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발사대"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로고[출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에어로스페이스(대표이사 김동관, 손재일)에 따르면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11조2462억 원, 영업이익은 1조7247억 원으로 국내 방산업체 중 최초로 연 매출 10조 원 및 영업이익 1조 원을 초과했다.이 같은 실적은 방산 부문의 호실적이 견인했다. 2024년 방산 부문은 매출 7조56억 원, 영업이익 1조5659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70%, 173% 증가했다.올해도 국내 양산 물량의 호조세 지속 및 수출 물량 증가 전망에 따라 지상방산 부문은 2024년에 이어 지속적인 매출 성장이 예상된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별도 기준으로 수출은 약 4조4000억 원, 내수는 약 4조 원을 기록해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 약 53%를 달성해 창사 이래 처음으로 수출이 내수를 넘어섰다.2024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수주잔고(지상방산 부문)는 32조4000억 원으로 2023년 말 대비 4.5조 원 증가했다. 루마니아 K9 공급계약, 사우디아라비아 천궁II 발사대 및 구성품 양산 계약, 폴란드 2차 실행계약 등을 체결했다.국내 사업은 K21 보병전투차량 4차 양산, 230mm급 다연장 천무 3차 양산 계약을 맺어 수주 잔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 대한항공은 10월 2일부터 6일까지 닷새 간 충남 계룡대 활주로 일대에서 개최되는 ‘2024 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전시회(KADEX)’에 참가한다. 사진은 ‘2024 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전시회(KADEX)’ 대한항공 부스 전경[출처=대한항공]대한항공(회장 조원태, 사장 우기홍)에 따르면 2024년 10월2일~6일까지 5일간 충청남도 계룡대 활주로 일대에서 개최되는 ‘2024 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전시회(KADEX)’에 참가한다.대한항공은 이번 전시에서 군용기 성능개량과 창정비, 무인기 체계종합업체로서 비전을 선보일 예정이다. 부스에는 ‘블랙호크(Black Hawk)’로 불리는 군용 헬리콥터 UH-60 실제 크기 모형과 중고도 무인기, AI협동 무인기, 다연장발사대를 기반으로 한 소형급 타격형 무인기 실기체를 전시한다. 저피탐 무인편대기, 수직이착륙 무인기 등 다양한 무인기 플랫폼도 선보인다.KADEX는 대한민국육군협회가 주최하며 국내 방산기업과 국내외 핵심 바이어들을 연결하는 비즈니스장이다. 국내외 365개사가 참가해 1430여 개 부스를 운영한다.대한항공은 1979년부터 한미 군용기 5000대 이상을 창정비하고 성능개량을 수행해 아시아태평양 최대 정비센터로 불린다.특히 대한항공은 1991년 우리 군 주력 헬기인 UH-60을 국내에서 처음 생산한 이래 현재까지 성능개량과 창정비를 꾸준히 수행하며 전문성을 쌓아왔다.UH-60에 대한 특수작전용 성능개량 사업도 준비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우리 군의 전략급 무인기로 운영될 중고도 무인기 개발 사업에도 참여했다.해당 무인기는 고성능 감지기를 탑재해 10~13킬로미터(㎞) 고도에서 한반도 상공을 20시간 연속 실시간 감시 정찰할 수 있다.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대한항공이 개발에 참여했으며 2023년부터 양산 중이다.
-
2024-09-11▲ LIG넥스원의 무인수상정 해검2[출처=LIG넥스원]국내 방산업체인 LIG넥스원(대표이사 신익현)에 따르면 방위사업청이 공고한 ‘정찰용 무인수상정 체계개발사업’에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정찰용 무인수상정 체계개발은 해군 전진기지 및 주요 항만에 대한 감시정찰, 신속한 현장대응 능력을 보강하기 위해 12미터(m)급 무인수상정 2척을 2027년까지 업체주관으로 연구개발하는 사업이다.이번 사업은 대한민국 해군이 미래 핵심 전력으로 추진하는 해양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네이비 씨 고스트(Navy Sea GHOST)’를 향한 첫 걸음을 내딛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LIG넥스원은 정찰용 무인수상정 체계개발사업의 우선 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향후 방산수출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세계적으로 무인수상정 관련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LIG넥스원은 2015년부터 무인수상정 ‘해검(Sea Sword)’ 시리즈를 개발해왔다. 축적된 연구개발 경험을 통해 무인수상정 설계·건조 기술과 무인체계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국내 최초로 전력화될 무인수상정의 개발이 완료되면 K방산의 해외시장 공략에 앞장설 대표 무기체계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LIG넥스원은 소형 무인수상정에 탑재 가능한 2.75인치 유도로켓(비궁) 발사대를 자체 개발해 해검 시리즈에서 테스트를 완료하기도 했다.축적된 기술력은 지난 7월 세계 최대 규모 해군 훈련인 림팩(RIMPAC, Rim of the Pacific Exercise)을 계기로 진행한 시험발사에서 비궁 6발 모두 100% 명중시키는 배경이 됐다.이를 통해 대한민국 최초로 유도무기 완제품의 미국시장 진출을 이뤄낼 계기를 마련했다. 무인수상정은 미래전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게임체인저’로 평가받고 있다.무인수상정의 수출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고 다양한 임무장비를 탑재할 수 있도록 무장 및 탐지체계를 모듈화하는 연구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작전반경 확장을 위해 저궤도 상용위성까지 연동이 가능하도록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신익현 LIG넥스원 대표이사는 “이번 정찰용 무인수상정 체계개발을 통해 해군의 ‘네이비 씨 고스트(Navy Sea GHOST)’의 실체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또한 “향후 전투용 무인수상정과 기뢰전 무인수상정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무인체계의 표준화와 탑재무장 및 센서의 임무형 모듈화를 진행하는 등 대한민국 해군의 무인수상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
2021-05-11터키 드론개발업체 BAYKAR에 따르면 함대 갑판에서 고정익 드론을 발사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함대 갑판의 경사로와 도르래 원리로써 중량물을 끌어 올리거나 당기는 윈치 앤 풀리(winch-and-pulley) 시스템을 결합 중이다.예를 들면, 윈치 앤 풀리 시스템의 물리적 케이블선이 경사로를 따라 발사가 준비된 드론에 연결되면 1차 준비가 완료된다. 투입된 드론은 100마력의 엔진을 장착한 TB-2/3 모델이다.2차는 케이블선의 당기는 힘과 엔진의 추진력을 결합해 드론을 발사시킨다. 다만 윈치 앤 풀리 시스템으로 고중량 드론을 발사하는 데는 아직 한계가 있다. TB-2/3 중량 이상의 모델은 발사하기 어렵다는 의미다.군사용 드론을 연구한 국가정보전략연구소 관게자는 “이번 연구는 터키 해군의 돌격형 함대 아나돌루(Anadolu)를 드론 항공모함으로 발전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터키 해군의 돌격형 함대 아나돌루(출처 : wikipedia)
-
영국 우주항공국(UK Space Agency)에 따르면 스코클랜드에 첫번째 우주선발사대를 건설할 계획이다. 소용비용은 £250만파운드에 달한다.정부는 21세기 전략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우주산업을 육성하고 최첨단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하고 있다.만약 계획대로 완공되면 유럽 본토에서 우주발사대를 확보한 첫번째 국가로 등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써 영국은 수평발사대와 수직발사대를 확보한 국가로 우주항공산업을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우주항공국(UK Space Agency) 로고
-
미국 항공우주산업기업 Rocket Lab에 따르면 2018년 1월 21일 뉴질랜드에서 'Still Testing' 이라는 전기로켓을 발사해 성공적으로 궤도에 진입시켰다.2번째 전기 로켓 'Still Testing' 의 발사는 1월 21일 오후 2시 45분경 뉴질랜드 북섬 동부해안에 위치한 마히아(Mahia)반도에서 시작됐다. 8분 30초 후에 성공적으로 궤도에 도달했다.이로써 상업적으로 우주를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뉴질랜드는 성공적인 로켓 발사시스템을 갖춘 국가로 부상했다.▲Rocket Lab 로고
1