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들의 국가별 분포도[출처=엘스비어 코리아]글로벌 기업 엘스비어(Elsevier)에 따르면 세계 최상위 연구자에 포함된 한국의 연구자 수가 2024년 2364명으로 2023년 대비 12% 증가해 2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한국의 최상위 2% 연구자는 2023년 2120명에서 2364명으로 244명이 늘어 12% 증가했다. 연구자 수 기준으로 한국이 전 세계 15위에 올랐다.전 세계 연구자 수는 작년 961만 명에서 1025만 명으로 7%, 리스트에 포함된 최상위 2% 연구자는 20만4643명에서 21만7097명으로 6% 각각 확대됐다.미국이 8만4204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영국(1만9648명), 독일(1만1527명)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1만 명을 넘어서며 4위에 자리했다.▲ 세계 최상위 2% 연구자에 등재돼 있는 한국 연구자들의 주요 주제(2023년, 2024년 비교)[출처=엘스비어 코리아]2364명의 한국 연구자들은 18개 주제 분야에 분포돼 있으며 모든 분야에서 연구자 수가 증가했다. 인에이블링 및 전략 기술(555명)에 가장 많은 연구자가 포함됐다.다음으로 임상의학(440명), 공학(341명), 화학(285명), 물리학 및 천문학(234명)이 뒤를 이었다. 연구자 수 증가가 가장 많았던 주제는 임상 의학으로 71명이 증가했다.세계 최상위 2% 연구자가 가장 많이 포함된 기관은 서울대(323명)로 확인된다. 다음으로 KAIST(162명), 연세대(156명), 성균관대(145명), 고려대(117명) 순으로 나타났고, 상위 20개 대학 중 18개 대학의 연구자 수가 증가했다.5위까지 순위는 작년과 동일하며 23명이 증가한 울산대가 11위, 이화여자대(38명)가 2022년에 이어 상위 20개 대학에 다시 포함됐다. 이들 상위 20개 대학에 소속된 세계 최상위 2% 연구자 수는 총 1642명으로 전체 2364명의 약 70%를 차지했다.엘스비어는 학술 연구 출판
-
2024-09-27▲ 라마인덱스의 피에르 로익 둘셋(Pierre-Loic Doulcet) 문서분석도구 담당 엔지니어가 26일 서울시 역삼동 GS타워에서 열린 ‘라마인덱스&52g-GenAI 커넥트 데이’에서 발표하고 있다[출처=GS그룹]GS그룹(회장 허창수)에 따르면 2024년 9월26일(목요일) 서울시 역삼동 GS타워에서 ‘라마인덱스&52g-GenAI 커넥트 데이’를 개최했다. 디지털 전환(DX)을 주도하는 혁신 커뮤니티 ‘52g’(5pen 2nnovation GS)과 라마인덱스가 공동 주관했다. 글로벌 AI 엔지니어들이 모여 LLM 활용 노하우를 공유하고 협력하기 위해 마련됐다.라마인덱스&52g-GenAI 커넥트 데이는 거대언어모델(LLM) 앱 개발 솔루션 기업 라마인덱스(LlamaIndex)와 함께 글로벌 AI(인공지능) 트랜드를 공유하는 행사다. 라마인덱스는 LLM을 기반으로 한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종합 서비스 기업으로 업계에서는 랭체인(LangChain)과 양대산맥을 이루며 생성형 AI 혁신을 선도하는 실리콘밸리 기업으로 평가받는다.라마인덱스가 한국에서 워크숍을 개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 도쿄, 프랑스 파리에 이어 한국의 서울을 선택한 것은 대한민국의 AI 역량과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다.GS는 기존에 내부 구성원만을 대상으로 진행하던 행사를 외부에 개방했다. 국내 개발자들이 글로벌 AI 생태계와 교류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할 기회라고 판단해서다.외부 AI 엔지니어 70명을 포함한 100여 명의 참석자는 LLM 기술을 적용한 실무 경험과 업계 동향을 주고받았다.특히 이번 행사는 앤드류 응(Andrew Ng)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만든 교육 플랫폼 딥러닝 AI(deeplearning.ai)를 통해 전 세계에 공개됐다.응 교수는 세계 4대 AI 석학으로 불리는 인물로 50여 국에서 7만 명이 참여한 상호만남(밋업) 시리즈 ‘Pie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