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미국 스탠퍼드대학"으로 검색하여,
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들의 국가별 분포도[출처=엘스비어 코리아]글로벌 기업 엘스비어(Elsevier)에 따르면 세계 최상위 연구자에 포함된 한국의 연구자 수가 2024년 2364명으로 2023년 대비 12% 증가해 2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한국의 최상위 2% 연구자는 2023년 2120명에서 2364명으로 244명이 늘어 12% 증가했다. 연구자 수 기준으로 한국이 전 세계 15위에 올랐다.전 세계 연구자 수는 작년 961만 명에서 1025만 명으로 7%, 리스트에 포함된 최상위 2% 연구자는 20만4643명에서 21만7097명으로 6% 각각 확대됐다.미국이 8만4204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영국(1만9648명), 독일(1만1527명)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1만 명을 넘어서며 4위에 자리했다.▲ 세계 최상위 2% 연구자에 등재돼 있는 한국 연구자들의 주요 주제(2023년, 2024년 비교)[출처=엘스비어 코리아]2364명의 한국 연구자들은 18개 주제 분야에 분포돼 있으며 모든 분야에서 연구자 수가 증가했다. 인에이블링 및 전략 기술(555명)에 가장 많은 연구자가 포함됐다.다음으로 임상의학(440명), 공학(341명), 화학(285명), 물리학 및 천문학(234명)이 뒤를 이었다. 연구자 수 증가가 가장 많았던 주제는 임상 의학으로 71명이 증가했다.세계 최상위 2% 연구자가 가장 많이 포함된 기관은 서울대(323명)로 확인된다. 다음으로 KAIST(162명), 연세대(156명), 성균관대(145명), 고려대(117명) 순으로 나타났고, 상위 20개 대학 중 18개 대학의 연구자 수가 증가했다.5위까지 순위는 작년과 동일하며 23명이 증가한 울산대가 11위, 이화여자대(38명)가 2022년에 이어 상위 20개 대학에 다시 포함됐다. 이들 상위 20개 대학에 소속된 세계 최상위 2% 연구자 수는 총 1642명으로 전체 2364명의 약 70%를 차지했다.엘스비어는 학술 연구 출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