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물류 효율화"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04▲ 인천항 ‘컨’ 터미널 운영사 협의회에서 물류 효율화 방안 논의(IPA 항만운영실장, 항만물류협회 김태석 이사장, 4개 ‘컨’ 터미널 운영사 운영팀장)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7월3일(목) 송도 컨벤시아에서 인천항 4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E1CT, HJIT, ICT, SNCT) 및 인천항만물류협회와 함께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협의회」를 개최했다.이번 협의회는 ’25년 상반기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 성과를 확인하고 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하반기 업무 추진계획을 검토하기 위해 추진됐다.이번 회의에서는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산성 및 화물 반·출입 시간 현황을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검토했다. 또한 인천항 주요 이용자인 화물차 기사들의 ‘터미널 운영사 간 공(空) 컨테이너 블록 상·하차 방식이 상이함에 따라 혼선이 야기된다’는 의견을 적극 반영해 터미널 장비기사-화물차 기사 간 신호 통일 및 화물차 기사 대상 홍보 방안을 논의했다.아울러 터미널 진입 게이트에서 이루어지는 공(空) 컨테이너 검사로 인한 인근 도로 교통 혼잡 해소를 위하여 검사 방식 효율화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각 터미널 운영사들이 현장에서 겪는 운영상의 이슈와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공동의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IPA와 인천항 4개 ‘컨’ 터미널 운영사는 지난 ’23년 하반기부터 협의회를 분기별로 정례화하고 인천항 ‘컨’ 물류 환경 개선을 위해 공조를 지속해왔다.그 결과 2025년 1~5월 인천항 평균 화물 반·출입 시간은 16.7분으로 2024년 동기 대비 1.8분 단축되어 더 빠른 인천항을 조성해 왔다는 것이 IPA의 설명이다.인천항만공사 김상기 운영부사장은 "IPA는 인천항 ‘컨’ 터미널 운영사 협의회를 통해 운영사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물류 개선
-
2018-09-29영국 항만관리기업인 ABP(Associated British Ports)에 따르면 항만 물류업무에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물류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ABP의 공급망에 관련된 항만운영회사, 운송회사, 화주 등이 모두 각각 다른 시스템을 활용하면서 데이터 정합성을 확보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주체별로 다르게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를 확인하는 시간을 줄일 방침이다. 데이터의 공유를 통해 화물 출하업무가 단순화, 신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조선업에서도 블록체인기술을 도입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2018년 6월 덴마크는 선박을 등록하는 업무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항만공사도 물류업무의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했다. 참고로 ABP는 영국에서 21개 항만을 관리하는 회사로 영국의 화물수송 25%를 감당하고 있다.▲ABP(Associated British Ports)의 운영 항구(출처 : 홈페이지)
-
인도네시아 물류서비스업체 ILCS(PT Integrasi Logistik Cipta Solusi)에 따르면 2017년 2월 디지털 유통시스템인 'iCargo'를 도입했다.항만물류체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목적이며 당사를 비롯한 기업광고협회(APJP), 보세물류센터협회(PPLBI)가 참가해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물류체계의 디지털화는 주로 '서류업무의 온라인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배차, 신용, 추적 등과 관련된 문서를 기존의 인적수단에서 인터넷으로 전환할 예정이다.섬이 1만개가 넘는 도서국가의 특성상 항만물류는 최대한 효율적으로 운영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코위도도 대통령도 물류인프라 구축에 사활을 걸고 있다.▲물류서비스업체 ILCS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