~20%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이에 따라 물류센터 외에도 교통이나 항만 등의 인프라 개선과 물류기업의 역량강화가 필수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싱가포르 선박업체 PIL(Pacific International Lines)에 따르면 2016년 10월 말 이집트에 S$ 1400만달러(약 114억원) 상당의 투자를 통해 설립한 '물류센터'가 개소됐다.카이로에서 동쪽으로 6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대형 물류센터이며 면적은 2만제곱미터로 축구장 3개에 달하는 규모다. 시설 내 온도 조절기능(섭씨 5도 이하)이 있어 신선품에 대한 보관도 가능하다.전자기기부터 각종 식료품까지 저장할 수 있는 창고 역할을 하며 동시에 카이로의 대표적인 물류허브기지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주요 항만의 물동량이 확대돼야 가능한 결과다.참고로 이집트는 9100만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지만 국내 상품공급은 부족한 실정이다.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경제개방 및 상품교역을 활성하기 위한 자금조달 및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PIL측도 이러한 이집트의 경제 및 산업동향에 따라 '물류' 산업에 대한 잠재성을 높게 평가했으며 물류센터 개소에 이어 동종부문에 향후 2780만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Pacific International Lines 홈페이지
-
2016-11-01싱가포르 선박업체 PIL(Pacific International Lines)에 따르면 2016년 10월 말 이집트에 S$ 1400만달러 상당의 투자를 통해 설립한 '물류센터'가 개소됐다.카이로에서 동쪽으로 6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대형 물류센터로 전자기기부터 각종 식료품까지 저정할 수 있는 냉장창고 역할도 한다. 향후 이 센터가 카이로의 물류허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Pacific International Lines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