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미해군"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전기제품 제조업체인 미츠비시전기(三菱電機)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전기제품 제조업체인 미츠비시전기(三菱電機)에 따르면 미국 해군 군함에 탑재하는 레이더의 제조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이다.새로 개발하는 레이더는 해군이 운용하는 항공모함과 미사일 구축함에 적용된다. 레디어 가동에 필수적인 전원장치를 생산하는 임무를 맡을 방침이다.세계 최고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는 미군은 높은 품질의 레이더를 요구하기 때문에 납품이 결정되면 해외에 수출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전망된다.미츠비시전기는 해외 정부 및 기관과 협업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전에 필리핀 정부에 방공 레이더를 수출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참고로 레이더는 항공기나 함정 등 목표를 향해 오는 적의 항공기, 미사일을 탐지하는 장비이다. 적의 공격을 파악하고 대처하는데 필수적인 장비로 최고 기술력이 요구된다.
-
2021-05-10일본 방위성(防衛省)에 따르면 미국 해군용 무인정찰기 MQ-4C 트리톤을 자국 군사 지역에 첫 배치할 계획이정이다.일본 주변의 심각한 안보상황을 우려한 미국 국방부에서 무인정찰기 배치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러한 제안을 일본 방위성은 수락했다.첫 번째 배치될 MQ-4C 트리톤은 HALE(High Altitude Long Endurance) 형태로 고고도 비행과 장시간 운행이 가능하다.기본 제원은 날개길이 39.9m, 총중량 14.63톤, 최대시속 575km, 고고도 상한 5만5000피트, 비행시간은 30시간이다.특히 자율비행시스템과 다중해양센서가 내장돼 있어 지속적인 정보·감시·정찰(ISR) 업무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또한 미공군의 대표 정찰무인기인 RQ-4 글로벌호크도 함께 배치된다. 글로벌호크는 2014년부터 일본에 임시 배치돼 운영된 바 있다.MQ-4C 트리톤과 RQ-4 글로벌호크는 2021년 5월 중순 이후에 배치될 예정이다. 현재 드론이 감시할 구역에 대한 검토가 진행 중이다.▲미해군의 정찰무인기 MQ-4C 트리톤(출처 : wikipedia)
-
2021-04-27미해군연구소(NRL)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드론 ‘Hybrid Tiger’가 태양광 패널과 수소전지만으로 24시간 비행을 유지했다.Hybrid Tiger는 양 날개에 태양광 패널이 설치돼 있다. 기체 중앙부에 50리터 상당의 극저온 액체수소 연료탱크가 탑재했다.또한 내장된 시스템은 온보드 컴퓨팅으로 태양광과 수소연료를 번갈아가며 적절하게 소비해 전력량을 균형 있게 유지한다.주목할 기능은 기상학적 데이터를 사용해 상승기류를 활용했다는 점이다. 이로써 프로펠러 작동없이 110km을 비행할 수 있었다.Hybrid Tiger 연구팀의 향후 과제는 1회 충전만으로 48시간 이상, 1800km를 비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참고로 Hybrid Tiger는 수소연료전지 드론 Ion Tiger의 후속 모델이다. Ion Tiger는 48시간 비행을 완수한 바 있다.▲태양광 패널과 수소연료로 운행하는 Hybrid Tiger(출처 : US Navy)
-
오스트레일리아 선박제조업체인 오스탈(Austal)에 따르면 2025년까지 미국 해군(US Navy)에 2척의 전투함정을 추가로 납품할 예정이다.최근까지 9척의 함정은 인도했으며 10척의 함정이 건조 중이거나 건조 대기 상태이다. 지난 3년 동안 매년 2척의 연안전투함(LCS)를 수주했다.미국 해군은 이번 계약에 대한 정확한 전투 함정의 가격은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1척당 US$ 5억8400만달러의 의회의 비용제한을 고려하면 가격이 어느 정도인지는 분석은 가능하다.최근에 상업용 페리선 계약뿐만 아니라 미국 해군의 군함건조를 수주함으로써 2018년 8월 기준 연간이익은 3900만달러로 2배 확대됐다.▲오스탈(Austal)의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